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엽나무 卑角樹, Japanese honey locust개요 쌍떡잎식물강 콩목 콩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Gleditsia japonica Miq.’이다. 경북 경주시 옥산리에 있는 서원독락당의 중국주엽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15호로 지정되어 있다. 형태 키는 20m 정도까지 자라고 가지의 많은 큰 가시들은 자라면서 없어진다. 잎은 10~16장의 잔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원산지 :
- 아시아 (만주,대한민국,일본,중국)
- 서식지 :
- 산, 냇가
- 꽃색 :
- 녹색
- 크기 :
- 약 20m
- 학명 :
- Gleditsia japonica Miq.
- 꽃말 :
- 소식
- 용도 :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주엽나무 조자(皁刺)쥐엄나무·쥐엽나무·주염나무라고도 한다. 이 나무의 열매가 익으면 내피 속에 끈적끈적한 잼 같은 달콤한 물질이 들어 있어 이것을 주엽이라 하여 주엽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나무껍질은 흑갈색 또는 어두운 회색으로 매끈하다.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줄기와 가지에 갈라진...
- 분류 :
- 낙엽 활엽 교목
- 학명 :
-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골짜기, 개울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가시
- 생약명 :
- 조각자(皁角刺)
- 키 :
- 20m 정도
- 과 :
- 콩과
- 채취기간 :
- 가을~이듬해 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3~6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조각자나무의 씨
-
주엽나무수술은 9 ~ 10개이고 길이 4 ~ 5mm로 녹색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협과는 비틀려서 꼬이며 길이와 폭이 각 23cm× 3cm로 10월에 성숙한다. 나무껍질 나무껍질은 흑갈색 또는 암회색으로, 매끈매끈하며 사마귀모양의 껍질눈이 많고, 가지가 퇴화한 가시가 있으며, 일년생가지와 엽축에 짧은 털이 있다. 생육환경...
- 분류 :
- 장미목 > 콩과 > 주엽나무속
- 꽃색 :
- 녹색
- 학명 :
- Gleditsia japonica Miq.
- 개화기 :
- 5월, 7월, 6월
-
신안 도창리 노거수 팽나무, 新安 道昌里 老巨樹길게 뻗고 있다. 그 길이는 약 330m에 이르고 너비는 6∼36m이고 면적은 3,467㎡에 달하고 있다. 이 수림대는 팽나무 61주, 곰솔 9주, 주엽나무 8주, 가죽나무 5주, 예덕나무 3주 등 주로 이곳 토착의 고유수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주종을 이루고 있는 팽나무는 수령이 200년생쯤으로 추정되고 있다. 나무의 크기는...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주엽나무 Korean honey locust협과, 꼬여 있음 용도 원예 및 조경용 : 정원수로 심는다. 약용 : (열매) 강한 거담작용이 있어 천식과 객담에 좋다. 조협(열매), 조각자(줄기의 가시), 조협자(종자). 성분 조협은 triterphene, saponin 등이 들어있다. 특기사항 천연기념물 제115호-경상북도 경주군 안강읍 옥산리 1600, 옥산서원의 주엽나무 참고문헌
- 분류 :
- 콩과(Leguminosae)
- 서식지 :
- 산기슭, 산골짜기, 하천둑
- 학명 :
- Gleditsia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 Nakai
- 본초명 :
- 조각자
- 분포지역 :
- 한국(함북을 제외한 전국), 만주, 일본, 중국
- 근연식물 :
- 조각자나무
-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남한 천연기념물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에 있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 원래 명칭은 '독락당의 중국주엽나무'였으나 2008년 4월 변경되었다.독락당의 중국주엽나무 - 문화재청도서 위키백과
-
조각자나무 早角刺─콩과의 큰키나무이다. 조각자나무는 중국 중남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들은 심어 기른 것들이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유사한 나무로는 주엽나무가 있다. 학명은 Gleditsia sinensis Lamarck 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독락당에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이 심었다는 수령 약 500년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박태기나무 밥태기꽃나무, redbud씨는 타원형, 편평하며, 길이 7-8mm이다. 생태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이용 관상용, 약용 해설 국내에 분포하는 실거리나무아과(Caesalpinioideae)에 속하는 식물(차풀, 실거리나무, 주엽나무 등이 포함) 중에서 잎이 겹잎이 아니므로 구분된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박태기나무속
- 서식지 :
- 화단, 정원
- 학명 :
- Cercis chinensis Bunge
- 국내분포 :
- 전국(식재)
- 해외분포 :
- 중국
-
조각자나무 조각(皁角), 皁角刺나무및 사용 방법 조각자(皁角刺)·조협(皁莢)이라고도 한다. 조각자란 가시가 뿔처럼 달려 있는 모양을 의미하며 조협은 콩깍지가 나무에 주렁주렁 열리기 때문에 생긴 별칭이다. 주엽나무와 비슷하지만 가시가 굵고 그 단면이 둥글며 꼬투리가 비틀리거나 꼬이지 않는 점이 다르다. 가시는 큰 것이 길이 10cm, 지름 1...
- 분류 :
- 낙엽 활엽 교목
- 학명 :
- Gleditsia sinensis
- 분포지역 :
- 전남, 경북, 충북
- 자생지역 :
- 산야나 개울가 또는 재배
- 번식 :
- 꺾꽂이·씨
- 약효 부위 :
- 열매·나무껍질
- 생약명 :
- 조협(皁莢)
- 키 :
- 10~15m
- 과 :
- 콩과
- 채취기간 :
- 10월(열매), 가을~이듬해 봄(나무껍질)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6~8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주엽나무의 열매·나무껍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