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리학 地理學지구상에 존재하는 지역과 공간을 계통적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개설 지역을 다루는 지리학은 지표현상을 백과사전적으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지표면에서 전개되는 현상들의 지리적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종합하여 특정 지역의 성격 내지 지역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다른 지역들과의 차이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지리학 (프톨레마이오스) Geography (Ptolemy), 地理学 (プト..『지리학 지침』은 기원후 150년경 알렉산드리아의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편찬한 지명집, 지도첩, 지도학논고집을 집대성한 저서다. 지금은 소실된 티로스의 마리노스의 지도첩을 로마와 페르시아의 지명집을 참고해 보충해 편찬한 것이다.Berggren, J. Lennart & al. (2001), Ptolemy's Geography by Ptolemy...도서 위키백과
-
언어지리학 言語地理學내용 언어지리학(Linguistic Geography)은 ‘방언지리학’이라고도 한다. 하나의 언어라 할지라도 그 내부에는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이의 양상이 나타나기 마련인데, 이러한 언어 내부의 변이양상 가운데 특히 지역적 조건에 따른 변이를 지역방언(Regional dialect)이라 한다. 그런데 지역방언의 분화상은 역사적...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이중환의 인문지리학 연구이중환이 관직에서 탈락된 후 주자학적 세계관에 의해 움직이는 조선사회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현실에 대한 자구책으로 관심을 집중한 분야는 인문지리학이었다. 당초 자신이 안주할 곳을 찾아 전국을 돌아다녔으나, 정치적으로 불운한 처지에 있는 사대부가 초야에 있거나 또는 조정에 있어도 몸둘 곳이 없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