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석학파 註釋學派, legal glossator
    중세에 로마 법 원문을 해석하면서 법전의 행간이나 여백에 주석을 달거나 단어를 설명하는 방법을 채용했던 일단의 학자들.|주석학파의 시대는 11세기말 볼로냐에서 로마 법 연구의 부활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들은 우선 6세기의 로마 법 편찬자인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의 〈학설휘찬 Digest〉을 기존의 필사본들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직권주의 (동의어 주석학파) 職權主義, Offizialprinzip
    법원에 소송의 주도적 지위를 인정하여 법원이 소송절차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주의.|실체적 진실발견이라는 소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송의 기본적 구조에 있어서 소송의 주도권이 법원에 있느냐 당사자에 있느냐에 따라 직권주의와 당사자주의로 나눌 수 있다. 직권주의 소송절차(inquisitorial p...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주석 법학 (관련어 주석학파) Glossator, 註釈学派
    주석 법학(註釋法學)은 보통 주석학파라고 불리며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시작된 학파이다. 여기에는 《로마법 대전》을 절대시하였다. 주석에 의하여 그 법문 상호간의 모순의 조화에 힘써서 중세 이탈리아의 로마법 연구가 집단과 나폴레옹 법전을 중심으로 하여 성문법규를 절대시하였다. 성문법의 조문을 엄격히 해석...
    도서 위키백과
  • 아쿠르시우스 Franciscus Accursius
    로마 법 개혁을 담당한 13세기의 탁월한 법률가이다. 그는 〈표준주석 Glossa ordinaria〉을 저술함으로써 유스티니아누스의 로마 법 대전을 연구하던 주석학파의 사업을 완성했다. 볼로냐대학교의 교수였던 아쿠르시우스는 11세기에 라벤나에서 들어온 로마의 많은 법률서적들을 접할 수 있었는데, 볼로냐대학교는 당시...
    출생 :
    1182경, 토스카나 바뇰로
    사망 :
    1260경, 볼로냐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미망사 학파의 제사철학
    것이고, 추론도 지각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므로 모두 무용이다. 오직 명령적 선언만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언명할 수 있다. 푸르바미망사 : 바타 학파와 프라바카라 학파 쿠마릴라(7세기)는 자이미니의 경전과 샤바라의 주석에 평석(Vārttika)을 붙였다. 프라바카라는 쿠마릴라 이후의 사람으로 추정되는 바, 샤바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경학 經學
    심화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풍부히 계승되지는 못했다. 주자가 〈대학〉을 주석하면서 경문(經文)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전(傳)으로 지은 〈격물보전 格物...반성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새로운 사상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학파와의 학문풍토 속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다. 특히 남인과 소론의 학풍이 추종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파르메니데스와 엘레아학파
    엘레아학파의 일원인 제논의 설명이 좋은 참고가 된다. 그는 존재가 ‘하나’임을 입증하기 위해 존재에서 ‘여럿’이라는 게 왜 성립할 수 없는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만약 여럿이 있다면 그것들은 크기도 하고 작다고 한다. 그것들은 그 크기가 무한할 만큼 크고, 전혀 크기가 없을 만큼 작다.”면서 크기도...
  • 강화학파 江華學派
    남겼다. 강화학파의 불교와 노장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이것을 통해 유교적 한계 또는 중세적 지배체제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셋째로 강화...서차고 書次故〉라는 저술을 지었다. 이것은 산일(散佚)된 유교 경전 주석을 체계적으로 집일(集佚)한 것으로 대체로 한대(漢代) 경학의 입장에 서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니아야-바이셰시카 학파
    대해서 대응론을, 진리의 검증에 대해서는 실용주의-정합설을 각각 지지하고 있다. 주로 수(數)에 대한 이론이나 물리이론과 화학이론 등을 다루므로, 이 두 학파를 구별짓는 요점은 대수롭지 않다. 고타마의 수트라는 400년경 바차야나가 주석을 달았고, 특히 공사상(空思想 Śūnyavāda)을 중심으로 하는 불교이론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바이셰시카 Vaisheshika
    카시아파(2~3세기)는 이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있다. 후세의 철학자인 프라샤스타파다·우다야나·슈리다라는 중요한 주석들을 썼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얼마 동안 독자적으로 존재하다가 니아야 학파와 완전히 통합되었는데, 이 통합과정은 11세기에 끝났다. 그후 이 학파는 니아야바이셰시카 학파라고 불리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유교 전통의 형성
    학파는 후한 시대(AD 25~220)에 크게 유행했다. 한대에 유학자들은 사회적·도덕적 개념을 체계적으로 규정하고 교육을 관리했으며, 정치를 독점하여 유교관점에서 역사를 해석했다. 또한 이러한 분야에서 유학자의 지배력을 확립시켰으며, 이것은 20세기까지 면면히 지속되었다. 그러나 이는 매우 전문적인 것으로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종교
  • 겐나디우스 1세 Saint Gennadius I of Constantinople
    대표자로서 그리스도의 사역과 인격에 관한 '보편적인' 교리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당시 대립적이던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학파와 시리아의 안티오크학파의 신학적 전통을 조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콘스탄티노플의 수도원 원장이던 겐나디우스는 458년 대주교가 되고 교황 레오 1세(440~461)의 권유로...
    출생 :
    미상
    사망 :
    471,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