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색 몸체에 불투명한 유약을 입힌 도기. tin-enameled earthenware라고도 함.|파이앙스, 마욜리카, 델프트 도기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산화주석을 첨가해 불투명해진 납유약인데, 이 주석유약은 원래 소성된 소지 본래 색의 흠을 가리기 위해 고안된 것이며 보통 고온유약으로 장식되었다...
1570년경 등장한 복잡한 그림으로 지나치게 장식하는 도기에 반발하여 장식이 거의 없는 파엔차 마욜리카(주석유약도기)인 '비앙키 디 파엔차'를 모방한 것이다. 좀더 단순한 형태에서는 흰색 부분이 대부분 노출되어 있었고, 중앙에 도형을 하나 그려넣거나 가장자리에 양식화된 화환을 두른 방패 모양의 문장을...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의 오르비에토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져 13세기부터 생산된 주석유약도기이다. 스페인의 파테르나에서 생산된 파이앙스를 모방했거나 그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인 색상은 그 원형이었던 스페인 것과 마찬가지로 녹색과 망간 자주색이지만 가끔 푸른색과 노란색이 첨가되기도 했다. 장식기법은 고딕...
도기 BC 9000년 전에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가마시설이 없는 노천에서 구웠으므로 산화되어 주로 누런색·검붉은색·회색·검은색을 띤다. 도기 중 주석유약도기는 마욜리카 또는 파이앙스라고도 부른다. 최근에는 급열·급냉에 견디는 도기를 만들어 조리용기와 냉동용기로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점토로 성형...
한다. 17세기초 명나라 선박을 강탈해 빼앗은 청화백자가 주종을 이루었는데 네덜란드에서는 이를 범선자기(帆船磁器)라 했다. 이로 인하여 주석유약을 입힌 델프트 도기가 생산되었는데 이 이름은 17세기 중반부터 델프트 시에 많은 공장들이 몰려 있었기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양조업이 기울어가자 도공들은 폐쇄된...
보통 암청색 하회유약으로 문양을 그린 다음 주석유약을 입혀 초벌을 한다. 초벌 후 금속성 광택유약을 붓으로 발라 재벌을 하여 만든다. 색상은 초기의 옅은...이슬람풍과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모티프가 혼합된 것이 있다. 이 도기는 아랍어 비문의 잘못된 철자나 읽기 어려운 것을 일부러 새겨넣은 것으로 보아...
그로테스크한 무늬가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라파엘 화풍을 본뜬 고전적인 형상 구도를 갖추었고 '카스텔두란테 제작'이라는 표시가 된 정식 카스텔두란테 도기는 1524~26년에 등장했다. 17개의 접시로 이루어진 이른바 코레르 식기 세트(1515)와 곤차가 식기 세트(1520경, 곤차가와 에스테 문장이 세로로 합쳐 그려져...
일찍이 12세기에 파테르나의 알모아드 가문 밑에서 도기가 만들어졌지만, 스페인의 마지막 이슬람 왕조인 나슈리드 가문의 통치기(1230~1492)에 비로소 유명해졌다. 스페인계 무어인들의 다른 주요한 도기 중심지들인 발렌시아·마니세스·말라가의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파테르나 도기 양식은 그 기원을 중동에서 찾을...
식탁용 도자기가 나왔으면 하는 오랜 요구를 총족시켜주었으며, 그결과 2세기 동안 크림색의 가정용 도자기들이 널리 인기를 얻게 되었다. 자기와 주석유약도기 공장들은 영국과 해외에서 모두 웨지우드 크림 웨어와의 경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살아 남은 공장들은 주석유약도기 제조에서 크림 웨어 생산으로 방향...
카스텔리 도기는 르네상스 색 중 단 4가지 색(청색·노란색·녹색·자주색)만을 사용했고 엷게 칠했기 때문에 쉽게 분간할 수 있다. 이 도기는 매우 뛰어난 몇몇 작품에서 혁신적으로 진짜 금을 사용해 도금을 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작품에서는 대체로 깊이와 광도가 떨어진다. 카스텔리는 전통적인 르네상스의 장식...
바티스타 안토니본이 마욜리카 제작 공장을 세웠으며 같은 세기 후반에는 200년 전부터 마욜리카를 만들어온 바사노 근처의 공장과 협력관계를 맺었다. 이 도기는 대부분 당시에 유행하던 로코코 양식으로 만들었으며 1752년부터 짙은 붉은색과 연두색으로 채색된 자기제품도 생산했다. 노베는 또 품질이 우수한 크림색...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이탈리아의 마욜리카, 베를린의 자기, 영국의 우스터 도자기에 영향을 끼쳤다. 19세기 전까지 제작된 유럽 도자기는 납유약도기, 주석유약도기, 석기, 연질자기, 경질자기, 본차이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납유약도기는 중세부터 외부의 영향없이 만들어졌는데 황색·갈색·자주색·녹색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