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막벌레나방 tent caterpillar moth
    나비목 솔나방과 말라코소마속에 속하는 나방들. 크기는 1.2~2.1cm이다. 식성은 초식으로, 주로 앵두나무, 자두나무, 벚나무 등을 먹는다. 한국, 유럽에서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등에 분포한다. 유충이 거미줄과 같은 줄을 이용해서 만든 천막에서 쉬는 특성이 있다.|정의 곤충강 나비목 솔나방과 말라코소마속에 속...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솔나방과 > 말라코소마속
    먹이 :
    앵두나무, 자두나무, 벚나무, 복숭아
    크기 :
    약 1.2cm ~ 2.1cm
    학명 :
    Malacosoma neustria
    식성 :
    초식
    분포지역 :
    한국, 유럽에서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대만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천막벌레나방
    수컷 체장은 18 mm 정도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35 mm 정도이다. 날개는 황갈색이고 앞날개의 중앙에 2개의 갈색 선이 있으며 중간은 그 빛깔이 약간 진하다. 암컷 체장은 20 mm 정도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40 mm 정도이다. 날개는 담등색이고 앞날개의 중앙부는 적갈색의 넓은 띠가 있다. 유충 유충의 체장은 45 mm 정...
    분류 :
    나비목 > 솔나방과
    학명 :
    Malacosoma neustria (Linnaeus, 1761)
    출현시기 :
    6월
  • 천막벌레나방 텐트나방, Tent caterpilla..
    날개편길이 수컷 21~28mm, 암컷 39mm. 한반도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나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서는 유럽에서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대만에 걸쳐 분포한다. 성충은 5~8월에 걸쳐 연 1회 나타난다. 유충은 장미과식물과 버드나무, 포풀러, 밤나무 등 많은 종류의 나무에 붙는다. 유충은 가지 위에 실을 토...
    분류 :
    나비목>누에나방상과>솔나방과
    크기 :
    날개편길이 수컷 21~28mm, 암컷 39mm
    학명 :
    Malacosoma neustria (Linnaeus)
    분포지역 :
    한반도 전역, 유럽에서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대만
  • 천막벌레나방 Lackey moth, オビカレハ
    생물 분류 천막벌레나방은 솔나방과에 속하는 나방이다. 칼 폰 린네가 자신의 1758년 책 《자연의 체계 제10권》에 처음 기술하였다. 원산지는 브리튼 제도 남부 및 중부 유럽이다. 천막벌레나방의 애벌레는 주황색과 하얀색 띠가 있는, 푸른빛이 감도는 갈색을 띠며 큰키나무나 작은키나무에 견사를 둘러 쳐서 지은 집...
    도서 위키백과
  • 나방살이납작맵시벌
    반전(反轉)하고 있다. 산란관은 몸길이보다 다소 짧다. 수컷은 작고 배는 가늘고 길다. 많지 않다. 10∼15mm (수컷), 6mm (암컷) 정도 서울 배추흰나비, 상제나비, 잠자리가지나방, 솔나방, 미국흰불나방, 사초독나방, 매미나방, 물결부전나비, 천막벌레나방, 가죽나무고치나방, 호랑나비 등의 유충과 번데기에 기생한다...
    분류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 납작맵시벌족(Pimplini)
    학명 :
    Pimpla disparis (Viereck)
    국내분포 :
    지리산 중산리
    해외분포 :
    캐나다 온타리오, 중국 안후이, 중국 베이징, 중국 푸젠, 중국 간쑤, 중국 허베이, 중국 헤이룽장, 중국 허난, 중국 후베이, , 중국 후난, 중국 장쑤, 중국 장시, 중국 지린, 중국 랴오닝, 중국 내몽고, 중국 닝샤
    발생시기 :
    5-6월
    도서 맵시벌사전 | 태그 곤충
  • 나방의 채집과 사육
    좋은 종을 많이 모을 수가 없다. 알 채집은 찾기가 어려우나 개중에는 천막벌레나방이나 매미나방과 같이 한 알덩어리를 찾으면 많은 유충을 얻을 수 있는 종도...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이 짧고 먹이가 적게 들기 때문에 그림 (B)처럼 공간이 좁은 곳에서도 쉽게 기를 수 있으나, 큰 나방류는 유충기간이 길고 먹이가...
  • 검정마디꼬리납작맵시벌
    반 길이이다. 뒷가슴의 위쪽에 기울어진 잔주름이 있고 몸은 더 광택이 있고 앞다리와 가운데다리는 밑마디와 도래마디 이외는 완전히 갈색 또는 암적색이다. 18mm, 산란관 7.5mm 생태 상제나비, 멧누에나방, 사초독나방, 매미나방, 천막벌레나방, 호랑나비, 줄점팔랑나비, 모시나비, 가죽나무고치나방의 번데기에 기생...
    분류 :
    벌목 > 맵시벌과
    학명 :
    Coccygomimus luctuosa Smith, 1874
    출현시기 :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 검정마디꼬리납작맵시벌
    배의 반 길이이다. 뒷가슴의 위쪽에 기울어진 잔주름이 있고 몸은 더 광택이 있고 앞다리와 가운데다리는 밑마디와 도래마디 이외는 완전히 갈색 또는 암적색이다. 18mm, 산란관 7.5mm 상제나비, 멧누에나방, 사초독나방, 매미나방, 천막벌레나방, 호랑나비, 줄점팔랑나비, 모시나비, 가죽나무고치나방의 번데기에 기생...
    분류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학명 :
    Pimpla luctuosus (Smith)
    국내분포 :
    강원도 춘천시 서면 오월리 춘천댐 북쪽방면
    해외분포 :
    중국 베이징, 중국 푸젠, 중국 간쑤, 중국 광시, 중국 구이저우, 중국 허베이, 중국 허난, 중국 후베이, , 중국 후난, 중국 장쑤, 중국 장시, 중국 랴오닝, 중국 산시, 중국 산둥, 중국 상하이, 중국 쓰촨, 타이완
    발생시기 :
    4∼9월
    도서 맵시벌사전 | 태그 곤충
  • 먹수염납작맵시벌
    수컷의 얼굴과 더듬이의 자루마디 아랫면은 완전히 황색이다. 성충은 6∼10월에 출현하며 흔히 있다. 20mm정도다. 뽕나무들명나방, 천막벌레나방, 가죽나무고치나방, 몸노랑들명나방, 유리산누에나방, 솜들나방 등의 유충과 번데기에 기생한다.
    분류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 황다리납작맵시벌족(Ephialtini)
    학명 :
    Acropimpla persimilis (Ashmead)
    국내분포 :
    경기도 포천군 소흘읍 직동리 광릉
    해외분포 :
    중국 푸젠, 중국 헤이룽장, 중국 랴오닝, 중국 산시, 중국 산둥, 중국 저장, 일본 혼슈, 러시아
    발생시기 :
    6-10월
    도서 맵시벌사전 | 태그 곤충
  • 담흑납작맵시벌
    각 마디의 가두리는 황색이다. 제1배마디는 보통 기부가 흑색이고 제2∼6배 마디의 기부에는 가로줄 또는 2개의 점을 이룬 흑색 무늬가 있다. 다리도 암색이나 앞다리의 밑 마디와 도래 마디는 아랫면이 황색이다. 6∼15mm 상제나비, 잠자리가지나방, 솔나방, 천막벌레나방, 줄점팔랑나비 등의 번데기에 기생한다...
    분류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 납작맵시벌족(Pimplini)
    학명 :
    Theronia atalantae gestator (Thunberg)
    국내분포 :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해외분포 :
    중국 베이징, 중국 구이저우, 중국 헤이룽장, 중국 후베이, , 중국 후난, 중국 장쑤, 중국 지린, 중국 랴오닝, 중국 산시, 중국 쓰촨, 중국 윈난, 중국 저장, 인도, 일본 혼슈, 러시아
    발생시기 :
    10월
    도서 맵시벌사전 | 태그 곤충
  • 오렌지다리납작맵시벌
    점각이 많고 각 마디의 뒷슭은 융기했다. 산란관은 짧아서 배의 반밖에 안 된다. 다리는 등황색이다. 그러나 밑마디와 도래마디는 흑갈색이고 뒷다리종아리마디와 발목마디는 암갈색이다. 10∼20mm 생태 성충은 8월에 채집되었으나 많지 않다. 천막벌레나방, 얼룩매미나방, 상제나비, 매미나방, 사과독나방 등에 기생...
    분류 :
    벌목 > 맵시벌과 > 어리나나니속
    학명 :
    Coccygomimus instigator (Fabricius)
    출현시기 :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 민꼬리납작맵시벌
    꼬리납작벌과 비슷하나 제1배마디에는 두 개의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없고 다소 둥글다. 각 배마디의 뒷슭에는 점각이 있고 몸의 점각은 더 잘고 배게 있다. 성충은 4∼6월에 채집되었으나 많지 않다. 13mm 정도, 산란관 3mm 정도 생태 솔나방, 천막벌레나방, 배추흰나비, 큰쥐박각시, 청띠신선나비 등의 번데기에 기생...
    분류 :
    벌목 > 맵시벌과 > 게눈노린재속
    학명 :
    Coccygomimus parnarae (Viereck, 1912)
    출현시기 :
    4월, 5월, 6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8건

천막벌레나방
천막벌레나방
천막벌레나방
천막벌레나방
천막벌레나방
천막벌레나방
천막벌레나방(암컷)
천막벌레나방(수컷)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