항목

  • 쿠시넨 Otto V(ilhelm) Kuusinen
    핀란드 공산당의 창설자이자 제3인터내셔널의 서기관.|소련공산당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했다. 1905년에 핀란드 사회민주당에 가입한 그는 당의 여러 요직들을 맡았고, 1918년초에는 단명한 핀란드 사회주의 정부에서 문교부장관직을 맡았다. 같은 해 핀란드 독립전쟁으로 사회주의 정권이 몰락하자 러시아로 피신하여 ...
    출생 :
    1881. 10. 4, 핀란드 라우카
    사망 :
    1964. 5. 17, 소련 모스크바
    국적 :
    핀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쿠시넨
    쿠시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오토 빌레 쿠시넨: 소련의 정치가, 시인 헤르타 쿠시넨: 핀란드의 공산주의 정치인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오토 빌레 쿠시넨 Otto Wille Kuusinen, オットー・クーシネン
    공직자 정보 오토 빌헬름 "빌레" 쿠시넨은 핀란드에서 태어난 소련의 정치인, 시인이다. 쿠시넨은 핀란드 대공국 라우카의 재단사 빌헬름 유혼포이카 쿠시넨(Wilhelm Juhonpoika Kuusinen)의 아들로 태어났다. 모친은 쿠시넨이 두 살 때 죽고 남은 가족을은 이위배스퀼래로 이주했다. 쿠시넨은 1900년 5월 이...
    도서 위키백과
  • 쿠시넨 클럽 참살사건 Kuusinen Club Incident
    쿠시넨 클럽 참살사건은 1920년 8월 31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쿠시넨 클럽(핀란드 공산당 당사)에서 핀란드 공산당 간부 여덟 명이 총에 맞아 죽은 사건이다.저널 인용 1918년 핀란드 내전이 적군의 패배로 끝나면서 수천 명의 적위대 패잔병이 러시아로 도피했는데, 주로 페테르부르크에 가장 많이 모여들었다. 적위대...
    도서 위키백과
  • 헤르타 쿠시넨 Hertta Kuusinen, ヘルッタ・クーシネン
    공직자 정보 헤르타 엘리나 쿠시넨은 핀란드의 공산주의 정치인이다. 핀란드 공산당 중앙위원(1944년-1971년), 정치국원, 핀란드 의회 의원(1945년-1972년),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서기장(1952년-1958년)을 역임했다. 1948년에는 무임소장관으로 입각하여 핀란드 역사상 두 번째 여성 각료가 되었다. 오토 빌레 쿠시넨의...
    도서 위키백과
  • 핀란드 민주공화국 Finnish Democratic Republic, フィンランド民主共和国
    나라 정보 핀란드 민주공화국은 겨울 전쟁 기간 동안 존재한 소련의 괴뢰국이다. 전 세계에서 소련만 승인한 미승인국이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오토 빌레 쿠시넨을 수반으로 내세운 핀란드 민주공화국을 핀란드 정복의 초석으로 삼고자 했다.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인용 겨울전쟁 동안 소련군이 점령한...
    도서 위키백과
  • 11월 사회주의자
    s. 63. Tampere University Press, 2008. ISBN. 11월 사회주의자들은 본래 1905년 3월 만들어진 사회민주학생동맹의 회원들로, 그 중심 구성원은 오토 빌레 쿠시넨, 에드바르드 귈링, 위리외 시롤라, 술로 부올리요키 등이었다. 1905년 11월 이 조직이 없어지면서 소속되었던 대학생 회원들은 사회민주당에 입당했다...
    도서 위키백과
  • 꼬르뷰로
    1921년 6월 자유시 참변으로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의 대립이 무력충돌로까지 확대되자 코민테른 검사위원회의 벨러 쿤(Bela Kun)·오토 쿠시넨(O. Kuusinen)·게오르기 사파로프(G. Safarov)는 1921년 11월 15일<코민테른 검사위원회 결정서>를 통하여 “서로 충돌하는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가 서로...
    도서 위키백과
  • 레오 라욱키
    라흐야가 스탈린의 대숙청에 휘말려 숙청, 사형을 선고받았다(실각 이후 알콜중독자가 된 라흐야는 사형이 집행되기 전에 술병으로 죽는다). 오토 빌레 쿠시넨은 라욱키 역시 라흐야의 당여라고 보고 그를 탄핵했다. 라욱키는 쿠시넨에게 편지를 써서 자신이 1925년에 라흐야를 지지하는 우를 범했으나 지금은 그렇지...
    도서 위키백과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Politburo of the Communist Party..
    3월 7일 보즈네센스키 해임. 1952년 10월 16일 아드리아노프, 아리스토프, 베리야, 불가닌, 보로실로프, 이그나초프, 카가노비치, 코로첸코, 쿠즈네초프, 쿠시넨, 말렌코프, 말리셰프, 멜니코프, 미코얀, 미하일로프, 몰로토프, 페르부힌, 포노마렌코, 사부로프, 스탈린, 수슬로프, 흐루쇼프, 체스노코프, 슈베르니크...
    도서 위키백과
  • 쿨레르보 만네르 Kullervo Manner
    여겨졌다. 아내 올가와 함께 러시아로 망명해 왔으나, 사이가 악화되어 별거하고 이후 한나 말름과 동거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만네르는 오토 빌레 쿠시넨과 충돌하는 일이 많아졌다. 1920년대에는 만네르가 우위에 있었으나, 1930년대 핀란드에서 라푸아 운동이 준동하면서 만네르와 말름은 책임을 추궁당하게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라시트 누르갈리예프 Rashid Nurgaliyev, ラシド・ヌルガリエフ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러시아 내무부 장관을 맡고 있었다. 카자흐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타타르인의 아들로 태어나, 1979년 페트로자봇스크의 쿠시넨 주립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79년에서 1981년 카렐리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물리학 강사로 일했으며, 1981년에서 1985년까지 카렐리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