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重合酵素連鎖反應
    전체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DNA) 게놈에서 특정 DNA 절편만을 선택적으로 복제하여 증폭시킴으로써 시험관 내에서 효과적으로 DNA를 탐색하고 분리할 수 있는 기법.|1988년 에를리히 등에 의해 개발된 획기적인 분자생물학적 방법이다. PCR의 가장 큰 목적은 원하는 DNA의 증폭이다. 유전자검색법등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重合酵素連鎖反應
    PCR이라고 약기. 특정 유전자인 DNA 단편의 분리나 증폭에 사용되는 방법. DNA 중합효소가 프라이머를 이용하지 않으면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없는 성질을 이용하여, 분리되어 있는 DNA를 프라이머로 결합시켜 그 사이의 DNA만을 증폭시키는 반응방법이다.
  • 중합효소 연쇄 반응 (관련어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
    중합효소 연쇄 반응(重合酵素連鎖反應, 양이 지극히 미량인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 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증폭에 필요한 시간이 2시간 정도로 짧으며, 실험 과정이 단순하고, 전자동 기계로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PCR과 여기서 파생한 여러 가지 기술은 분자생물학, 의료, 범죄...
    도서 위키백과
  • PCR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DNA에서 원하는 부분을 복제 ・ 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 기술로서 중합효소연쇄반응 또는 유전자증폭기술이라고도 한다. PCR은 사람의 게놈처럼 매우 복잡하고 양이 지극히 적은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 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자생물학, 의료, 범죄수사, 생물 분류 등...
  • 인류의 기원을 밝히는 DNA 고고학 (관련어 중합효소 연쇄반응)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는 서로 ‘통하는’ 사이였다. 지난 해 미국의 권위 있는 과학전문지 사이언스가 한 해를 빛낸 10대 연구 중 2위로 꼽은 연구다. 과학자들은 3만 전 멸종한 네안데르탈인 화석의 이빨 근조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현재 인간과 해부학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 크로마뇽인 사이...
  •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 반응, ポリメラーゼ連鎖反応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s a technology in molecular biology used to amplify a single copy or a few copies of a piece of DNA across several orders of magnitude, generating thousands to millions of copies of a particular DNA sequence.Developed in 1983 by Kary Mullis, PCR is now a commo...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Reverse trans..
    변형으로, 증폭 과정을 통해 많은 수의 DNA 서열을 만들기 위해 분자생물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실험 기법이다. 그러나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서는 RNA가 먼저 역전사 효소에 의해 역전사되어 cDNA를 만들고, 만들어진 cDNA가 기존의 중합효소 연쇄 반응이나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증폭된다. 결합...
    도서 위키백과
  •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Real-time pol..
    증폭과 양의 측정을 동시에 한다. DNA 샘플의 특정 서열의 검출, 수량 측정 등을 한다. 계량은 실제 복제량 또는 상대적인 비율을 셀 수 있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의 줄임말로 qPCR(quantitative PCR)이란 용어도 쓰인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이 아니다. 그러나 모든 저자들이 이 관습에...
    도서 위키백과
  • 디지털 PCR 테스팅 digital PCR, digital Polymerase Chain..
    미세 반응 용기에 나누어 담은 핵산 가닥을 각 용기에서 복제하여 절대 정량화할 수 있는 제3세대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 핵산의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미국 캐리 멀리스(Kary Mullis)가 1983년에 개발한 기술로 친자 확인, 과학적 범죄 수사, 감염병 진단 등 유전자...
  • 디지털 중합효소 연쇄 반응 Digital polym..
    디지털 중합효소 연쇄 반응(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디지털 PCR(digital PCR, dPCR 또는 dePCR)은 DNA, cDNA 또는 RNA를 포함한 핵산 가닥을 직접 정량화하고 클론 증폭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존 중합효소 연쇄 반응 방법을 생명공학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dPCR과 기존 PCR의 주요 차이점은 핵산 양을...
    도서 위키백과
  • 터치다운 중합효소 연쇄 반응 Touchdown po..
    터치다운 중합효소 연쇄 반응중합효소 연쇄 반응의 한 방법으로 비특이적인 서열의 증폭을 피하도록 해준다. 처음 단계에서 프라이머 결합온도를 높게 설정해 특이적 결합을 하는 서열의 양을 늘려준 후에 반복과정에서 프라이머 결합 온도를 조금씩낮추어 원하는 서열을 증폭한다. 이렇게 하면 원하는 특이적 서열의...
    도서 위키백과
  •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is a laboratory technique of molecular biology based o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t monitors the amplification of a targeted DNA molecule during the PCR, i.e. in real-time, and not at its end, as in conventional PCR. Real-time PCR can be used...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디옥시리보핵산 중합효소 (deoxyribonucleic acid polymeras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