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식사회 knowledge society
    지식의 생산과 응용에 종사하는 지식노동자가 권력을 갖게 되는 사회.|피터 드러커와 다니엘 벨이 제창한 개념으로, 지식이 기술혁신과 정책결정의 기초가 되어 전문직과 기술직 등 지식의 생산과 응용에 종사하는 지식노동자가 권력을 갖게 되는 사회를 뜻한다. 기술과 정치 시스템이 거대화·복잡화함에 따라 그 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사회
  • 지식 정보 사회
    지식 정보 사회는 주로 다음의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질과 양의 2가지 면에서 풍부한 지식 정보가 생산되어 전달·유통되는 사회, 둘째, 풍부한 지식 정보의 생산·처리·전달·축적에 일정한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그 비용을 부담하는 구조를 이룬 사회, 셋째, 지식 정보의 생산·처리...
    도서 다음백과
  • 사회 신드롬
    논의를 재점화했다는 견해도 있다. 예컨대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 한기호는 “세월호 참사에서 우리 사회의 민낯을 본 국민들은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 것인가를 묻게 됐다.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최근 몇 년간 학계와 지식사회가 시도했던 현대 사회에 대한 질문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 지식기반사회 知识型社会, knowledge based society
    지식과 정보가 가치의 중심이 되는 사회. 컴퓨터 및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지식의 가치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력이 커진 사회를 의미함.
  • 자기도식 自己圖式, self-schema
    어떤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갖고 있는 조직화된 지식구조를 뜻하는 사회심리학 용어. 도식이란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접하는 사물, 인물, 사건에 대해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장되어 있는 지식의 구조를 말한다. 각자가 가진 자신에 대한 인식의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이며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인...
  • 초연결 사회 Hyper-connected Society
    디지털 기술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 다수 대 다수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사회를 말한다. 초연결(hyper-connected)이라는 말은 2008년 가트너가 처음 사용했는데, 이미 전 세계는 초연결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2014년 말 전 세계 현재 인터넷 사용자...
  • 사회적 증거 Social Proof
    사람이 취하는 행동을 따라 하려는 심리적인 경향을 갖는다. 많은 사람이 하는 행동이나 믿음은 진실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심리를 일컬어 사회적 증거라 한다. 심리학자들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통상 시장의 95퍼센트는 모방자이며 단지 5퍼센트만이 창조자라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5...
  • 사회공학적 해킹 Social Engineering Hacking
    공략하는 공격 기법으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인인 것처럼 가장한 후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는 게 특징이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SNS 시대의 개막으로 사회공학적 해킹은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자기 노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격 대상에 대한 취미나 사생활...
  • 울혈 사회 鬱血 사회
    울화(鬱火)의 혈기(血氣)가 가득한 사회를 말한다. 울화는 마음속이 답답해 일어나는 화, 그러니까 화병을 의미하는데, 화병이 개인 차원을 넘어 광범위한 사회적 현상으로 확산되어 나타나는 사회를 일컬어 울혈 사회라 생각하면 되겠다. 한신대 교수 윤평중은 2015년 1월 “우리 사회는 울화(鬱火)의 혈기(血氣)가...
  • 과잉 친절 사회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권력을 갖기 때문에 기업은 고객들에게 최대한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 사회에 이런 과잉 친절 서비스가 만연되어 있다는 지적이 많다. 백화점 주차장 앞에서 고객의 차량 안내를 돕는 주차 요원들이 줄지어 선 차량 앞에서 현란...
  • 계층 고착 사회
    계층 상승이 어려운 사회를 말한다. 한국이 계층 고착 사회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저소득층이 중산층으로, 중산층이 고소득층으로 올라가는 ‘계층 상승(上昇)’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반면 고소득층은 갈수록 부유해진다는 것이다.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2006~2014년...
  • 예능화 사회
    아니라 정치인, 교수, 의사, 변호사, 작가 등 전문직 사람들까지 예능 프로그램에 경쟁적으로 출연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을 설명해주는 용어다. 예능화 사회라는 말은 2013년 정치인들이 무겁고 진지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예능과 다큐 프로그램에 경쟁적으로 출연하면서부터 등장했다. 7인의 정당인이 산악 지역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인문학적 소양뿐 아니라 사회 과학적 통찰과 자연 과학적 지식까지 두루 활용하며 기존 비평의 경계를 넓혀놓은 김인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