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Katharevusa Greek language
    근대 그리스의 '순수한' 언어. (그). Katharevousa.|1976년까지 그리스의 공식 문어로서, 공문서·의회·법정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문과 전문서적에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1976년 구어인 민중 그리스어가 대신 그리스의 공용어가 되었다. 카타레부사어는 19세기에 지역 방언에서 외국어의 요소들을 '정화'하고, 고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관련어 카타레부사그리스어) Katharevousa..
    그리스어의 역사 카타레부사는 그리스어의 한 형태로, 19세기 초 그리스의 지식인과 혁명 지도자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가 견지하던 언어였다. 1788년 몽펠리에 대학을 졸업한 코라이스는 파리에서 망명 생활로 인생의 대부분을 보내었다. 그는 그리스 해방에서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도서 위키백과
  • 민중 그리스어 Demotic Greek language
    일상언어로 사용하는 표준어가 되었고, 20세기에는 그리스 창작문학에서 사용하는 거의 유일한 언어가 되었다. 1976년 1월에 그리스 정부는 민중 그리스어카타레부사 그리스어 대신 공식 언어로 선언하고, 정부 공문서와 법률서류, 법정과 의회, 학교, 신문을 비롯한 출판물에서 민중 그리스어를 사용하도록 명령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민중 그리스어 Demotic Greek, デモティキ
    이 말은 1976년까지 공식 언어로 쓰였으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카타레부사 그리스어와 대비하는 의미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언어임을 뜻한다. 민중 그리스어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그리스의 언어 문제가 민중 그리스어로 해결될 때까지 양층언어의 전형적인 예였다. 민중 그리스어는 종종 현대...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어 Greek language
    많이 쓰인다. 1976년부터 데모티케가 그리스어의 공용어가 되면서 정부의 공문서와 공고문, 교육, 신문, 그리고 많은 문학작품에도 카타레부사 대신 데모티케를 쓰게 되었다. 그리스어 문법은 몇 가지 단순화가 이루어졌지만 오랜 세월이 흘렀는데도 원형을 상당히 많이 유지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어는 단수·양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현대 그리스어 Modern Greek, 現代ギリシア語
    지역 방언이 있었다. 특히 유명한 언어는 19세기와 20세기에 통속적인 민중 그리스어와 교양있는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를 들 수 있다. 오늘날 민중 그리스어에 기반을 둔 표준 현대 그리스어는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식 언어이다. 그리스어는 오늘날 약 1400~1700만 인구가 주로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 쓰고 있으며...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어 Greek language, ギリシア語
    시기가 끝나고 난 뒤부터 2가지 형태가 주로 쓰였는데 그것은 디모티키(Δημοτική)라 불리는 일상 구어체 그리스어카타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라고 하는 고전 그리스어를 모방한 그리스어가 바로 그것이다. 이 중 카타레부사는 19세기와 20세기 초에 걸쳐서 문학이나 법학 그리고 과학적인 용도로 쓰인...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어의 역사 History of Greek, 希腊语历史
    싸움으로 이어졌다. 이 당시의 파벌은 '디모티키스테스'라고 하는 민중 그리스어를 지지하는 측과 '로이이이' 또는 '카타레부샤니'라고 하는 '정화된 언어'를...민중 그리스어는 공식적인 업무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카타레부사 사용은 페리클레스의 고대 아테네부터 현대 아테네에 이르기까지 고대 그리스인...
    도서 위키백과
  • 에스티아 Estia
    제호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 헤스티아로부터 왔다. 발행부수는 1995년 기준 3,900부였다. 《에스티아》는 그리스어 일간 신문으로는 유일하게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를 사용한다.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1976년 이후 공식 행정언어로서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과거에 카타레부사의 사용은 디모티키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좌파...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 문학 Greek literature
    터키인들에게 함락되고, 그리스가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자, 그리스의 많은 지식인들은 고국을 떠나 외국인들의 언어를 배우게 되었다. 그들 대부분은 그리스어로 글을 썼지만, 자주 그 외국어들을 쓰기도 했다. 현대 그리스는 2가지 문어체, 즉 카타레부사(Katharevusa)라는 고어체와 데모티케(Demotic)라는 현대어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다이글로시아 diglossia
    다른 하나는 대다수의 대중이 쓰는 일상어이다. 이러한 예는 세계 여러 언어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에는 고전 그리스어의 영향을 아주 많이 받은 카타레부사(Katharevusa)라는 고급 언어와 데모티크(Demotic)라는 일상어가 공존한다. 이집트에도 2가지 형태의 아랍어가 있다. 다이글로시아는 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키프로스의 언어 Languages of Cyprus
    힘들며,rp 일부는 아에 알아듣지 못하기도 한다.rprp 키프로스 그리스어 문학은 1571년 오스만이 키프로스를 점령하기 전까지 번성했다.rp 표준 현대 그리스어(당시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19세기 말부터 그리스계 키프로스 교육에서 사용되었으며 키프로스 매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리스계 키프로스 사회는 방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