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야권 初夜權, droit du seigneur
    봉건 영주가 봉신의 신부와 초야를 치를 수 있는 권리. (프랑스어'영주의 권리'라는 뜻).|중세 유럽에 존재했다고 전해진다. 여러 원시사회에서도 이와 비슷한 관습을 찾아볼 수 있으나, 유럽에서 그러한 관습이 존재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증거는 영주의 초야권이 실제로 행사되었다는 기록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초야권 Droit du seigneur, 初夜権
    초야권(初夜権, llang)은 중세 영주가 자신의 영지에 보호받고 있는 농노의 딸에 대한 처녀성을 취하는 권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초혼권'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해당 개념을 정의하는 초야권은 중세 이후의 낭만주의 시기의 문학에 등장한 단어이며 실제로 중세 유럽시기에 초야권이 시행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초야...
    도서 위키백과
  •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K.492
    피가로와 백작 부인의 하녀 수잔나의 결혼식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하루 동안의 해프닝을 다루고 있지만, 작품 안에는 백작이 하녀를 상대로 행사하려는 초야권이라는 악습, 그리고 하인이 백작을 골탕 먹이는 설정, 백작 부인과 하녀 수잔나가 서로 옷을 바꿔 입는 장면 등 귀족 사회와 신분 제도를 통렬하게 풍자하는...
    시대 :
    고전
    분류 :
    고전주의 음악 > 오페라
    제작시기 :
    1785~1786년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원작 :
    오귀스탱 카롱 드 보마르셰 《피가로의 결혼》
    초연 :
    1786년 5월 1일, 오스트리아 빈 부르크 극장
    등장인물 :
    • 알마비바 백작(바리톤) • 백작 부인(전작에서의 로지나, 소프라노) • 수잔나(백작 부인의 시종이자 피가로의 약혼자, 소프라노) • 피가로(백작 집안의 시종, 바리톤) • 케루비노(백작의 하녀, 메조소프라노) • 바질리오(음악 선생으로 전작에서는 바르톨로의 집에 출입하고 있었다, 테너) • 마르첼리나(백작 집안의 하녀 우두머리, 메조소프라노) • 돈 쿠르치오(재판관, 테너) • 바르톨로(세빌랴의 의사로 원래 로지나의 후견인, 베이스) • 안토니오(정원사, 베이스) • 바르바리나(정원사의 딸, 소프라노) • 두 소녀(소프라노)
    배경 :
    18세기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수도 세비야
    대본(리브레토) :
    로렌초 다 폰테
    구성 :
    4막 오페라 부파
  • 삼추가연 三秋佳緣
    〈혜원풍속화첩〉에 실려 있는 그림이다. 화제 ‘삼추가연’은 ‘깊어가는 가을에 아름다운 인연을 맺는다.’는 뜻이나 사실은 어린 기생의 머리를 얹어주는 초야권을 사는 장면이다. 그림의 왼쪽에는 국화꽃이 피어 있고 오른쪽에는 젊은 남자와 늙은 할미가 보인다. 그리고 그 앞에는 댕기머리를 늘어뜨린 젊은 처녀가...
    도서 다음백과
  • 나리의 권리
    세 농노 처녀를 데리고 와서 선보이는 모습이다. 이 그림의 배경은 유럽이지만 러시아의 현실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화가는 그때까지도 농노 처녀들의 초야권을 가지고 있던 러시아 귀족의 모습도 비유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귀족들은 농노를 사람으로 취급하지 않았다. 사랑의 대상은 더더욱이 아니었다. 러시아...
    제작시기 :
    1874년
    작가 :
    바실리 폴레노프
  • 한족 Han Chinese, 漢民族
    그리고 몽골 군인 1명당 100명의 한족들이 배당되어 한족들이 칼같은 무기를 가지고 있는지 감시하였고 라마교를 핑계로 한족여성들은 몽골 군인들에게 초야권을 바쳐야 했다. 그래서 당시 한족들은 첫째 아이는 살해하는 풍습까지 생겼다. 이런 초야권은 역사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원나라에서만 보여지는 특수한 문화로...
    도서 위키백과
  • 초야
    초야는 다음 뜻으로 쓰인다. 첫날밤 치르기 초야권《초야》(1967) - 대한민국의 영화. 《임시링크》 - 홍콩의 영화. 《임시링크》 - 중화인민공화국의 드라마.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초야권(droit du seigneu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