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각장애 hearing impairment, 聽覺障碍
    청각장애인의 기준은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에 따르면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dB 이상인 자, 또는 한쪽 귀의 청력손실이 80dB 이상, 다른 쪽 귀의 청력손실이 40dB 이상인 자, 또는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 이하인 자로 정의된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청각장애를 농과 난청으로 구분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청각 장애 (관련어 청각장애) Hearing loss, 听力减退
    질병 정보 (신규) 청각 장애(聽覺障礙, Hearing impairment and deafness)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이다. 청각 장애는 한쪽 귀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고 양쪽 귀 모두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어린이에게 청각 문제는 언어를 배우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도서 위키백과
  • 난청 (관련어 청각장애) 難聽, hearing impairment
    청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소실되는 장애(→ 청각장애). hearing loss,hearing disturbance라고도 함.|일반적으로 청력은 들을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소리로 측정되므로, 소리의 특성과 주위 환경을 규정된 조건 아래에 두었을 때 정해진 크기 이하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을 난청으로 정의한다. 들을 수 있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증상
  • 소아 청각장애
    개요 소아 청각장애란 유, 소아에서 청각 이상을 호소하는 모든 질환 또는 증상 자체를 말합니다. 청각장애라고 하면 귀를 통해 정상적으로 소리를 듣는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난청 외에도 귀에서 정상적으로는 들리지 않아야 하는 불쾌한 잡음이 들리는 이명도 청각장애에 포함...
  • 청력장애
    듣는 것에 문제가 있음
    발생 부위 :
    관련 질환 :
    두개 유합증, 구개열, 만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감각신경성 난청, 청신경초종, 소이증, 부신백질이영양증, 22번 염색체 장완 미세결실 증후군, 골형성부전증, 파이퍼 증후군 , 스티클러 증후군, 바르덴부르크 증후군, 외이도염, 외상에 의한 고막 천공, 진주종, 메니에르병, 고막염, 노인성 난청, 급성 중이염, 난청, 거대세포 바이러스 질환, 라싸열, 신경초종
    도서 증상백과 | 태그 증상
  • 청각장애 있으면 촉각도 둔하다?
    시각이나 청각 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다른 감각기관이 더 발달한 경우가 많다. 부족한 감각을 보완하기 위해 뇌가 다른 감각 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리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유전적으로 청각 장애를 갖고 태어난 사람들은 촉각도 둔하게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델브뤽 분자의학...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건강 , 인체
  • 소음성난청 騷音性難聽, noise induced hearing loss
    난청의 초기에는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청력검사를 통해 난청을 초기에 진단하여 더이상의 소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 대화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미 대화장애가 심하게 진행된 사람은 보청기로 어느 정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소음성난청은 일단 진행되면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증상
  • 청각장애인 시각 기능 뛰어난 이유
    청각장애인의 시각 기능이 일반인보다 뛰어나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미국 오리건 대학의 뇌과학자 헬렌 네빌 교수 연구팀은 청각장애를 가진 고양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원래 청각에 관여한 뇌 부위의 일부분이 시각 정보를 처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고양이의 뇌 구조는 인간과 흡사해 연구 결과가 실제...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건강 , 인체
  • 생후 7~10개월 아기발달, 아기의 청각발달
    발달한다. 가족의 목소리를 듣고 누구인지 분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종이가 부스럭대는 소리에도 반응을 나타낸다. 출생 직후나 생후 4개월경이 심한 청각장애를 조기발견 할 수 있는 시기라면, 생후 7~10개월은 경한 청각장애를 조기발견 해야 하는 시기이다. 보통 아기가 엄마의 목소리에 돌아보지 않으면 아기가 소리...
    도서 아기발달 백과 | 태그 건강
  • 시 · 청각장애인의 저작물 이용
    사회복지관에서 시 · 청각장애 어린이들을 위해 명작동화들을 점자와 수화로 변환하고자 한다. 저작권 침해가 되는가? 공표된 저작물은 시각장애인 등을 위하여 점자로 복제 · 배포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장애인 등의 복리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시각...
    분류 :
    저작재산권의 제한
  • 출생~생후 3개월 아기발달, 아기의 청각발달
    때문에 아기들이 이 소리에 진정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아기가 태어나면서부터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선천적으로 청각장애가 있거나 난청을 가진 아기들을 빨리 발견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생후 1개월 이내에 아기가 잘 들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도서 아기발달 백과 | 태그 건강
  • 언어장애 言語障碍, speech disorder
    유창성 장애 말더듬을 말합니다. 아동 언어장애의 원인 1) 언어발달지연 언어적 자극이 적은 환경적인 요인 외에 정신지체, 전반적 발달장애, 청각장애, 학습장애, 정서장애, 뇌기능장애, 자폐증 등의 기질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언어발달 지연이 있는 아이들은 부모의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며 조기진단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인공 와우(cochlear implant)
청력검사(hearing te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