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집단유전학 集團遺傳學, population genetics
    유전자가 생물의 집단에서 어떤 분포를 나타내며, 새로운 유전적 변이가 어떤 변천과정을 거쳐 유전자분포의 새로운 평형을 이루게 되는가를 탐구하는 학문.|진화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한다. 1908년 영국의 수학자 G.H.하디와 독일의 의사 W.바인베르크는 생물집단에서 유전자들이 어떻게 분포하는가를 연구하여 서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유전학 (관련어 집단유전학) 遺傳學, genetics
    유전현상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과.|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은 유전의 영향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그 원리를 응용하여 재배작물과 사육동물을 개량시켰다. 그 예로 6,000년 전 이상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서판(書板)에는 말의 혈통표가 나와 있으며 유전될 가능성이 있는 형질에 대해서도 나타나 있다. 그밖에도 어떤 ...
  • 집단유전학 集團遺傳學, population genetics
    생물집단의 유전적 구성을 지배하는 법칙을 연구하는 유전학의 한 분과. 그 궁극적인 목표는 진화메커니즘의 해명에 있다. ( ⇨ Mendelian population)
  • 집단유전학 (관련어 집단 유전학) Population genetics,..
    진화 집단 유전학(population genetics)은 집단으로서 나타내는 유전형질들의 분포, 유전, 질병 연관성등을 연구하는 유전학과 진화학의 한 분야이다. 개체군들에서 특정 유전형질의 빈도를 계산하고, 그 빈도의 변화와 진화의 속도를 연구한다. 집단 유전학에 사용되는 모델은 다양하며, 이는 방향성 선택과 분리성 선...
    도서 위키백과
  • 유전학의 연구분야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끼워넣음으로써 하나의 합성 유전자를 창조하기도 한다. 유전공학은 이미 1980년대에 이르러 상업적인 기업이 되었다. 집단유전학 여러 동물 개체군 내의 유전자 연구는 그 동물들의 과거 이주경로, 상호 진화관계, 다른 변종이나 종과의 혼합정도 등에 대한 정보와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학문
  • 유전학의 역사
    염색체의 유전자 연관에 대한 발견이 이루어졌다. 1908년 영국의 수학자 하디와 독일의 물리학자 바인베르크는 이른바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을 공식화하여 집단유전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1909년 영국에서 기형의 원인인 유전자-유도효소 결핍증을 발견한 것에 힘입어 생화학적 유전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미국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학문
  • 동물학의 영역
    일어나고, 그 결과 멘델의 유전법칙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유전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탄생했다는 점이다. 멘델의 유전법칙과 더불어 생겨난 집단유전학의 발달로 종의 개념은 '같은 유전자군을 가지며 서로 교배가 가능한 집단'으로 바뀌었고, 진화의 기본단위는 종이며 종의 분화란 곧 새로운 유전자 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존 홀데인이 유전학에 기여한 업적은?
    영국의 생리학자 존 스콧 홀데인(John Scott Haldane)은 로널드 에일러 피셔(1890~1962), 현대 집단유전학의 창시자인 시월 그린 라이트(Sewall Green Wright, 1889~1988)와 함께 개체군 유전학을 고안하였다. 또 기타 연구업적으로 《진화의 원인(The Causes of Evolution)》이라는 유명한 책을 펴냈는데, 이 책은...
  • 행동유전학 환경은 유전을 보완하는 필터
    행동유전학(行動遺傳學, behaviour genetics)이란 바로 유전자의 발현과 개체의 행동 사이의 연관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를 말한다. 인간 행동의 기원을 유전자에서 찾으려는 시도의 역사적 계보는 우생학 연구로부터 파생됐다. 우생학(優生學, eugenics)이란 말 그대로 ‘우수한 생물 종을 찾아내는 연구’라는 뜻으로...
  • 양적 유전학 量的遺傳學, quantitative genetics
    여러 가지 미소효과(微少効果)가 있는 유전자나 환경이 양적인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집단유전학의 한 분야. 유전자 하나하나를 직접 취급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계적 분석을 기초로 한다. 양적 형질은 연속분포를 나타내지만 적당한 변환(變換)을 이용하면 정규분포에 귀착시킬 수도 있다.
  • 인류유전학 Human genetics
    학문 정보 인류유전학은 인류의 유전을 다루는 학문으로 그 영역은 고전유전학, 세포유전학, 분자유전학, 생화학유전학, 유전체학, 집단유전학, 발달유전학, 의학유전학, 유전상담유전 상담은 유적적 질병이나 장애가 자식에게 유전될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상담하는 분야이다. - 강신성, 《교양생물학》, 아카데미서적...
    도서 위키백과
  • 생태유전학 生態遺傳學, ecological genetics
    생물이 자신의 자연 환경이나 다른 생물에 반응해 나타내는 유전적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유전학의 한 분야. 진화유전학, 집단유전학, 육종학, 진화생태학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