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집합세뇨관 集合細尿管, renal collecting tubule
    신장의 주요기능단위인 네프론(nephron)에서 만들어진 소변을 농축시키고 운반하는 신장의 길고 좁은 관(管). 벨리니관(duct of Bellini)이라고도 함.|집합세뇨관은 신장피질에 있는 신원세관(nephron tubule)과 이어져 있으며, 여기서 나온 요는 보다 큰 관들을 거쳐 신장깔때기(renal calyces)에 모인다. 각 집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세뇨관 요세관, 細尿管
    거치면서 오줌의 성분을 만든다. 보먼주머니로 들어온 여과액 속에는 우리 몸에 필요한 물질이 많이 들어있어서 세뇨관을 둘러싸고 있는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된다. 신장의 수질의 조직은 고농도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다. 집합세뇨관이 수질을 통과할 때, 고농도의 나트륨 때문에 수분이 세뇨관 벽에서 수질로 이동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신장피라미드 renal pyramid
    통과할 수 있도록 무수한 작은 구멍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각 구멍은 벨리니관이라고 하는 세관으로서 신장피라미드 안에 있는 집합세뇨관들이 이 벨리니관으로 모인다. 근섬유들은 신장술잔에서 신장유두까지 뻗어 있어 신장술잔의 근육이 수축하면 소변이 벨리니관을 통해 신장술잔 쪽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신낭종 腎囊腫, renal cyst
    하고 세뇨관이 막혀서 생기기도 한다. 낭종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허리가 아프고 묵직한 느낌이 든다. 신장의 혈관에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혈관이 확장되어 무수히 많은 작은 낭종이 생긴다. 신장으로 가는 림프관이 막힌 경우에도 낭종이 생기는데, 이렇게 생긴 낭종은 일반적으로 작고 주위 혈관을 누르기 전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요세관성 산증 Renal tubular acidosis, 尿細管性アシドーシス
    차이 산증으로 나타난다. 유형 1, 2, 4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유형 3은 일반적으로 현대의 분류에서 제외된다) 유형 유형 1 유형 2 유형 4 위치 집합세관 근위 세뇨관 부신 산혈증 예 (매우 심각) 예 온화한 정도 칼륨 저칼륨혈증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병리생리학 알파 사이세포가 H+의 분비 및 K+의 재흡수에 실패...
    도서 위키백과
  • 솔가장자리 Brush border, 刷子縁
    무늬로만 집합적으로 볼 수 있다. 초기 해부학자들이 이 구조가 그림 그리는 붓의 짧고 뻣뻣한 털과 매우 흡사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잔털 모양이 솔가장자리라는 용어를 탄생시켰다. 솔가장자리 세포는 주로 다음의 기관에서 발견된다. 소장: 주로 흡수가 일어나는 기관이다. 소장 내벽의 솔가장자리는 탄수화물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