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미세구조 超微細構造, hyperfine structure
    분광학에서 하나의 스펙트럼선이 여러 개의 선으로 분리되는 것.|이 현상은 원자핵에 의한 효과이며 간섭계라고 하는 광학기기가 없이는 보통의 분광기에서 측정될 수 없다. 미세구조에서 스펙트럼선의 분리는 전자의 스핀-궤도결합(전자의 궤도운동과 스핀 운동의 상호작용)에 의해 에너지 변화가 일어나서 생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초미세구조 超微細構造, ultrastructure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최소미세입자(最小微細粒子)의 구조. 광학현미경보다 해상력이 뛰어난 초현미경(超顯微鏡)이나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해야 보이는 구조이다.
  • 초미세구조 HFS, hyperfine structure
    궤도전자의 전각 운동량과 원자핵스핀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준위 또는 스펙트럼의 분리
  • 초미세플라스틱, 모유 수유 통해 자손에게 전달
    관찰 또는 검출이 매우 어렵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녹색 형광으로 표지된 초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게 했다. 그리고 이들에게서 태어난 새끼를 관찰한 결과, 미세...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모체에서 태어난 자손에서는 뇌의 구조적 이상이 발견되었다. 특히,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영역인 해마 영역에서 뇌 신경세포...
  • 20세기의 생물학
    본다면 20세기는 분자생물학이 발전해온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개념의 발전 X선 회절과 전자현미경 등의 현대적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세포의 초미세구조를 탐구하여 세포 기능에 관한 새로운 개념들이 생겨났다. 세포 분자구조에 관한 연구는 20세기의 생물학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생명현상의 깊은 이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생물 , 학문
  • 전자 스핀 공명
    껍질과 리간드 장 사이의 정전기적인 에너지이다. 이러한 에너지 준위는 많은 다른 공명주파수로 이루어진 스펙트럼, 즉 미세구조를 보여준다. 전자 스핀 공명의 또다른 중요한 성질은 전자의 자성과 핵의 모멘트의 상호작용으로 미세 구조 공명 스펙트럼의 성분이 또다시 여러 개의 초미세구조(超微細構造)로 갈라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윌리스 유진 램 램, Willis Eugene Lamb Jr.
    교수가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동대학교의 복사연구소에서 일했다(→ 양자전기역학). 폴 디랙(Paul A. M. Dirac)이 스펙트럼에 나타난 선들이 초미세 구조를 갖는 것을 예측한 것에 비해 램은 이러한 선들을 측정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적용해서 1947년 그 선들의 위치가 디랙이 예측한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출생 :
    1913. 7. 12,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3차원 프린팅으로 실험용 인공 폐 개발
    모양을 지닌다. 폐포막은 상피층-기저막-내피 모세혈관층으로 된 3층 구조로 두께가 매우 얇다. 이렇게 얇고 복잡한 구조를 지닌 폐포를 정확히 모사하는 데...폐 모델을 제작했다. 드롭 온 디맨드 잉크젯은 카트리지에 가하는 압력으로 초미세 잉크 방울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입힐 수 있는 바이오 프린팅의 한 방법...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오존이 무엇이길래, 마스크로도 막지 못하나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존에 대비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 마스크를 쓰면 될까? 안타깝게도 오존은 가스 형태의 기체이기 때문에 아무리 초미세 먼지까지 걸러주는 마스크를 쓴다 해도 소용이 없다. 현재로서는 그저 바깥 활동을 줄이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직장에서 대부분의 시간...
  • 분자분광학의 영역
    에너지 준위가 전기·자기장에 영향을 받아 서로 다르게 공간양자화되며, 이들 사이의 전이를 이 분자 빔 분광계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자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자기 모멘트와 원자핵의 자기 모멘트에 의해 생기는 초미세구조에서의 전이도 관찰할 수 있고, 분자의 전기 쌍극자 모멘트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나가오카 한타로 長岡半太郞, Nagaoka Hantaro
    1903)은 각국의 주목을 받았으며, 이 모형은 러더퍼드·보어의 원자모형의 선행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그뒤 원자의 분광학적 연구에 주력하여 수은 등 초미세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실험했다. 1917년 이화학연구소의 설립과 동시에 그 연구원이 되었으며, 지진연구소 연구원, 오사카대학 초대 총장(1931~34), 제국학사원...
    출생 :
    1865. 8. 18, 일본 나가사키[長崎]
    사망 :
    1950. 12. 11,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광학간섭계 optical interferometer
    매우 크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다중반사된 빛의 세기는 매우 천천히 감소하며 폭이 좁고 뚜렷한 줄무늬를 이룬다. 이 기구를 이용하면 선스펙트럼의 초미세구조(超微細構造)를 해명할 수 있고, 좁은 분광선의 폭을 알 수 있으며, 표준으로 쓰는 미터 단위의 길이를 재결정할 수 있다. 피조-로랑 표면간섭계는 가공된 표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