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집비둘기 평화의 상징에서 도시의 골칫거리가 된 새
    특징 • 집비둘기는 원종이 비제비둘기(Columba livia)로서 개량되어 만들어진 품종으로 전 세계에 약 280종이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도심, 공원, 하천, 강 등 다양한 지역에 서식하며, 사람에게 적응한 종이다. • 먹성이 좋아 하루에 1∼2㎏까지도 거뜬히 먹어 치운다. • 외형상 양비둘기가 가장 비슷하지만 도심...
    분류 :
    비둘기목>비둘기과
    서식지 :
    산림, 강과 하천 수변, 공원, 도심 등
    먹이 :
    잡식성(낱알, 풀씨, 과일, 곡류, 과자, 곤충 등)
    크기 :
    약 29∼35cm
    학명 :
    Columba livia var. domestica Gmelin, 1789
    수명 :
    약 3∼5년
  • 집비둘기 domestic pigeon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는 새.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도서지역에 서식한다. 크기는 33cm 정도이고, 무게는 240~300g 정도이다. 식성은 초식이다. 인류에 의해 가장 처음 길들여진 조류로 추측된다.|개요 조강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Columba livia var. domestica’이다. 인류에 의해 가장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비둘기목 > 비둘기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도서지역
    크기 :
    약 33cm
    무게 :
    약 240g ~ 300g
    학명 :
    Columba livia var. domestica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15~21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초식동물
  • 집비둘기 Domestic pigeon
    생물 분류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는 바위비둘기가 인간에 의해 세계 각지에 방생된 후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에서 독자적으로 분화된 개체이다. 한국어에서 집비둘기라고 부르는 것은 1527년 훈몽자회와 1596년 동의보감에서 발견되며 발합(鵓鴿)이라고도 불렀다. 영미권에서 집비둘기(Feral pigeon)는 야생 ...
    도서 위키백과
  • 평화의 상징 비둘기는 서럽다
    뜻에서 ‘쥐둘기’라는 별명까지 생겼을 정도다. 엽기적인 별명을 넘어 비둘기는 이제 법적으로도 ‘해로운 동물’로 지정될 모양이다. 환경부는 최근 집비둘기를 ‘유해야생동물’로 규정하는 ‘야생동물보호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내놓았다. 비둘기로 피해를 보는 사람은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만 받으면 포획할 수...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조류
  • 야생화된 집비둘기 Feral pigeon
    야생화된 집비둘기(Feral pigeons)는 집비둘기가 야생화된 것이다. 집비둘기는 원래 바위비둘기가 가축화된 것이기에, 집비둘기, 야생화된 집비둘기는 모두 같은 종이며 서로 교잡이 가능하다. 야생화된 집비둘기는 특히 도시 환경에 적응하여 전세계의 거의 모든 도시에서 발견된다. 버드피딩 비둘기고기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낭비둘기 굴비둘기, Hill pigeon
    먹이를 찾는다. 번식기는 5~6월이며 번식생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흰색 알을 2개 낳으며 17~18일 동안 포란하고, 육추기간은 17~19일이다. 특징 집비둘기와 비슷하지만 허리가 흰색이다. 꼬리는 회색이며 중간 지점에 폭 넓은 흰색 띠가 있고, 꼬리 끝은 검은색이다. 큰날개덮깃 기부가 폭 넓은 검은색이며, 둘째...
    분류 :
    비둘기과(Columbidae)
    서식지 :
    시베리아 중부와 동남부, 티벳 동부, 쓰촨성 서부, 몽골, 중국 북부, 한국에서 서식한다.
    크기 :
    L33cm
    학명 :
    Columba rupestris Hill Pigeon
  • 양비둘기 rock dove
    조강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Columba rupestris’이다. 세계적으로는 개체수가 많아 멸종 위기의 걱정이 없지만 유독 한국에서는 집비둘기와의 경쟁에서도 밀리고 교배로 인한 잡종 비둘기들이 많아지면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형태 몸길이는 33㎝ 정도이고, 전체적인 빛깔은 회색이고 허리...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비둘기목 > 비둘기과
    원산지 :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서식지 :
    도서지역, 해안, 산
    먹이 :
    곡식의 낟알, 곡물 등
    크기 :
    약 30cm ~ 33cm
    무게 :
    약 240g ~ 300g
    학명 :
    Columba rupestris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18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초식동물
  • 비둘기류 pigeon
    라 부르고 큰 종류를 피전(pigeon)이라 하지만 흔히 혼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평화의 비둘기'(dove of peace)로 알려진 것은 흰집비둘기(white domestic pigeon)이다(→ 집비둘기). 비둘기류는 극한지역과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섬을 제외한 전세계에서 볼 수 있으며 약 250종이 알려져 있는데, 그중 67% 정도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분홍가슴비둘기 Stock Dove
    파주 문산읍 마정리에서 2개체, 1999년 11월 19일 전남 해남에서 6개체가 관찰되었을 뿐이다. 행동 농경지, 초지, 저지대의 산림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특징 집비둘기와 비슷하다. 옆목에 녹색 광택이 있다. 멱 아래에서 가슴까지 광택이 없는 분홍색이다. 날개깃에 짧고 검은 줄무늬가 2열 있다. 날 때 첫째날개덮깃과...
    분류 :
    비둘기과(Columbidae)
    서식지 :
    아프리카 서북부, 유럽, 러시아 남서부, 카자흐스탄, 중국 신장 지역에 서식한다.
    크기 :
    L33cm
    학명 :
    Columba oenas Stock Dove
  • 비둘기는 스스로 인간에게 왔다
    전문가들은 그렇지 않다고 본다. 비둘기는 인간이 만든 환경변화에 적응해 놀라운 성공을 거둔 동물이라는 것이다. 극지방을 빼고 세계 어디에나 있는 집비둘기의 학명은 ‘콜룸바 리비아(Columba livia)’, 곧 ‘납빛 비둘기’라는 뜻이다. 목에 금속광택이 있는 이 비둘기의 원종은 지중해와 유럽 일부에 살던 바위...
  • 비둘기
    내용 지구상에는 약 300종에 달하는 비둘기과 조류가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집비둘기의 조상인 낭(양)비둘기·흑비둘기·염주비둘기 및 멧비둘기 등 4종의 텃새가 살고 있다. 낭비둘기는 한탄강 자유의 다리 교각 같은 곳에 정착하기도 하지만 해안의 바위 절벽 또는 내륙의 바위 산, 바위 굴 등 산간지역에서도 산다. 흑...
    분류 :
    비둘기과
    성격 :
    동물, 조류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최충수 崔忠粹
    상장군 원호(元浩)이다. 무인집정자 충헌(忠獻)의 동생이다. 1196년(명종 26) 동부녹사로 있었는데, 당시의 무인집정자 이의민(李義旼)의 아들인 지영에게 집비둘기를 빼앗긴 사건을 계기로, 형 충헌을 설득하여 이의민 부자를 죽이고 정권을 탈취했다. 이어 충헌과 함께 이의민의 일당 및 반대파를 철저하게 숙청하고...
    출생 :
    미상
    사망 :
    1197년(신종 즉위)
    국적 :
    고려,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9건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집비둘기 Feral Pigeon(2008.5.4. 전남 광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