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쾰리커 Rudolf Albert von Kölliker
    스위스의 발생학자·조직학자.|조직구조를 세포라는 용어로 설명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사람이다. 1844년 취리히대학교의 생리학 및 비교해부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847년 같은 자격으로 뷔르츠부르크대학교로 자리를 옮겼으며, 2년 후에는 해부학교수로 임명되었다. 뷔르츠부르크대학교가 의학 연구의 중심지로 발전...
    출생 :
    1817년 7월 6일, 스위스 취리히
    사망 :
    1905년 11월 2일, 독일 뷔르츠부르크
    국적 :
    스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쾰리커 KÖLLIKER, Rudolf Albert Von
    스위스의 동물학자. 발생학, 조직학 등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정자가 기생충이 아니라는 것과, 1개의 난세포가 세포분열하는 것이 난할임을 밝혔다. 또한 신경섬유와 신경세포의 관계를 밝혀내기도 하였다.
    출생 :
    1817
    사망 :
    1905
  • 신경해부학의 역사 (관련어 쾰리커)
    선사시대에서 로마시대까지 고대 이집트의 기록 중에는 신경계에 대해 기술한 부분이 있다. 기원전 3500년경의 기록을 필사한 기원전 1700년경의 이집트의 의학 파피루스 중에는 뇌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을 수 있으며 뇌의 표면의 주름, 뇌막과 뇌 밑의 체액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이집트 19왕조(기원전 1308∼1194년경...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조직학의 역사 (관련어 쾰리커)
    조직학의 발전은 몇 가지 요소가 어우러져야 가능하다. 먼저, 조직학 초기에는 현미경의 발명 및 성능의 발전이 필요하였으며, 채취된 조직을 현미경에 관찰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표본제작 과정에 대한 지식의 발전도 중요하였다. 전반적인 의학 지식의 발전 또한 조직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미경의 발견과 발전사 ...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콸리커 Rudolph Albert von Kölliker, Albert von Kölli..
    루돌프 폰 쾰리커는 스위스 해부학자이며 생리학자로 일생동안 신경계통의 조직학적 구조를 연구하였다. 그는 취리히에서 태어나 취리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독일의 본과 베를린 대학에서 뮐러와 헨레의 제자였다. 그는 1844년 취리히 대학으로 돌아와 생리학과 동물비교해부학 주임교수가 되었으며, 1847년...
  • 코르티 Alfonso Giacomo Gaspare Corti, Alfonso Giacom..
    1847년 『Bloodstream system of a reptile』 논문으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승인 히르틀의 조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1850년 초반 해부학 교수인 쾰리커의 초청으로 뷔르츠부르크로 자리를 옮겼고, 그곳에서 피르호와 가깝게 지냈다. 코르티는 쾰리커의 연구소에서 포유류의 청각기관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 발다이어 신경원설
    골지(Camillo Golgi, 1843∼1926년) 등은 이에 반대하였다. 신경원설은 발다이어(Heinrich Wilhelm Gottfried von Waldeyer-Hartz, 1836~1921년), 쾰리커(Albert von Kölliker 또는 Rudolph Albert von Kölliker, 1817∼1905년) 등의 지지로 점차 지지기반을 넓혀나갔으며 전자현미경으로 확인되었다. 신경원설은 현대...
  • 에브너 미각샘
    1873년부터 그라츠 대학에서 조직학과 발생의 역사를 가르쳤으며, 1888년 비엔나 대학의 조직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스위스의 해부학자이며 발생학자인 쾰리커가 저술한 『Handbuch der Gewebelehre des Menschen』의 제 6판의 3권을 1899년에 개정하였다. 그의 연구는 주로 해부학과 조직학이었지만, 동물학과 식물학...
  • 비뇨생식기병리학 泌尿生殖器病理學, genitourinary system pathology
    근대 비뇨생식기 연구에 일조했다. 17세기에는 동물조직학의 창시자인 A. 레벤후크가 1677년 현미경으로 정자를 관찰한 기록을 남겼다. 1841년 스위스의 A. 쾰리커는 정자에 관해 기술한 책을 집필했다. 주요 연구 영역 비뇨생식기계 병리는 요로 병리, 남성 생식기 병리, 여성 생식기 병리로 나눌 수 있다. 요로 병리...
    분류 :
    의약학 > 병리학 > 비뇨생식기병리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스위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Switzerland men's national ice ho..
    263 42 74 116 4 상디 자냉 1995–2011 236 34 48 82 마르틴 플뤼스 1997–2014 236 56 78 134 6 마르틴 슈타이네거 1992–2007 219 11 32 43 7 야코프 쾰리커 1973–1990 213 0 0 0 8 쥘리앵 보클레르 1997–2014 210 13 28 41 9 마르크 슈트라이트 1996–2015 200 31 60 91 10 레토 파보니 1989–2002 199 0 0 0 최다...
    도서 위키백과
  • 비뇨기과학 泌尿器科學, urology
    요도의 내부를 관찰했다. 이는 비뇨기과 분야에서 내시경을 사용하여 요도를 통해 전립선 및 방광을 검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841년 스위스의 A. 쾰리커는 정자에 관해 기술한 책을 집필했다. 20세기에는 내시경을 통한 수술이 가능해져 요도를 통해 요관 및 콩팥 내부를 관찰하고 수술하는 내시경, 직접 콩팥으로...
    분류 :
    의약학 > 비뇨기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마르틴 하인리히 라트케 Martin Rathke, マルティン・ラトケ
    der Menschen und der Thiere)》. Leipzig, F. C. W. Vogel, 1832-1833. "뇌하수체의 형성에 대하여》. Königsberg, 1841.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Entwicklungsgeschichte der Wirbeltiere)》. Leipzig, 1861. (비교발생학 분야의 명저로 라트케 사후에 아들의 요청으로 알베르트 폰 쾰리커가 출판하였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