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켈젠 Hans Kelsen
    순수법학'으로 알려진 실증주의적 이론을 주창했다. 켈젠은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1920년에 채택된 오스트리아 헌법 제정에 참여했고, 1920~30년 오스트리아 최고헌법재판소의 재판관을 지냈다. 1940년 미국으로 이주해 하버드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뉴포트에 있는 해전대학에서 강의했다. 켈젠의 '순수...
    출생 :
    1881. 10. 11,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사망 :
    1973. 4. 20,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한스 켈젠 (관련어 켈젠) Hans Kelsen, ハンス・ケルゼン
    인물 정보 한스 켈젠(Hans Kelsen, 1881년 10월 11일 ~ 1973년 4월 19일)은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법학자였다. 켈젠은 프라하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가 두 살 때 그는 가족과 함께 빈로 이주했다. 그는 빈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1906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11년 그는 공법과 법철학을 가르칠 수 있는 자...
    도서 위키백과
  • 法, law
    법의 강제적 측면은 법을 도덕 등의 다른 사회규범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법규범의 본질은 "강제규범인 데 있다"라고 주장한 한스 켈젠의 견해, "강제를 수반하지 않는 법은 타지 않는 불이나 비치지 않는 등불과 같이 그 자체 모순이다"라는 루돌프 폰 예링의 법언, "법은 정치적으로 조직화된 사회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가 國家, state
    국가는 국민들의 생존에 책임이 있으므로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해야 한다는 복지국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과열된 민족주의가 세계대전을 초래한 뒤, 한스 켈젠과 오스카르 이카초 등은 국제주의 이론을 주창했다. 켈젠은 국가를 단순히 총체적인 법질서로 정의했다. 국가란 존재와 경험만으로는 인식될 수 없으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법의 강제성 强制性
    법의 강제적 측면은 법을 도덕 등의 다른 사회 규범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법규범의 본질은 "강제 규범인 데 있다"라고 주장한 한스 켈젠의 견해, "법은 정치적으로 조직화된 사회의 '강제력'의 체계적 사용을 통한 '사회 통제'이다"라고 한 로스코 파운드의 견해 등은 모두 강제가 법의 필수적 요소임을 잘...
    도서 다음백과
  • 금목서 sweet Osmanthus
    즐길 수 있다. 겨울 내내 푸른 잎과 자주색 열매, 섬세하고 풍성한 가지에 황홀한 향기까지 갖추어 정원수로는 금목서보다 더한 식물이 없다는 것이 학계의 얘기다. 병해충정보 • 응애류: 발생이 심하므로 장마뒤 가뭄이 계속될 때 주의한다. 방제방법 • 응애류: 켈젠유제나 디프테렉스 등을 이용하여 초기에 방제한다...
    분류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목서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개화기 :
    9월, 10월
  • 유병진 柳秉震
    감정적인 당시의 여론을 가라앉히고 가혹한 법령을 변경하는 결과까지 낳았다. 또한 1957년에는 ≪한국형법총론≫을 내는 등 이론에도 밝았다. 해방 직후 켈젠(Kelsen,H.)의 순수법학(純粹法學)이 풍미하던 한국의 법학계에서 그는 현실주의 법학을 과감하고도 신중하게 전개하였다. 재판은 인사의 갈등을 정확히 파악...
    시대 :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1966년
    경력 :
    서울고등법원 판사
    유형 :
    인물
    직업 :
    법조인, 법학자
    대표작 :
    재판관의 고뇌, 한국형법총론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현대의 자연법
    더불어 법실증주의가 대두하면서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법실증주의자들은 자연법론의 절대성과 보편성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순수법학의 창시자인 한스 켈젠은 일련의 법규범들이 처음에는 정당한 법으로 수용되지만 후에 부당한 것으로 선언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자연법론은 정의의 요구가 시간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황산덕 석우(石隅), 黃山德
    법철학강의』(1970) 등의 법학서와, 『자화상』(1966)·『무엇이 돌아오나』(1971)·『막스 베버』(1976)·『법학』(1979) 등의 일반서가 있다. 또한, 켈젠(Kelsen,H.)·프리드리히(Friedrich,C.)·벨첼(Welzel,H.) 등의 저서를 번역하였으며, 1949년부터 1989년까지 수많은 논문과 단문들을 발표하였다. 1991년 10월...
    시대 :
    현대
    출생 :
    1917년
    사망 :
    1989년
    경력 :
    한국법철학회 회장, 한국형사법학회 회장, 법무부장관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법학자, 행정가
    대표작 :
    법철학, 법학입문, 자화상, 막스 베버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법실증주의 法實證主義
    실정법에 한정하고 실정적인 고찰방법을 취한다는 이유로 실증적 법사회학과 역사법학을 법실증주의 이론에 넣는 사람도 있다. 현대 법실증주의의 조류는 H. 켈젠의 법의 일반이론(순수법학)과 하트의 현대분석법리학 및 그 비판적 계승운동 또는 미국과 스칸디나비아에서의 경험적·과학주의적인 법현실주의 등 다양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법과 강제
    법의 강제적 측면은 법을 도덕 등의 다른 사회규범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법규범의 본질은 "강제규범인 데 있다"라고 주장한 한스 켈젠의 견해, "강제를 수반하지 않는 법은 타지 않는 불이나 비치지 않는 등불과 같이 그 자체 모순이다"라는 루돌프 폰 예링의 법언, "법은 정치적으로 조직화된 사회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오다카 도모오 尾高朝雄
    대학 조교수였던 1928년 11월 13일부터 약 3년 반 동안, 정부의 장학금으로 구미에 유학하여 독일, 영국, 프랑스, 아메리카에 채류했다. 특히 빈에서는 한스 켈젠 아래서 국가학을, 프라이부르크에서는 에드문트 후설 아래서 현상학을 배웠다. 또한, 루트비히 폰 미제스가 열었던 세미나(연구회)에도 참가했다. 알프레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한스 켈젠
켈젠(H. Kelsen, 1881~197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