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철골구조 鐵骨構造, steel frame construction
    인류가 철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BC 5000년경부터였지만, 건축의 주요부분에 철을 사용하게 된 것은 18세기 산업혁명 이후부터이다. 처음에는 건물의 지붕 및 기둥 등에 주철과 연철이 사용되었다. 1851년 J. 팩스톤이 설계한 런던의 크리스털팰리스는 주철골조와 유리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로서 당시 사람들을 경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철골 구조 Steel frame, 鉄骨構造
    철골 구조는 수직의 강철 기둥과 수평의 형강으로 골격을 짜 건물의 하중을 떠받게 하고 내장재와 외장재 등은 커튼월 형식으로 장착하는 건축 기술이다. 이렇게 하면 건물의 외벽에는 그다지 하중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건축이 가능하다. 이 기술의 발달로 마천루 건설이 가능해졌다.웹 인용 강철을 압연하...
    도서 위키백과
  • 주택 住宅, housing
    주택은 인간관계를 이어나가는 장소인 동시에 개인과 한 주거단위 집단체의 사회적·경제적 환경 안에서의 상대적 입지이다. 또한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욕구를 2차적으로 채울 수 있는 준비공간이다. 그러므로 주거를 정하는 데 있어서 그 주변의 여러 가지 편익시설을 비롯해 이웃과의 관계, 그 지역에 대한 사회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건축물
  • 19세기 건축, 부알로와 라브루스트 19세기 구조 합리주의
    Henri Labrouste, 1801~75)였다. 두 사람 모두 18세기 구조 합리주의를 이어받아 구조 효율성이 강한 선례 양식을 철물 건축에 접목해 새로운 모습으로 해석해...후반에는 비올레르뒤크(Viollet-leDuc)가 이 흐름을 받아 집대성해서 20세기 철골 건축으로 넘겼다. 이런 접근은 공학적, 산업적 성격이 강한 철물 건축이...
  • 주택구조
    개요 주택구조는 그 구조를 이루는 재료에 따라 목조, 조적식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목조 산림자원이 풍부한 독일·미국·캐나다 등에서 예로부터 발달한 구조이다. 한국의 고대건축물은 거의 목조로 이루어졌는데, 이 구조는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러 크게 발전했다. 목조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건축방법
    널빤지로 감싸는데 비바람을 막기 위해 서로 연결하고 중첩시킨다. 이런 작업은 골조를 꽉 조이고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철골구조와는 달리 구조적으로 독립되어 있지 않다. 철골구조는 재료가 대단히 강해 적은 부재로도 훨씬 견고하므로 전체적으로 무척 단순하다. 철강은 하중 지지력이 좋아 다른 재료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에펠탑 파리의 상징이자 프랑스의 상징
    세우기에 이상적이라는 이유로 위기를 모면했기에 지금까지 남아 있다. 에펠탑이 처음 세워졌을 때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건물 전체가 철골 구조로 되어 있고 그래서 강한 바람에도 13cm 이상 흔들리지 않고, 기타 위험으로부터 탑을 잘 고정시켜 준다. 또한 철골이기 때문에 더운 여름에는 15cm가 더...
    소재지 :
    5 Avenue Anatole France, Champ de Mars 75007
    요금 :
    엘리베이터: (2층) 일반 9유로, 12~24세 7유로, 4~11세 4.50유로
    가는 법 :
    Mètro: 6호선 비르 아켐(Bir Hakeim) 역에서 도보 5~7분
    사이트 :
    www.tour-eiffel.fr
    이용 시간 :
    엘리베이터: (6월 중순~8월) 09:00~24:45 / (9월~6월 중순) 09:30~23:45
  •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三豊百貨店崩壞事故
    하중 적재 문제가 된 5층은 애초의 설계와 전혀 다르게 지어졌다. 건축허가 신청 때 제출된 설계도에서는 백화점 5층은 롤러스케이트장으로 계획되어 외벽 철골구조이며, 지붕이 대부분 유리로 설계되어 있었다. 그러나 5층 외벽은 비용은 싸지만 철골구조보다 약하고 더 무거운 콘크리트로, 지붕은 슬라브로 바뀌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사회 , 사건/사고
  • 19세기말 건축
    영국의 산업혁명은 철골구조 건물을 등장시키면서 새로운 유형과 구조법을 가져왔다(→ 골조식 건물). 1770~72년 도드는 리버풀에 주철기둥을 사용한 세인트앤 교회를 건설했으며, 그후 J. 와트와 M. 볼턴은 맨체스터의 목면공장에 주철제 기둥과 주철제 보를 사용했다. 이 시기의 많은 건축가들은 고전양식에 철골구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마천루 摩天樓, skyscraper
    처음 지은 마천루들은 구조적인 이유 때문에 저층부 벽을 매우 두꺼운 석조로 만들 수밖에 없었으나, 곧이어 건축가들은 주철(鑄鐵)과 연철(鍊鐵)로 된 철골구조를 사용하여 고층부의 하중(荷重)을 지지하도록 만들었으며, 이 덕분에 저층부 공간이 훨씬 넓어졌다. 제임스 보가더스는 고층부 바닥과 지붕의 하층을 받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오르세 미술관에 가기 전 알아두어야 할 것들
    강, 루브르 궁을 마주한 곳에 산업화의 상징인 ‘괴물 같은 기차역’을 세운다는 것이 못마땅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축가 빅토르 랄루(Victor Laloux)는 철골구조로 지어진 기차역의 외관을 대리석으로 마감하고, 뛰어난 조각가들의 작품들로 장식하여 시민들의 우려를 한 번에 떨쳐내는 데 성공했다. 370여 개의 객실...
  • 광진교 廣津橋
    복구했으며, 하부구조의 양끝 교량받침은 강북에 확대기초, 강남에 우물통기초로 되어 있었다. 기둥은 구주식(構柱式) 32기(基), 중력식(重力式) 7기 및 철골구조 2기로 되어 있었다. 이 교량은 천호대교가 생기기 전까지 서울시 도심과 천호동을 연결하는 유일한 교량였다. 주변의 광나루유원지는 한강·뚝섬과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크리스털 팰리스(Crystal Palace)
트러스 (truss)
서울대학교미술관 외부 철골 구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