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첨필 尖筆, stylus
    글을 쓰거나 표시를 하는 데 사용하는 끝이 뾰족한 도구.|고대에는 양피지 또는 파피루스에 글을 쓰는 도구로 사용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밀랍을 입힌 회양목 판에 끝이 뾰족한 금속이나, 뼈 또는 상아 촉으로 만든 첨필로 글자를 새겼다. 중세에는 첨필과 비슷한 도구를 이용해서 검거나 푸른 밀랍을 입힌 나무 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첨필 Stylus, スタイラス
    다른 뜻 넘어옴 첨필(尖筆, Stylus)은 점토나 왁스판 위에 글자를 쓸 수 있도록 고안된 딱딱한 침 모양의 필기구이다. 그래픽 태블릿이나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펜도 일종의 첨필이라고 할 수 있다. 첨필은 볼펜과 비슷하게 길쭉한 모양새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 고대 로마에서는 왁스판 위에 글자를 새길 수 있도록 고...
    도서 위키백과
  • Stylus 첨필
    A stylus, plural styli or styluses, is a writing utensil, or a small tool for some other form of marking or shaping, for example in pottery. It can also be a computer accessory that is used to assist in navigating or providing more precision when using touchscreens. It usually refers to a narrow ...
  • 드로잉 소묘, drawing
    가시적인 세계 속에 존재하는 대상들 뿐 아니라 개념·사고·태도·감정·환상, 나아가 상징과 추상적 형태 등을 평면 및 입체의 표면 위에 선으로 표현하는 것 일반을 지칭한다. 또한 이러한 정의는 회화에 국한되지 않고 매스와 색채보다는 형태와 형상을 특징적으로 강조하는 모든 유형의 그래픽 미술과 기법에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드로잉의 도구와 기법
    삽화를 넣은 〈단테의 신곡〉 역시 후에 흐려진 선들을 펜으로 수정하였다. 철필은 18세기에 들어와 특히 건축 드로잉에서 투시도나 설계도에 사용된다. 은첨필은 납침보다 영구적이며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드로잉 할 바탕의 특별한 준비가 필요하다(은첨필). 이것 역시 엷은 회색톤이지만 산화되면서 밤색으로 변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가산기 加算器, adder
    주로 덧셈과 뺄셈을 할 때 사용되었다. 평평하고 손바닥 크기만 한 이 기계식 계산기에는 세 가지 주요 부품인 계산을 위한 부품, 첨필, 가산기를 재가동시키는 핸들이 있다. 첨필의 끝을 금속판에 새긴 금에 삽입함으로써 표시된 수들이 있는 금속조각을 위나 아래로 밀면 수들이 더해진다. 기어나 서로 연결된 부품은...
  • 텔오토그래프 TelAutograph
    송신기에서 펜이나 첨필로 전송하고자 하는 원고를 모사하면 이 움직임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기로 전송된다. 수신기에 있는 펜이나 첨필은 송신기의 펜과 동일한 운동을 하여 육필이나 스케치를 재생해낸다. 텔오토그래프는 1895년 미국의 E. 그레이와 영국의 A. C. 쿠퍼에 의해 거의 동시에 발명되었다.
  • 쐐기 문자 설형 문자, cuneiform writing
    반복으로, 고유명사는 수수께끼 풀이원칙, 즉 그림을 그것이 묘사하는 대상물이 아니라 통상적 발음에 따라 해석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한 그림의 조합으로 표시했다. BC 2000년대에 그림은 점차 단순한 선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는데, 끝이 경사진 첨필로 말랑말랑한 점토판에 눌러 썼기 때문에 쐐기 모양(楔形)이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프레스콧 William H(ickling) Prescott
    그의 시력은 양호한 상태에서 완전한 실명상태로 바뀐 것 같다. 그러므로 그는 녹토그래프라는 기구에 의존했는데, 이 기구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표면 위에 첨필로 유도된 평행철사들로 이루어진 필기용 석쇠였다. 그의 책과 서신의 상당부분은 이 장치에 의존하여 씌어졌다. 1814년 하버드를 졸업한 뒤 관절이 늘어나고...
    출생 :
    1796. 5. 4, 미국 매사추세츠 세일럼
    사망 :
    1859. 1. 28, 보스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설형문자 쐐기 문자, 楔形文字
    해석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한 그림의 조합으로 표시했다(→ 수수께끼그림). BC 2000년대에 그림은 점차 단순한 선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는데, 끝이 경사진 첨필로 말랑말랑한 점토판에 눌러 썼기 때문에 쐐기 모양[楔形]이 되었다. 이전 시기의 설형문자가 위에서 아래로, 즉 세로 형태로 씌어진 데 비해 이 시기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시간이 흐르면서 수메르인의 문자 수 체계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만큼 회전시켜 숫자 기호를 나타냈으며, 기원전 2700년경에는 필기도구를 바꿔 수를 다르게 나타내기 시작했다. 한쪽 끝은 원통 모양이고 다른 쪽 끝은 뾰족한 첨필로 된 것을 납작하게 만들어 사용한 것이다. 이들은 점토판이 아니라 필기도구를 바꿈으로써 새로운 기호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새로운 방법으로 표기한...
  • 수직준 垂直皴
    사용했던 한국적인 준법이다. 수직으로 죽죽 그어내리는 독특한 형태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뾰족한 봉우리나 암산을 묘사하는 데 적합한 기법이다. 정선은 첨필의 수직준을 힘있게 반복·구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산천을 개성있게 조형해냈다. 특히 금강산 골산의 외형적 특징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호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