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콘스탄티누스 3세 Constantine III (Western ..
    구별 콘스탄티누스 3세는 407년 로마 브리타니아에서 황제로 선포되고 갈리아에 정착한 일반 로마 군인이었다. 그는 409년부터 411년까지 로마 제국의 공동 황제로 인정받았다. 콘스탄티누스는 로마 브리타니아의 야전군 내에서 권력을 잡았고 407년 초에 황제로 즉위했다. 그는 즉시 갈리아(지금의 프랑스)로 이동하여 ...
    도서 위키백과
  • Constantine III 콘스탄티누스 3세, Constantine III (Byzan..
    Constantine III ; 3 May 612 – 20 April or 24/26 May 641) was Byzantine Emperor for four months in 641. He was the eldest son of the Byzantine Emperor Heraclius and his first wife Eudokia.Constantine's birth name was Heraclius Novus Constantinus, , which was also the official name under which he ...
  • 콘스탄티노스 3세 Constantinus III
    단독 황제가 되기 전에는 아버지인 이라클리오스(613~) 및 형제 이라클로나스(638~)와 공동 황제로 통치했다. 그의 재위기간에는 궁정에 음모가 들끓어 내란으로 번질 지경이었으나 그가 죽자 사태는 수습되었다. 그가 계모의 명령으로 독살당했다는 소문도 있으나 결핵에 걸려 죽은 것으로 추측된다.
    출생 :
    612. 5. 3
    사망 :
    641. 5. 24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누스(2세) Constantinus(Ⅱ)
    1세를 계승하여 교황에 선출되었다. 그러자 공증인들의 강력한 우두머리였던 크리스토퍼가 이끄는 반대파들은 롬바르디아로 도피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카롤링거가의 단신왕 피핀 3세와 프랑크 왕국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데 실패해 다음해 롬바르디아 군대에 의해 폐위당했다. 이탈리아와 프랑크 주교들이 참석한 공의회...
    출생 :
    ?, 이탈리아 네피(?)
    사망 :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스테파노 3세 Stephanus III
    767년에 교황 바오로 1세가 죽은 후 세속 군주들은 교황자리를 탐냈다. 네피 공작 토토는 평신도인 자기 동생 콘스탄티누스(2세)를 교황에 선출되도록 했다. 롬바르디아 왕 데시데리우스는 로마 군대에 편지하여 토토를 죽이게 하고 콘스탄티누스를 교황자리에서 쫓아냈다. 데시데리우스는 그뒤 필리프라는 수사를 교황...
    출생 :
    720(?), 시칠리아
    사망 :
    772. 1. 24,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콘스탄티누스 コンスタンティノス, 君士坦丁
    콘스탄티누스 9세 콘스탄티누스 10세 콘스탄티누스 라스카리스 콘스탄티누스 11세 교황 콘스탄티누스(708년 3월 25일 - 715년 4월 9일) 대립교황 콘스탄티누스 2세(767–768) 콘스탄티누스 3세(407 - 411), 호노리우스를 반대함.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누스 3세...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스 5세 Contantinus V Copronymus
    레온 3세의 아들이다. 720년 아버지와 함께 제국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단독 통치자로 즉위하기 전후의 대부분을, 제국을 위협했던 아랍인들과 불가리아인들에 대항한 전쟁으로 보냈다. 비잔티움 제국의 모든 자원이 전쟁에 투입되고 있었기 때문에 롬바르드족들은 이탈리아의 라벤나 총대주교대리 관구를 차지할 수...
    출생 :
    718, 콘스탄티노플
    사망 :
    775. 9. 14, 불가리아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니키포로스 3세 Nikephoros III Botaneiates
    제위 계승권을 주장했으나 이들을 물리쳤다. 부인이 죽은 뒤, 왕위에서 쫓겨났으나 아직 살아 있던 미카일 7세의 아내 마리아와 결혼하고 미카일의 아들 콘스탄티누스를 후계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뒤에는 마음을 바꾸어 자기 조카를 후계자로 정하고 콘스탄티누스의 약혼녀를 수녀원으로 쫓아냈는데, 그녀는 노르만족인...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노스 8세 Kōnstantinos VIII
    1025년 형 바실리오스 2세와 함께 공동 황제였으며, 1025~28년에는 단독으로 통치했다. 그는 향락에 몰두해 행정을 다른 사람들의 손에 넘어가도록 방치해두었다. 남자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임종 직전에 둘째 딸 조이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그녀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귀족 로마노스 3세 아르이로스와 결혼하도록 했다.
    출생 :
    960경
    사망 :
    1028. 11. 11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콘스탄티우스 3세 Constantius III
    제위를 찬탈하려 한 콘스탄티누스(플라비우스 클라디우스 콘스탄티누스)의 반란을 아렐라테(지금의 프랑스 아를)에서 진압하는 데 이바지했다. 415년에는 서고트...동로마 황제인 테오도시우스 2세의 승인을 얻기도 전에 죽었다. 플라키디아가 낳은 그의 아들은 발렌티니아누스 3세로서 425~455년 서로마 제국을...
    출생 :
    ?, 달마티아(지금의 크로아티아 달마치야)
    사망 :
    421. 9. 2, 라벤나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비잔틴건축, 5세기와 고전부활
    식스투스 3세 때 가장 활발했다. 이 기간은 로마 교회 건축사에서 17~18세기 바로크 시대 다음 가는 전성기였다. 성 밖의 성 바오로 증축(380년경), 산타마리아 마조레(Santa Maria Maggiore, 432), 라테란 세례당(Lateran Baptistery, 432~440년경), 성 스테파노 로톤도(St. Stephen Rotondo, 468~483) 등의 주요 교회...
  • 오명을 뒤집어쓴 루마니아의 영웅, 블라드 3세 Vlad III
    정의를 추구하는 인물이었으며, 러시아의 현군 이반 뇌제는 그를 존경하여 그의 잔인한 통치방식을 그대로 따르기도 했다. 메메드 2세 역시 블라드 3세콘스탄티누스 11세보다 강력한 라이벌로 여겼다고도 한다. 또한 루마니아에서는 차우셰스쿠 시절, 잘못 전해진 드라큘라 이야기에 항의하여 소설 《드라큘라》를...
    출생 :
    1431년
    사망 :
    1476년
    국적 :
    루마니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