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렛대 lever
    물리적인 힘을 증대시키는 간단한 기계.|초기의 인간들은 무거운 바위를 옮기거나 경작용으로 몇 가지 형태의 지렛대를 사용했다. 지렛대의 원리는 관개용 방아두레박에 이용되었는데, 이 장치는 짧은 쪽에는 물통을 달고 긴 쪽에는 평형추를 단 긴 지렛대였다. 이 장치의 긴 쪽을 아래로 당겨 자기 체중의 몇 배를 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레버 지렛대, lever
    점 A가 지지되고 있을 때, 점 B에 작용하는 하중 W에 대해서 점 C에 힘 P를 가하여 균형을 이루는 막대로서, 점 A를 지점, 점 B를 작용점 또는 하중점, 점 C를 역점이라고 한다. 이다. 레버의 규칙 평형에 있는 2상의 미세조직에 있어서의 각조의 상대량을 계산하기 위한 식, 예를 들면, 2 성분제 평형도상의 2상 영역에...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레버리지 효과 지렛대 효과, leverage effect
    저축과 달리 투자에서는 종종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가 발생한다.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투자에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려면, 투자액의 일부가 부채로...
  • 지레 (동의어 지렛대) lever
    막대와 받침점, 힘점, 작용점으로 이루어진 단순 기계.
  • 지레 (관련어 지렛대) Lever, てこ
    지렛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막대를 "지레"라 부르기도 하며, 막대를 받치고 있는 지점을 "받침점", 힘을 가하는 지점을 "힘점", 지레가 움직여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지점을 "작용점"이라 한다. 비유적으로는 어떤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나 힘을 이르는 말로도 사용된다. 지레는 받침점을 중심으로 힘점과...
    도서 위키백과
  • 지렛대 leverage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력의 모멘트의 이용에 의해서 중량물을 움직이는데 사용하는 막대인 지렛대의 지점과 힘 F1의 작용점까지의 거리를 I1, 힘 F2의 작용점까지의 거리를 I2로 하면 I1/I2=F2/F1를 지렛대비라고 한다. 지렛대비가 클수록 작은 힘으로 무거운 것을 지지할 수가 있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법칙
    그리스의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메카니카(Mechanica, 역학이라는 뜻)》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연구하고 ‘같은 힘으로 지렛대를 누른다면, 지렛대의 길이가 길수록 지렛대의 반대쪽 끝부분이 올라가는 속도는 빠르다’는 나름의 결론을 내렸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지렛대의 원리를 알아낸...
  • 아르키메데스의 연구
    현존하는 9권의 책은 그리스어로 되어 있다. 2권으로 되어 있는 〈구와 원기둥에 관하여 On the Sphere and Cylinder〉에서 중요한 결론은, 구의 표면적은 그 대원(大圓)의 넓이의 4배(오늘날 표기법으로는 S=4πr2)가 되며 이 구의 부피는 그 구가 내접(內接)하는 원기둥 부피의 2/3(부피에 대한 이 공식은 V=4/3πr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물리를 배운 사람은 가방끈이 짧다
    가방끈은 짧아야 좋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의아해하는 분들이 있을 것이다. 가방끈이 짧다는 건 학벌이 낮다는 관용표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선 그 얘기를 말하는 게 아니다. 가방끈을 짧게 하면 무거운 책가방을 가볍게 들 수 있다. 그리고 군인들이나 등산가들은 배낭을 가볍게 하기 위해 모포와 같이...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지렛대 안전밸브 레버 안전밸브, lever safety valve
    지렛대의 사용에 의해 밸브를 밸브자리에 밀어 붙이는 방식의 안전밸브. 조정은 1단에 부착시킨 추의 중량과 위치에 따른다. 구조가 간단하고 정확한 것이 특징이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레버리지 효과 지렛대효과, leverage effect
    부채에 대한 확정지불이자보다도 자본의 운용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이 크다면, 자기자본의 이익률은 상승한다. 그러나 레버리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차입금을 과도하게 들여온다면 불황이 닥쳤을 때 금리 부담이 커진다. 최근 기업들은 이런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레버리지 비율을 낮추는 추세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레버리지 효과 지렛대 효과
    타인으로부터 빌린 자본을 지렛대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말하며 지렛대 효과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10억 원의 자기자본으로 1억 원의 순익을 올렸다고 할 때, 투자자본 전부를 자기자본으로 충당했다면 자기자본이익률은 10%가 되고, 자기자본 5억 원에 타인자본 5억 원을 끌어들여 1억 원의 순익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지렛대(lever)
지렛대비(leverage)
지렛대 안전밸브(lever safety valv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