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묘족의 기원과 사회발전있었다. 중국 건국 후 중앙인민정부에서는 민족대표와 각 부처의 의견을 광범히 수렴하여 논의한 기초 위에서 ‘묘(苗)’를 묘족의 통일된 민족명으로 확정했다. 묘족의 민족기원에 관해 학술계는 여러 가지 주장들을 내세우고 있다. 민족기원 대해 민간의 이야기도 일치하지 않다. 학술계에서 그나마 인정하는 것은...
- 분류 :
- 묘요어족 민족 > 묘족
-
조선 朝鮮도총관도 문관이 겸임하였다. 지방에서도 각 도의 관찰사가 그 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를 겸하였다. 또 수령도 해당 고을의 병력을 지휘하는 무관직을 겸하고 있었다. 넷째로 광범위하게 겸임제를 운영한 점이다. 당상관 중 핵심 인물은 주요 관서의 요직을 맡는 한편, 도제조와 제조 등의 직함으로 여러 하급...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양반 兩班향직은 중국식 문 · 무산계에 대칭되는 토착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13세기경까지 남아 있다가 소멸되고 말았다. 그러나 995년에 제정된 문 · 무산계는 당의 문 · 무산계를 그대로 채용했기 때문에 고려의 실정에 잘 맞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문 · 무산계가 불균형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문반의 지위가 무반보다...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명나라 시대, 청태종의 중국 침입또 가도에서는 밀수상품이 비밀리에 거래되었는데 이들 상인들은 사전에 모문룡에게 응분의 상납을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또 명나라의 제도상 군대가 주둔하는 곳에는 반드시 문관을 파견하여 감독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모문룡은 특수한 사정을 핑계 삼아 문관의 파견을 거부하였다. 이렇게 해서 가도 일대는 밀수...
-
관료제도 官僚制度이르러 중국식으로 관제를 일원화하고 새로운 편제를 갖춤으로써 삼국시대와는 다른 관료체제를 형성하였다. 건국 이후, 개국공신들 가운데 무인들의 세력이...그들에 의한 새로운 귀족관료정치를 실현하게 된 것이 고려관료제도의 특징이다. 고려의 국가체제와 관제가 확립된 것은 제6대 성종에 이르러서이다...
- 시대 :
- 현대
- 성격 :
- 행정조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발해 진국(振國), 渤海기반으로 문관을 주로 사신으로 보내었고, 9세기 들어서면서 문인들이 파견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일본 문인들과 시문을 교환하였던 발해 사신으로는 758년에 파견된 부사 양태사(楊泰師), 814년에 파견된 대사 왕효렴과 부사 고경수(高景秀) 및 녹사 석인정 등이 있다. 또한 858년에 파견된 부사 주원백(周元伯...
- 시대 :
- 고대/남북국/발해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주원장 朱元璋, Chu Yuanchang것이다. 평화시에 경작용 농지를 병사들에게 수여하는 관행을 시행하여 그는 군대가 민간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자급자족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제도를 실천했다(중국문관제도). 대외관계 대외관계에서 홍무제는 명의 세력을 외곽지역으로까지 넓혔다. 만주 남부지역은 제국에 편입되었고, 조선, 류큐 제도[琉球諸島...
- 출생 :
- 1328. 10. 21, 중국 호주(濠州:지금의 안후이 성[安徽省] 펑양 현[鳳陽縣])
- 사망 :
- 1398. 6. 24
- 국적 :
- 중국, 명(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