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참수리 천연기념물 제243-3호, Steller's Sea Eagle
    서식 캄차카반도, 오호츠크해를 따라 남쪽으로 사할린에 걸쳐 번식하고, 우수리, 한국, 일본의 해안 습지, 하구에서 월동한다. 극히 적은 수가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11월 초순에 도래해 월동하고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해안가 하천, 하구 등지에서 서식하며 주로 어류를 먹고, 동물의 사체도 먹는다. 특징 수리류 ...
    분류 :
    수리과(Accipitr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43-3호
    서식지 :
    캄차카반도, 오호츠크해를 따라 남쪽으로 사할린에 걸쳐 번식하고, 우수리, 한국, 일본의 해안 습지, 하구에서 월동한다.
    크기 :
    수컷 76~90cm, 암컷 86~98cm
    학명 :
    Haliaeetus pelagicus Steller's Sea Eagle
  • 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형태 크기: 수컷은 76~90㎝, 암컷은 86~98㎝로 맹금류 중에서 대형에 속한다. 채색과 무늬: 암수가 비슷하고, 몸 전체가 검은색이며, 앞이마, 어깨, 허리, 꼬리는 흰색이다. 노란색 부리는 매우 크고 눈앞까지 노란색 피부가 드러나 있다. 어린새는 흑갈색이며, 꼬리는 가장자리가 흑갈색이다. 주요 형질: 긴 쐐기형의 ...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매목(Falconiformes) > 수리과(Accipitridae)
    학명 :
    Haliaeetus pelagicus (Pallas, 1811)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급
    국내분포 :
    11월 초순부터 이듬해 3월 하순까지 도래하는 드문 겨울철새로 낙동강, 주남저수지, 임진강, 천수만, 해남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어린새가 도래하며 어미새는 관찰하기 어렵다.
    해외분포 :
    캄차카 반도, 오호츠크해를 따라 남쪽으로 사할린에 걸쳐 번식하고, 우수리, 한국, 일본의 해안 습지, 하구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제 243-3호
  • 참수리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내용 학명은 Haliaeetus pelagicus pelagicus(PALLAS)이다. 수리류는 전 세계에서 218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21종이 기록되어 있다. 이 중에서 참수리·흰꼬리수리·독수리 및 검독수리의 4종은 매우 희귀한 종들로서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수리는 캄차카·...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참수리 천연기념물 제243-3호, steller's sea eagle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 오호츠크 해안, 사할린, 우수리 지방, 한국, 일본 등지의 동북아시아 전역에 분포한다. 흰색의 꼬리를 제외하고는 균일하게 짙은 갈색을 띤다. 어깨와 다리에 흰색 깃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노란색의 두툼하고 큰 부리를 갖고 있다. '괏, 괏, 괏' 또는 '갓, 갓, 갓' 하고 격한 소리...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매목 > 수리과
    원산지 :
    아시아 (일본,일본), 유럽
    서식지 :
    해안, 하천하류, 갯벌, 갈밭
    먹이 :
    멧토끼, 물범, 송어, 연어
    크기 :
    약 86cm ~ 1.05m
    무게 :
    약 4.9kg ~ 9kg
    학명 :
    Haliaeetus pelagicu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38~45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국가적색목록 위기(E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육식동물
  • 참수리
    부산광역시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수리과의 겨울 철새.|[형태] 참수리의 몸길이는 수컷 88㎝, 암컷 103㎝ 정도이며, 날개를 폈을 때는 221~244㎝이다. 다른 수리류에 비하여 부리가 큰 것이 특징이다. 부리는 노란색이며 부리 끝은 크게 굽어 있다. 미성숙 개체는 부리 끝이 검다. 성조는 전체적으로 흑갈색을 띠며 ...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사하구
  • 참수리 Steller's sea eagle, オオワシ
    생물 분류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한다. 몸길이는 약 88-102cm이며 암수가 모두 검은색을 띤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부리는 크고 선명한 노란색을 띠며, 꼬리는 흰색으로 볼록하게 길다. 해안·평지·하천·호수·갯벌 등지에 서식한다. 단독 또는 5-10마리가 무리를 지어 살며, 월동기에는 어류·포유류·조류와 동물...
    도서 위키백과
  • 참수리 고속정 Chamsuri-class patrol vessels
    고속정(PKM) 사업으로한진중공업과 코리아타코마에서 총 105척의 중형고속정(PKM)을 건조하였다. 2002년 6월 29일 발생한 제2연평해전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참수리 357 고속정과 북한의 무력충돌로 윤영하 소령 등 6명의 장병이 전사했다. 이후 해군은 승조원의 안전을 위해 기관총 거치대와 방탄판을 추가하고 함교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조선/해양
  • 수리류(독수리·검독수리·참수리·흰꼬리수리)
    내용 천연기념물 제243호. 수리류는 전세계에서 218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 나라에는 21종이 기록되어 있다. 검독수리·독수리·흰꼬리수리·참수리 등 4종은 국내외에서 매우 희귀한 종일 뿐더러 국제적으로도 보호가 요청되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검독수리는 우리 나라의 어디서나 번식하나...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243호
    성격 :
    동물, 조류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참수리급 고속정 PKM, Chamsuri class patrol boat
    바탕으로 PK, PKM으로 분류되는 국산 고속정이 개발되었다. '제비'급으로 불리던 PK급 고속정은 1993년 모두 퇴역했고, 1978년 5월부터 1993년까지 건조된 '참수리'급 고속정이 현재 퇴역이 진행되는 가운데 항만 방어, 연안 경비, 대간첩작전에서 꾸준한 활약을 보이고 있다. 서해 북한한계선(NLL) 방어의 주역으로 제1...
    분류 :
    함정 > 전투함 > 고속정 > 참수리급
    크기 :
    길이 37m, 톤수 130톤
    성능 :
    최대속력 38kts (70km/h)
  • 한국군 함정 무기체계
    는 주로 연안 경비 임무를 수행하는 함정으로 보통 배수톤수가 400톤 이하이다. 속도를 중요시해 일반적으로 최고 속도가 30~40노트 정도이다. 대한민국 해군은 참수리급 고속정(PKM, Patrol Boat Killer, Medium)을 운용 중에 있다. 최근 일부 고속정의 도태됨에 따라 무장을 한층 강화한 유도탄고속함(PKG:Patrol...
  • 참수리급 고속정 Chamsuri-class patrol boat, 大鷲型哨戒艇
    함급 정보 참수리급 고속정(참수리型高速艇)은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의 제조 단가가 비싸 로우급 전력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고속정으로, 소령이 편대장으로 지휘하며 대위가 정장으로 지휘한다. 대한민국 주력 함정인 참수리급 고속정의 기본 설계는 백구급 후기형을 축소시킨 것으로 총 배수량은 170톤이다...
    도서 위키백과
  • 유도탄 고속함 PKG, 誘導彈 高速艦
    유도탄고속함(PKG:Patrol Killer Guided missile)은 대한민국 해군이 참수리급 고속정과 동해・포항급 초계함의 운용 연한이 도래함에 따라 차기 고속정사업(PKX-A)에 따라 그 후속 전력으로 건조, 취역시킨 함정이다. 제2연평해전에서 활약한 참수리-357정의 정장이었던 고(故) 윤영하 소령(추서계급)의 이름을 딴...
    분류 :
    함정 > 전투함 > 고속함 > 윤영하급
    크기 :
    길이 63m, 폭 9.1m, 높이 18m, 배수톤수 450톤(경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2건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참수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