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밀루스 카밀루스 렐리스, Saint Camillus of Lellis1746년 성인으로 추증되었으며, 축일은 7월 14일. '병자들을 위한 사역자회' 설립자. (이). San Camillo de Lellis. 하느님의 성 요한네스와 함께 병자들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몰락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나 용병이 되었고 상습적인 노름꾼이었던 그는 1575년 회개하고 불치병자들을 위한 로마의 산 조반니 병원 하인...
- 출생 :
- 1550. 5. 25, 나폴리 왕국 부키아니코
- 사망 :
- 1614. 7. 14, 로마
- 국적 :
- 가톨릭교
-
세르비우스 성벽 외적에게 모욕당한 후에 세운 도시성벽양의 금을 요구하자 다급해진 원로원은 시민들로부터 금을 모으기 시작했다. 원로원이 금을 구하러 간 사이, 평민들의 모함으로 망명 갔던 명장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로마로 올라와 “나라를 구하는 것은 금이 아니라 철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침략자들을 격퇴했다고 하는데, 여기서 철(ferrum)은 칼을 뜻한다...
- 시대 :
- 로마공화정시대
-
아우렐리아누스 도시성벽 로마의 멸망을 늦추려던 군인 황제가 세운 방어벽당시 공병들은 모두 전선에 나가 있었기 때문에 민간 건설업자들 중심의 노동력을 동원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서기 271년 로마 시 주변에는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쌓은 성벽의 길이에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장장 19킬로미터의 성벽이 그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275년에는 어느 정도 방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 시대 :
- 로마제국 후기
-
리비우스의 역사학 접근방식역사가들이 저술한 초창기의 역사서를 참고하곤 했다. BC 4세기에 베이(Veii)를 점령하고 로마에서 갈리아인들을 몰아낸 마리우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에 대한 묘사는, 카밀루스의 충성심을 보여주는 데 목적이 있었다. 한니발이 알프스를 넘는 장면 묘사는 임기응변에 뛰어난 한니발의 대담함을 나타내기 위해서였다...
-
로마 약탈 (BC390년) 로마 약탈 (BC390년)그러나 베이를 제2의 수도(首都)로 삼자는 평민들과 이에 반대하는 귀족간에 갈등이 발생하고 말았다. 정치갈등의 결과는 유능한 리더였던 독재관 카밀루스를 모함하여 추방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제 2의 수도건설에 앞장서서 반대했던 것이 모함을 받게 된 이유였다. 정치적인 입지가 강해진 평민들이 숫적 우세를 이용...도서 위키백과
-
로마 집정관 연대표이스퀼리누스 / 마니우스 세르기우스 피데나스(기원전 402년) 109.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티투스 /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 /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 / 카이소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 마니우스 아이밀리우스 마메르키누스 / 루키우스 율리우스 룰루스(기원전 401년) 110.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칼부스...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