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콘스탄티노스 5세 (관련어 콘스탄티누스 5세) Constantine V, コンスタン..
    출처 필요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는 741년 동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으나 아르타바스도스의 반란으로 퇴위되었다가 743년 다시 권좌에 복귀하여 775년 죽을 때까지 통치했다. 코프로니모스(Κοπρώνυμος)라는 별칭은 똥싸개라는 뜻으로 그의 성상 파괴 운동의 반대자들이 그를 경멸적으로 불렀던 이름이다. ...
    도서 위키백과
  • Constantine V 콘스탄티누스 5세, コンスタンティノス5世
    Constantine V (718 – September 14, 775) (denigrated by his enemies as Kopronymos or Copronymus, meaning the dung-named) was Byzantine Emperor from 741 to 775. Constantine was born in Constantinople, the son and successor of Emperor Leo III and Maria. In August 720 he was associated on the throne...
  • 콘스탄티노스 5세 Contantinus V Copronymus
    레온 3세의 아들이다. 720년 아버지와 함께 제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단독 통치자로 즉위하기 전후의 대부분을, 제국을 위협했던 아랍인들과 불가리아인들에 대항한 전쟁으로 보냈다. 비잔티움 제국의 모든 자원이 전쟁에 투입되고 있었기 때문에 롬바르드족들은 이탈리아의 라벤나 총대주교대리 관구를 차지할 수...
    출생 :
    718, 콘스탄티노플
    사망 :
    775. 9. 14, 불가리아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누스의 방
    십자가 현현〉, 〈밀리우스 다리의 전투〉, 〈콘스탄티누스의 세례〉 그리고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등의 대형 벽화가 마치 태피스트리나 커튼처럼 그려져...이 천장화는 그레고리오 13세 시절, 토마소 라우레티(Tommaso Laureti, 1530?~1602)가 시작해 식스토 5세(Sixtus V, 1585~1590 재위) 시절인 1585년에 완성...
  • 매너리즘과 초기 바로크를 잇는 개선문 분수
    같은 시기에 나타났다. 이러한 유형의 분수로는 펠리체 수로와 연결된 펠리체 분수가—'모세의 분수'라는 애칭이 붙어 있다—있다. 이 분수는 교황 식스투스 5세를 위해 1585년부터 1588년에 지어졌으며, 그 애칭에 걸맞게 분수를 이루는 세 개의 아치 중 가운데 아치에 장중한 모세 상이 들어가 있다. 모세는 유대민족...
  • 콘스탄티누스 コンスタンティノス, 君士坦丁
    콘스탄티누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대제)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누스 3세 콘스탄티누스 4세 콘스탄티누스 5세 콘스탄티누스 6세 콘스탄티누스 7세 콘스탄티누스 8세 콘스탄티누스 9세 콘스탄티누스 10세 콘스탄티누스 라스카리스 콘스탄티누스 11세 교황 콘스탄티누스(708...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6세 Kōnstantinos VI
    콘스탄티노스 5세의 손자였다. 10세 때 어머니 이리니의 후견 아래 아버지 레온 4세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다. 니케아 공의회(787)가 성화상 공경을 재정립시킨 것은 그녀가 섭정을 맡고 있을 때였다. 콘스탄티노스가 성년이 되자, 이리니는 최고 권력을 보전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790년 군대는 콘스탄티노스 6...
    출생 :
    770
    사망 :
    797. 8. 15 이후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Donation of Constantine, コンスタンテ..
    즉,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절의 로마 황제들이 사용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해 내었다. 발라는 〈증서〉(Declamatio, 1440)에서 그는 익명의 저자가 쓴 '증서'에 나타난 칙령 수준과 거리가 먼 조잡한 라틴어 문체와 후대 표현 방식을 밝혀내고, 또한 인용된 문헌이 4세기 이후의 문헌으로 작성 시기와 불일치한다는...
    도서 위키백과
  • 교황 요한 5세 Pope John V, ヨハネス5世 (ローマ教皇)
    파견되었다. 요한 5세는 교황 펠라지오 1세 이후 동로마 제국 황제의 승인 없이 주교 성성이 된 첫 번째 교황이다.Ekonomou, 2007, p. 215. 콘스탄티누스 4세 황제는 요한 5세의 전임자인 교황 베네딕토 2세 재임 중에 새로 선출된 교황은 황제의 승인을 받고 나서 주교 성성이 되는 관례를 폐지하고 선출 즉시 지체하지...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Constantine Laskaris, コンスタンティノス・ラスカリス
    Λάσκαρης)는 1204년 불과 몇 달 동안 비잔티움 황제였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의 침공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약탈 당할 때 황제 알렉시우스 5세가 몰래 도망치자 도시를 지키던 방위군의 대장이던 그가 스스로 황제라고 칭하였다. 그러나 도시가 무너지자 그는 동생 테오도루스가 있는 비티니아의 니케아로 도망...
    도서 위키백과
  • 레온 4세 하자르인 레오, Leo IV
    성화상파괴 시대와 성화상복고 시대 사이의 과도기에 비잔티움을 다스렸다(→ 성화상파괴논쟁).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5세가 죽은 뒤 775년 비잔티움 황제가 되었다. 이듬해 레온의 어린 아들 콘스탄티누스가 군대·원로원·시민의 지지를 받아 레온의 이복형제이며 부황제(Caesar)였던 니키포로스를 제치고 공동황제가...
    출생 :
    749. 1. 25
    사망 :
    780. 9. 8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바오로 1세 Paulus I
    4월 26일 형을 계승하여 교황에 선출되었다. 프랑크의 단신왕 피핀의 지원을 받아 롬바르디아 왕 데시데리우스와 비잔티움 제국 황제 코프로니무스 콘스탄티누스 5세와 대립했다. 763년 피핀은 비잔티움 제국과 연합하여 교황령을 침입한 바 있는 데시데리우스와 바오로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다. 이때부터 콘스탄티노...
    출생 :
    ?, 로마
    사망 :
    767. 6. 28,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