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추론문법 推論文法, speculative grammar
    중세, 특히 13세기 후반의 언어학 이론.|'speculative'는 오늘날 '사변적'이라는 뜻을 갖고 있지만, 여기서는 그런 뜻이 아니라 '거울'이라는 뜻의 라틴어 'speculum'에서 유래한 낱말로서, 언어는 물질세계의 기초가 되는 현실을 반영한다는 믿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믿음에 따라 추론문법학자들은 언어의 차이점인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형식문법의 학습 문법추론, grammatical inference
    귀납추론의 한 가지. 문법추론, 형식언어의 학습, (형식)언어의 귀납추론이라고도 한다. 주어진 몇 개의 예문에서 이들 문장의 문법규칙을 추론하는 것을 말한다. 문법적으로 옳은 예문(양의 예)에만 입각하는 학습과, 옳지 않은 예문(음의 예)도 반대되는 예로서 주는 학습이 있다(예로부터의 학습 참고). 양의 예만의...
    분야 :
    인공지능
  • 귀납추론 귀납적 추론, inductive inference
    에서, “P1 : 새는 난다”를 도출하는 추론이다. 귀납추론에 관한 연구에는, 개념의 귀납적 학습(개념 학습, 예에서의 학습, 발견에 의한 학습 참고), 문법추론(형식문법의 학습), 프로그램 합성 등이 있다. 커넥셔니즘의 연구도 귀납추론과 관계가 깊다. 귀납추론의 이론적 연구에서는, 극한에서의 동정(identification...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인공지능
  • 모델 추론 시스템 MIS, model inference system
    학습 참고)에서 극한에 있어서의 동정(귀납추론 참고)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기억언어로서 1계술어 논리를 편찬하기 위해, 개념학습, 프로그램 합성, 문법추론(형식문법의 학습) 등을 통일적으로 다룰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매거에 의한 학습의 수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규모에 따라서 검색공간이...
    분야 :
    정보소자/회로
  • 열거에 의한 학습 열거에 의한 귀납추론, learning by enumeration
    귀납추론 수법의 하나이며, 생성-검사에 의해 학습의 대상이 되는 개념을 얻는 문법. 열거에 의한 귀납추론, 열거에 의한 동정 등이라고도 한다. 형식문법의 학습을 예로 들면, 문법규칙으로 될 것 같은 가능한 패턴을 규칙적으로 만들어내고는, 그것이 입력례를 만족시키는지를 조사하고, 모든 예를 만족시키는 문법...
    분야 :
    인공지능
  • 과잉일반화 過剩一般化, overgeneralization
    초기에는 문법 규칙을 지나치게 적용해서 생기는 과잉일반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들 들어 과거시제를 표현할 때 동사에는 현재형+ed를 붙이는 일반형과 불규칙동사가 있음을 구분하지 못하고 ‘putted’, ‘runned’등처럼 무작정‘-ed’를 써서 과거형을 표현하는 경우이다. 특히 말하기에서 ‘과잉일반화’의 경향이...
  • 좌뇌·우뇌적 사고 왜 한국인은 ‘감정 억제’에 서투른가?
    우뇌가 뛰어난 사람이라고 단정 짓는 현재의 풍조는 기대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정론은 경계하면서, 그저 "좌뇌가 논리적 추론과 더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거나 "우뇌가 직관과 더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식의 상대적 관점에서 그 차이점을 음미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좌뇌·우뇌론'이...
  • 양태 (문법) Modality (semantics), モダリティ
    직접 보아서 앎|čʰéemul-ya|비가 왔다sc |-|소리를 들어서 앎|čʰéemul-nme|비가 왔다sc |-|전해 들어서 앎|čʰéemul-ʔdo|비가 왔다sc |-|추론하여 앎 (가령, 길이 젖은 것을 보고)|čʰéemul-ʔka|비가 왔다sc |} 한국어에서 양태는 어미 등의 문법형태소와 보조용언 구성 및 의존명사가 포함된...
    도서 위키백과
  • 프리스키아누스 Priscianus
    문법의 기초〉는 7~9세기에 널리 인용되었으며 중세 학교에서 문법을 가르칠 때 기준으로 삼은 권위 있는 책이 되었다. 또한 이 저서는 13, 14세기에 추론문법(언어논리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오늘날 이 저서는 약 1,000점의 필사본으로 존재한다. 이 가운데 대부분은 1~16편만(프리스키아누스 메이저) 포함...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라틴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문법 Grammatical aspect, 相 (言語学)
    아래와 같다.sfn 결과상 → 결과로부터의 추론 → 간접 증거 ↘ 완성상 → 선행상 → 완망상 → 단순 과거 ↘ 파생적 완망상 비완망상 범주의 범언어적인 문법화...연속상 ↘ 비완망상 → 현재 시제 반복상 → 빈번상 → 습관상 ↗ 한국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관찰되는 문법상은 진행상과 완료상이 있다. ‘-아/어 오다...
    도서 위키백과
  • 애매성 ambiguity
    어떠한 문법도 애매할 때, 본질적으로 애매(inherently ambiguous)하다고 한다. 본질적으로 애매한 문맥자유언어의 예로서, L={aibjck|i=j 또는 j=k}가 있다. [3] 인공지능 분야. 지식처리에 관해서는 거의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① 제어의 비결정성(non-determinism), ② 다의성(multiplicity), ③ 불확실성...
  • 중등교과조선어문전 中等敎科朝鮮語文典
    문법에 근거하고 있고 문법 현상들에 대한 기술 내용이 국어학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대 국어학적 관점의 설명과 맥을 같이하거나 당시 현실 국어 문법 현상의 몇 가지 특성들을 추론해 낼 수 있는 특징들이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