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문학가동맹 朝鮮文學家同盟넷째, 진보적 민족문학의 건설, 다섯째, 조선문학과 국제문학의 교류가 그것이다. 대회에서는 중앙집행위원장에 홍명희, 부위원장에 이기영ㆍ한설야ㆍ이태준, 서기장에는 권환이 선출되었다. 〈문맹 〉은 산하에 소설부·시부·평론부·희곡부 등의 위원회를 두었고 서울시 지부를 시작으로 각 도에 지부를 결성했으며...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2월 8일∼9일
- 성격 :
- 문학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조선문학가동맹 문학상 제정시기에 그나마 이들이 문학의 체면을 세워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특히 구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설 부문의 작품들을 보면 조선문학가동맹에서 추구하는 진보적 리얼리즘에 접근하기 위한 노력이 먼저 눈에 띄지만, 겉으로 드러난 장치를 조금만 걷어내고 들어가보면 해방 직후에 지식인들이 품고 있던...
- 시기 :
- 1946년
-
조선조형미술동맹 조형동맹, 朝鮮造形美術同盟해방 공간에서 고희동을 중심으로 한 조선미술가협회와 대립하는 가운데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위치에 있던 많은 미술가들을 포용했던 대중적인 미술조직이었다. 이러한 성격은 역시 조선문화단체총연맹 산하의 미술단체였던 조선미술가동맹이 진보적 미술운동의 이념을 뚜렷하게 내세웠던 점과 차이를 보인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2월 28일
- 성격 :
- 미술단체, 미술가 조직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6년 11월 10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카프, Korea Artista Proleta ..음악가동맹과 서기국을 두자는 재조직안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1931년 영화 〈지하촌〉 사건으로 인한 제1차 검거로 일제의 탄압을 받게 되자 재조직안은 중지되었다. 이 시기에 카프는 러시아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론을 도입하면서 새로운 전환을 맞이한다. 즉 초기의 노동자계급 당파성에 입각한 문학운동은 부분적...
-
-
조선미술동맹 朝鮮美術同盟전을 개최한 데 이어, 다음 해인 6월 5일까지 미소공위 속개를 축하하는 의미로 동화백화점 화랑에서 회원전을 개최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미술동맹은 해방공간에서 진보적 미술이념을 내세운 단체들이 결성한 통합단체였다. 좌익 미술단체의 성격을 선명하게 드러내었던 조선미술가동맹과 중견작가들의 집합체로서...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11월 10일
- 성격 :
- 미술단체, 미술가 조직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8년 8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