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콘스탄티노스 4세 (관련어 콘스탄티누스 4세) Constantine IV, コンスタ..
    왕 정보 콘스탄티노스 4세는 668년부터 685년 죽을 때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콘스탄스 2세의 아들이다. 제위 초기 669년 소아시아에서 일어난 반란에서 두 동생이 공동황제로 추대되자 그들을 붙잡아 처형해 버렸다. 이슬람 세력은 무아위야 1세가 알리와의 내전에서 승리하고 우마이야 왕조를 열었다. 새로이 칼...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4세 Constantinus IV
    콘스탄스 2세의 맏아들인 그는 4년 동안 계속된 아랍인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공격(674~678)을 견뎌냈고 비잔티움 제국의 국위를 크게 선양했으며, 사실상 유럽 역사에 전환점을 마련했다. 그러나 발칸 반도 쪽으로는 불가리아인들이 도나우 강을 건너와 지금까지도 그들의 이름이 남아 있는 지역에 자신들의 왕국을...
    출생 :
    미상
    사망 :
    685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누스 실바누스 Constantine-Silvanus
    콘스탄스 2세(641~668 재위)가 다스리는 기간에 아르메니아 콜로니아 근처에 있는 키보사에 바울로파 공동체를 세워 죽을 때까지 이끌었다. 그는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668~685 재위)가 이단을 진압하기 위해서 보낸 군인들에게 붙잡혀 돌에 맞아 죽었다. 이 군대를 이끈 지휘관 시메 티투스는 후에 바울로파로 개종...
    출생 :
    미상
    사망 :
    684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라파엘로의 방들 라파엘로의 벽화가 가득한 곳
    않지만 콘스탄티누스의 방과 엘리오도로의 방 사이에 건물과 건물이 맞닿은 경계 지점에 만든 교황 알현 대기실이다. 1500년대 말엽에 장식되었으며 그리스도교의 성인과 예수의 모습이 있는 프레스코 그림이 있다. 이 방을 나오면 또 작은 입구로 된 문을 지나야 한다. 엘리오도로의 방(Stanza di Eliodoro) 이 엘리오...
  • 레온 4세 하자르인 레오, Leo IV
    성화상파괴 시대와 성화상복고 시대 사이의 과도기에 비잔티움을 다스렸다(→ 성화상파괴논쟁).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5세가 죽은 뒤 775년 비잔티움 황제가 되었다. 이듬해 레온의 어린 아들 콘스탄티누스가 군대·원로원·시민의 지지를 받아 레온의 이복형제이며 부황제(Caesar)였던 니키포로스를 제치고 공동황제가...
    출생 :
    749. 1. 25
    사망 :
    780. 9. 8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누스 コンスタンティノス, 君士坦丁
    콘스탄티누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대제)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누스 3세 콘스탄티누스 4세 콘스탄티누스 5세 콘스탄티누스 6세 콘스탄티누스 7세 콘스탄티누스 8세 콘스탄티누스 9세 콘스탄티누스 10세 콘스탄티누스 라스카리스 콘스탄티누스 11세 교황 콘스탄티누스(708...
    도서 위키백과
  • 로마노스 4세 Romanos IV Diogenes
    카파도키아 지방의 무인 귀족 출신이다. 1068년 전 황제 콘스탄티누스 10세 두카스의 미망인 유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와 결혼했다. 셀주크 투르크에 맞서 군사를 일으켰으나 크게 패해 만지케르트 전투(1071)에서 붙잡혔다. 그뒤 풀려났을 때는 이미 콘스탄티누스 10세의 아들인 미카일 7세 두카스가 제위에 올라 단독...
    출생 :
    미상
    사망 :
    1072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스테파노 3세 Stephanus III
    767년에 교황 바오로 1세가 죽은 후 세속 군주들은 교황자리를 탐냈다. 네피 공작 토토는 평신도인 자기 동생 콘스탄티누스(2세)를 교황에 선출되도록 했다. 롬바르디아 왕 데시데리우스는 로마 군대에 편지하여 토토를 죽이게 하고 콘스탄티누스를 교황자리에서 쫓아냈다. 데시데리우스는 그뒤 필리프라는 수사를 교황...
    출생 :
    720(?), 시칠리아
    사망 :
    772. 1. 24,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콘스탄티노스 6세 Kōnstantinos VI
    콘스탄티노스 5세의 손자였다. 10세 때 어머니 이리니의 후견 아래 아버지 레온 4세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다. 니케아 공의회(787)가 성화상 공경을 재정립시킨 것은 그녀가 섭정을 맡고 있을 때였다. 콘스탄티노스가 성년이 되자, 이리니는 최고 권력을 보전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790년 군대는 콘스탄티노스 6...
    출생 :
    770
    사망 :
    797. 8. 15 이후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철학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의 신학
    이에 콘스탄티누스 5세는 754년 교회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광신적 수도원의 박해를 결정하고, 성상을 황제의 초상화로 대체했다. 서유럽에서는 비잔틴 황제의 성상 숭배 금지령이 선교 활동에 지장이 있다 하여 따르지 않았다. 성상파괴운동을 통해 로마교회와 비잔틴제국은 돌이킬 수 없는 분열의 길로 들어선다. 로마...
  •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Donation of Constantine, コンスタンテ..
    그의 《신곡》에서 이 문서를 언급하며 교황의 악행을 개탄하였다. 아! 콘스탄티누스여, 진정으로 큰 악은 그대의 개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가장 부유한...선물에게서 나왔도다! 단테,《신곡〈지옥편}》xix. 115~117쪽 교황 하드리아노 4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주장한 바대로 황제...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6세 Constantine VI, コンスタンティノス6世
    레온 4세의 형제들, 즉 콘스탄티노스의 삼촌들을 중심으로 반란이 일어났을 때는 이를 잔혹하게 진압하여 백성들의 신망을 잃었다. 그는 792년 이레네를 복귀시켰다. 795년 황제는 아내와 이혼하고 궁녀였던 애인 테오도테를 새 황후로 삼았는데 이것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신앙심 깊은 사람들의 반감을 샀다. 이 문제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