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칠재 七齋칠재는 1109년(예종 4) 7월 국학 교육(國學敎育)의 진흥을 목적으로 국자감(國子監) 내에 설치한 전문 학제이다. 예종이 국학의 진흥을 위해 문무(文武) 양학의 주요 과목을 독립 강좌로 설치해 기존 국학과 별도로 선발한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하게 한 학제이다. 특히 여진의 부상에 대응하여 무학을 가르치는 강예재를...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예수재 예수칠재(預修七齋), 預修齋위해 치러지는 의례를 천도재(薦度齋)라고 한다면, 죽기 전에 미리 재를 지내어 명부시왕전에 덕을 쌓아 극락왕생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생긴 의례로 예수칠재(預修七齋) 또는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라고 한다. 연원 및 변천 언제부터 행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사(高麗史)』에 시왕신앙과 관련된 기록이...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승보시 陞補試내용 고려시대의 승보시는 1109년(예종 4)에 국학(國學)에 칠재(七齋)가 생긴 뒤 국자생(國子生)·태학생(太學生)·사문학생(四門學生) 등 일반국학생들이 칠재에 올라갈 수 있는 자격시험을 의미하였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승보시는 사학(四學)에서 성균관기재(成均館寄齋)에 올라가는 자격시험을 의미하였다. 성균관...
- 시대 :
- 고려, 조선
- 성격 :
- 과거, 인사, 관리선발제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검암산 개경사 檢巖山 開慶寺전지(田地) 100결을 이 절에 소속시켰으며, 1409년 법회를 개최하였다. 1410년송림현 선흥사(禪興寺)의 탑을 이 절로 옮겼으며, 1412년안정왕후(安定王后)의 칠재(七齋)를 행하였다. 같은 해 주지 성민(省敏)의 청에 따라 경주 백률사의 전단관음상(旃檀觀音像)을 이 절로 옮겨 모셨으며, 1413년해인사의 대장경을 인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예종 왕우(王俁), 睿宗어려움, 또 윤관의 공을 시기하는 자들의 책동으로 1년 만에 구성을 철폐하고 여진족에게 돌려주었다. 1109년(예종 4) 국학(國學)에 학과별 전문 강좌인 칠재(七齋)를 설치해 관학(官學)의 진흥을 꾀하였다. 1112년(예종 7)에는 혜민국(惠民局)을 설치해 빈민들의 시약(施藥)을 담당하게 하였고, 이듬해에는 예의상정소...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주포면 周浦面, Jupo-myeon문화재자료 제146호) 등이 있다. 장항선과 홍성-보령을 연결하는 도로가 면 중앙부를 지나며, 서해안고속도로가 면의 서부를 지나간다. 행정구역은 보령리·마강리·봉당리·관산리·연지리 등 5개리가 있다(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 8개리). 면사무소 소재지는 주포면 칠재로 47-10이다. 면적 13.2㎢, 인구 1,908(2017...
- 인구 :
- 1,908 (2017)
- 면적 :
- 13.2㎢
- 행정구역 :
- 8개리 28개반
- 소재지 :
- 충청남도 보령시
- 사이트 :
- http://www.brcn.go.kr/kor/sub08_02.do
-
진관사 수륙재 津寬寺 水陸齋시작하여 7일 간격으로 초재부터 6재까지 의례를 설행하다가, 10월 둘째 주 토요일에 마지막 회향을 낮재와 밤재 형식으로 이틀간 진행하면서 마무리한다. 칠재의 회향법회가 흔히 말하는 진관사 수륙재로 그 세부적인 재차는 다음과 같다. ① 시련으로 일주문 밖에서 영가를 모셔온다. ② 대령으로 모셔온 영가에게...
- 시대 :
- 조선 , 근대 , 현대
- 유형 :
-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재 齋교육성과에 따라 상급 재사(齋舍)로 승보(陞補)시켜 관직에 반영시킨 삼사재(三舍齋)가 운영되었다. 또한 예종 때 국자감을 국학(國學)으로 개편하면서 칠재(七齋)를 설치, 강좌 내용에 따라 ≪주역≫을 공부하는 곳을 이택재(麗擇齋), ≪서경≫을 공부하는 곳을 대빙재(待聘齋), ≪모시 毛詩≫를 공부하는 곳을 경덕재...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