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5호, Long-eared Owl
    서식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번식하며 겨울철에 북방의 개체가 남하한다. 지리적으로 4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10월 초순부터 도래해 월동하고,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평지와 산지의 산림, 나무가 무성한 공원에 서식한다. 낮에는 나뭇가지에서 휴식하고 어두워지면...
    분류 :
    올빼미과(Strig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4-5호
    서식지 :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번식하며 겨울철에 북방의 개체가 남하한다.
    크기 :
    L32.5~36cm
    학명 :
    Asio otus Long-eared Owl
  • 부엉이 Asio otus
    형태 크기: 약 32.5~36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암수 구별이 힘들고, 연령에 관계없이 깃털 색은 개체변이가 심하다. 몸윗면은 갈색, 흑갈색, 회색이 혼합된 복잡한 모양을 이룬다. 몸 아랫면에는 푹 넓은 세로 줄무늬와 가는 가로 줄무늬가 있다. 깃털 색은 수컷보다 암컷이 진한 편이다. 주요 형질: 귀깃이 ...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올빼미목(Strigiformes) > 올빼미과(Strigidae)
    학명 :
    Asio otu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전국의 평지와 산지의 산림, 공원 등지에서 드물게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다.
    해외분포 :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온대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철에 북방의 개체가 남하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제 324-5호
  • 부엉이
    올빼미과에 속하는 조류.|내용 학명은 Asio otus otus (LINNAEUS.)이다. 올빼미목 올빼미과 조류는 전 세계에서 134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우리나라에서는 10종의 올빼미과 조류가 기록되어 있으나 미조(迷鳥)인 흰올빼미와 긴점박이올빼미, 그리고 금눈쇠올빼미 등 3종을 제외한 부엉이를 포함하는 7종을 1982...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부엉이 long-eared owl
    올빼미목 올빼미과의 야행성 맹금. 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고, 산림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이며, 생쥐와 조류, 어류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36~38cm 정도이고, 무게는 220~435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개요 조강 올빼미목 올빼미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Asio otus’이다.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올빼미목 > 올빼미과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산림
    먹이 :
    생쥐, 조류, 어류, 개구리, 곤충 등
    크기 :
    약 36cm ~ 38cm
    무게 :
    약 220g ~ 435g
    학명 :
    Asio otu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27~28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육식동물
  • 부엉이 Long-eared owl, トラフズク
    생물 분류부엉이는 올빼미과의 새이다.학명은 Asio otus otus (LINNAEUS.)이며 1982년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지정하여 보호받고 있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Long-eared owl 칡부엉이, トラフズク
    The long-eared owl (Asio otus, previously Strix otus) is a species of owl which breeds in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This species is a part of the larger grouping of owls known as typical owls, family Strigidae, which contains most species of owl. The other grouping of owls are the barn owl...
  • 부엉이박물관 세상에서 가장 큰 부엉이 둥지
    수 있는 안내지를 나눠주는데, 아이와 함께 스탬프를 찍고, 부엉이 그림도 그려보며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부엉이는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부엉이, 쇠부엉이로 총 네 종이 있다. 비슷하게 생긴 올빼미와는 귀 옆에 달린 깃털(귀깃)의 유무로 구별할 수 있다. 대부분 부엉이는 귀깃이...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43-10
  • 부엉이
    부엉이는 올빼미목 올빼미과의 한국에 서식하는 맹금류 중 솔부엉이, 수리부엉이, 부엉이, 쇠부엉이 등을 통틀어 이르는 향명이다. 귀깃(우각)의 차이로 올빼미와 구분한다고도 하지만 솔부엉이와 쇠부엉이는 귀깃이 없기 때문에 이는 정확한 구분법은 아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다. 눈이 크고 다리는 굵고...
    도서 위키백과
  • 쇠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4호, Short-eared Owl
    비교적 드물게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10월 초순부터 도래해 월동하고,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주로 강가의 농경지, 갈대밭 주변에 서식한다. 행동 부엉이가 산림에서 서식하는 데 비해 쇠부엉이는 개방된 평지에서 생활한다. 주로 야간에 활동하지만 흐린 날에는 낮에도 먹이를 찾는다. 특징 암수 구별이 힘들다...
    분류 :
    올빼미과(Strig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4-4호
    서식지 :
    아이슬란드, 영국, 스칸디나비아에서 러시아, 북아메리카 북부, 서인도제도, 남아메리카 남부, 하와이제도, 갈라파고스제도에서 번식하고, 유럽, 아프리카 동부, 인도에서 중국, 북아메리카 중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36~39cm
    학명 :
    Asio flammeus Short-eared Owl
  • 수리부엉이 Eurasian eagle-owl, ワシミミズク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학명은 Bubo bubo. 수리부엉이의 몸길이는 약 70cm이다. 대형 조류이며 머리에 난 귀 모양 깃털이 특징적인데, 그 크기가 부엉이의 2배나 된다. 몸 전체가 황갈색을 띠며, 가슴·등·날개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다. 그 밖의 부분에는 암갈색 무늬가 있다. 한국에서는 드문 텃새로 중부 이북...
    도서 위키백과
  • 천연기념물 天然記念物, natural monument
    흑두루미, 까막딱따구리, 수리류(독수리·검독수리·참수리·흰꼬리수리), 매류(참매·붉은배새매·개구리매·황조롱이·매), 올빼미와 부엉이류(수리부엉이·솔부엉이·부엉이·쇠부엉이·소쩍새·큰소쩍새), 기러기류(개리·흙기러기), 검은머리물떼새, 원앙, 노랑부리백로, 사향노루, 산양, 수달, 물범, 하늘다람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천연기념물
  • 쇠부엉이 Asio flammeus
    갈색의 굵은 줄무늬가 있다. 날개 끝과 익각에 흑갈색 무늬가 있다. 주요 형질: 귀깃이 매우 짧고, 홍채는 노란색이다. 날 때 바깥쪽 첫째날개깃 끝 부분이 부엉이보다 어둡고 검은 줄무늬가 2~3열 보인다. 생태 서식지: 개방된 평지, 강가의 농경지, 갈대밭 주변에 주로 서식한다. 먹이습성: 주로 설치류를 잡아...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올빼미목(Strigiformes) > 올빼미과(Strigidae)
    학명 :
    Asio flammeus (Pontoppidan, 1763)
    국내분포 :
    전국의 개활지, 농경지, 갈대밭 등지에서 비교적 드물게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다.
    해외분포 :
    아이슬란드, 영국, 스칸디나비아에서 러시아, 북아메리카 북부, 서인도제도, 남아메리카 남부, 하와이제도, 갈라파고스제도에서 번식하고, 유럽, 아프리카 동부, 인도에서 중국, 북아메리카 중부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제324-4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5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