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루탄 催淚彈, tear gas bomb
    최루성이 강한 약제를 충전한 탄알. 주로 시위 진압용으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약제는 최루가스로 불리는 CS 가스가 대표적이다. 종류로는 KM 25탄, SY44탄, 다연발탄 등이 있다. 안전수칙의 소홀로 인한 부상 외에도 눈의 통증이나 수포발생·구토증세·호흡곤란·피부염 등의 후유증을 남긴다. 1980년대에는 민주화 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최루탄 TG, 催淚彈
    CS 연소 혼합물 또는 CS 분말로 충전된 탄약. 수류탄, 탄약통, 포탄, 로켓 및 산탄통 등에 사용하고 CS 분말은 파열형 수류탄, 드럼통 및 폭탄 같은 대량 살포 장치나 살포기에 의해 사용된다.
    분야 :
    방호
  • 최루제 (관련어 최루탄) Tear gas, 催涙剤
    최루제(催淚劑, llang) 또는 눈물 가스는 주로 눈을 따갑게 만들고 눈 주위에 통증을 일으키며 심지어는 일시적인 실명 현상을 일으키는 화합물이다. 보통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최루탄(催淚彈) 같은 형태의 화학 무기로 쓰인다. 주로 시위 진압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최루 가스로는 클로로피크린이나 클로로아세토...
    도서 위키백과
  • 매운 고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준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암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암 연구(Cancer Research)’ 2010년 9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캡사이신이 최루탄의 원료로 이용되고, 염증이나 지극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라는 데 주목했다. 정상세포에서 캡사이신이 암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없었던 것이다. 또...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생물 , 건강
  • 이한열 李韓烈
    에 참여, 연세대 정문 앞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 가운데에서 교문 진출을 막으려는 전경들과 대치했다. 이날 일부 전경이 원래 고각으로 발사하도록 되어 있는 최루탄을 학생들을 향해 수평으로 발사했다. 이한열은 이 최루탄을 뒷머리에 맞아 두개골골절상을 입고 쓰러졌다. 사경을 헤매던 이한열은 7월 5일 뇌손상이...
    출생 :
    1966년 8월 29일
    사망 :
    1987년 7월 5일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최루탄 부상자 신고록」 催淚彈 負傷者 申告錄
    [제작 발급 경위] 1987년 6월 민주 항쟁 기간에 경찰은 시민을 향해 막대한 양의 최루탄을 무차별적으로 난사하였다. 무자비한 곤봉 세례와 함께 최루탄은 6월 민주 항쟁에 나선 시민들을 괴롭힌 또 다른 폭력 도구였던 것이다. 그 결과 서울에서 이한열이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것을 비롯하여, 부산에서도 이태춘이...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이한열 李韓烈
    도화선이 된 학생 운동가다. 1987년 6월 9일 전두환 군사정권의 독재 타도와 5 ・ 18 진상 규명 등을 외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전경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았다. 이 열사가 최루탄을 맞은 사실은 시민들의 분노로 이어졌고, 100만여 명이 넘는 학생 ・ 시민이 민주화를 외치며 거리로 몰려나온 계기가 됐다. 시위가...
  • 이한열 Lee Han-yeol, 李韓烈
    한 ‘박종철군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및 민주헌법쟁취 국민대회’를 하루 앞두고 열린 ‘6·10 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에서 전경이 쏜 최루탄을 맞고 요절하였다. 그의 죽음은 6월 항쟁과 6 · 29 선언의 도화선이 되었다. 이한열은 1966년 8월 29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서 이병섭(1932...
    도서 위키백과
  • 6월항쟁 6월민주항쟁, 六月抗爭
    각 대학별로 연일 집회와 시위를 벌였다. 그런데 6 · 10국민대회 하루 전날인 6월 9일 연세대 학생 이한열이 교문 앞에서 시위를 벌이다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피를 흘리며 쓰러졌다. 그는 곧 혼수상태에 빠졌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학생들은 물론 시민들의 분노가 들끓었다. 이러한 분노 속에서 6 · 10국민대회...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사회운동
    분야 :
    역사/현대사
  • 김주열 김영용, 金朱烈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59년 남원농업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가 자퇴하였다. 1960년 마산상업고등학교 입학시험 후 마산 3 · 15의거에 참가하였다가 경찰의 최루탄을 맞고 사망하였다. 사망 경위와 4 · 19혁명에의 영향 마산상업고등학교 입학시험 합격자 발표일 하루 전인 1960년 3월 15일에 형 김광열과 함께 이승만...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현대사
  • 6월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 六月民主化運動
    불씨가 던져졌다. 6·10대회로부터 6·29선언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 6월 10~18일 제1단계는 6·10대회로부터 6월 18일 '최루탄 추방 결의대회'까지의 기간이다. 6월 10일의 범국민대회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 아래 전국 22개 지역에서 40만 명이 참여한 가운데 전개되었으며, 시위...
  • 화염병 火焰甁
    1970년대 북아일랜드 분리운동, 1992년 LA 폭동, 팔레스타인 사태 등과 같은 분쟁과 분규 때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2015년 들어서도 그리스에서 경찰이 최루탄과 최루액으로 반정부 시위대에 대해 강제해산을 시도하자 시위대는 화염병을 던지며 격렬히 저항했고,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영국 시위대가 경찰을 향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일반상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