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장 뜨거운 물질을 담는 가장 차가운 그릇줄인 말이다. 1970년대 초반부터 선진국들은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토카막을 건설하여 본격적인 핵융합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부터 초전도기술이 접목된 초전도 토카막을 통해 핵융합에너지를 인류의 미래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는 늦게 출발했지만 차세대...
-
바닷물로 가는 배, 초전도 전자 추진선!전극판도 개발해야 한다.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지만 초전도 전자 추진선은 그만한 가치가 있다. 때문에 미국, 영국, 독일에서 전자유체력 추진기와 초전도를...포항공대에서 전자유체력 추진에 대한 기초 연구를 하고 있다. 초전도체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 중이라 머지않은 미래에 초전도 전자 추진선을 보게 될지도...
-
미래에 변전소가 사라지는 이유한다. 꿈의 기술이었던 초전도기술이 우리 옆으로 바짝 다가왔다. 수년 내에 초전도케이블이 상용화되면 거추장스러웠던 전봇대를 비롯해 지금까지 사용하던 송전설비는 서서히 사라질 것이다. 고품질의 전기를 더욱 싸고 풍부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 초전도기술이 바꿀 미래를 기대해 보자. (글 : 김정훈 과학...
-
초전도 전자 추진 超傳導電子推進, Super conduction Electr..기계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력을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가속하여 추진력을 얻는 방식. 과정은 원동기→직류 발전기→초전도 전자석→전자력 발생→추력 발생 순으로 진행된다. 초전도 자석으로 해수에 강한 자장을 형성하여 그 자장 중에 전류를 흘리고 여기서 발생하는 전자 유체력을 직접 추진력으로 이용하는...
- 분야 :
- 함정
-
고온 초전도 HTS, 高溫超傳導임계 온도가 높은 초전도체. 보통 초전도 물질의 임계 온도는 절대 온도에 가까워 초전도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값비싼 액체 헬륨으로 냉각해야 하지만, 임계 온도가 높은 재료를 초전도체로 사용하면 냉각 비용이 절감되므로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일례로 바륨 ・ 란탄 ・ 구리를 섞어 구운 세라믹 초전도체의...
-
고온 초전도 HTS, 高溫超電導절대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 초기 초전도 현상은 절대 온도에 가까운 온도에서 일어나 실용화가 지연되었지만 산화물...있다. 고온 초전도체는 주로 전력 분야 응용이 주종을 이루는 대형 스케일에서부터 미세 소자 응용에 이르기까지 여러 핵심 기술에 요긴하게 적용되고 있다.
-
초전도체 超傳導體, superconductor어렵다. 그 외에도 초전도체는 기계적, 열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여러 가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실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분야가 복합된 기술이 필요하다. 현황 현재 실용화된 초전도 기기는 모두 저온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것이다. 대표적인 것은 병원에서 볼 수 있는 MRI, 연구를 위한 특수한 목적에 사용되는 SQUID...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근접효과 (초전도) Proximity effect (superconductivity)근접효과(近接效果, llang)는 초전도 현상에서 초전도체가 정상의 비초전도체와 접촉될 때 발생하는 효과를 기술한다. 전형적으로 초전도체의 임계온도 T_{c}는 억압되고 약한 초전도의 신호가 정상의 물질에 관측된다. 초전도 근접 효과(SPE)는 쿠퍼쌍이 정상의 물질로 확산하고 전자 여기가 초전도체로 확산하여 유발...도서 위키백과
-
초전도 전자기 추진선올리고 있다. 그러나 MHD 추진시스템이 완전히 실용화가 되려면 상온에서 초전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신소재의 개발, 해수에 전류를 통함으로써 발생하는...영향 처리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수없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 추진기술이 완성되면 항공운송에도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운송 형태로 될 가능성이 충분히...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