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어떤 망원경이 얼음을 사용하여 우주를 연구하는가? (관련어 체렌코프 복사)중성미자가 물질을 통과할 때 충돌은 체렌코프 복사라고 불리는 파란색 빛의 짧은 반짝이는 현상을 일으킨다. 만약 이러한 현상이 다른 불순물 혹은 공기 방울이 없는 얼음덩어리에서 일어나게 되면, 체렌코프 빛은 민감한 광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천체물리학은 이 같은 얼음의 특성을 이용해 세계에서 가장 큰 ...
-
체렌코프 Pavel Alekseyevich Cherenkov체렌코프 복사라고 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와 해석으로 소련의 I. Y. 탐, I. M. 프랑크와 함께 195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체렌코프 복사). 1928년 보로네슈대학교를 졸업했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물리학 연구소에서 연구학생으로 있던 1934년 체렌코프 복사효과를 관찰했다. 그는 이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있다가...
- 출생 :
- 1904. 7. 28(구력 7. 15), 러시아 노바야치글라
- 사망 :
- 1990. 1. 6, 소련
- 국적 :
- 러시아
-
우주선을 관측하는 데 어떤 망원경을 사용하는가?rays)은 매우 강력해서 어떤 방해물도 관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구 자체도 통과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때때로 대기의 물질과 충돌하여 체렌코프 샤워라 불리는 마치 폭포처럼 쏟아지는 연쇄 전자기 복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 같은 강력한 우주선을 연구하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대기 체렌코프...
-
일리야 프랑크 프랑크, Ilya Mikhaylovich Frank것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고속 입자의 속도를 검출하고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로 이어졌고 핵물리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것이 되었다(→ 체렌코프 복사). 프랑크와 탐은 1937년 이 효과에 대한 이론적인 해석을 제공했다. 프랑크는 또한 체렌코프·탐과 함께 전자복사에 대해 연구했고 이것으로 이들 모두 1946년...
- 출생 :
- 1908. 10. 23(구력 10. 10),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사망 :
- 1990. 6. 22, 소련?
- 국적 :
- 소련
-
2015 노벨 물리학상 유령입자' 중 중성미자의 변신은 무죄중성미자를 포착했다. 탱크 안에서 중성미자가 물 분자와 충돌할 때 빠르게 대전된 입자가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렌코프 복사'를 광센서가 측정하는 방식이다. 체렌코프 복사의 형태와 강도를 통해 중성미자의 상태와 중성미자가 어디서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비스 교수는 미국 사우스다코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