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韓國天主敎主敎會議개설 ‘주교회의(主敎會議)’는 시대와 장소에 적절히 적응시킨 사도직(使徒職)의 한 형태로 한 국가나 특정 지역 주교들의 회합이며(교회법 제447조), 해당 국가나 지역 신자들의 선익(善益)을 위하여 사도좌의 승인을 받아 교리서와 성경을 출판하며, 총회를 통해 만장일치로 교리에 관한 유권적 선언을 할 수 있는...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74(중곡동 643번지 1호)
- 설립 :
- 1967년 12월 4일(교황청 승인으로 주교회의 규약이 발효됨)
- 성격 :
- 교회법 규정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상설 의결기구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로마 교황청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캔터베리와 요크의 주교회의 Convocations of Cant..뿐 아니라 성직자들이 왕실 재정을 마련하기 위해 세금을 부과하는 업무도 맡는 의회가 되었다. 종교개혁 때, 성직자 복종령(1533)으로 왕의 허락 없이는 주교회의를 열지 못하게 되었다. 그뒤 140년 동안 이 주교회의는 군주 및 의회와 협의하면서 열심히 종교개혁을 조정했다. 1660년 찰스 2세의 왕정복고 후에 성직자...
-
한국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 韓國天主敎主敎會議正義平和委員會권고에 따라 1970년 8월 24일 대전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함으로써 설립되었다. 초대회장에는 유홍렬(柳洪烈) 박사가 선출되었으며 주교회의에서는 초대총재에 황민성(黃旼性) 주교를 임명했다. 설립목적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존엄성 및 정의와 평화를 실현하는 데 있다. 활동내용은 주로 사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韓國天主敎中央協議會, Catholic Bishops' Conferen..승인 아래 조직되었다. 1948년 교세의 증가에 따라 전국적인 협의체를 구성했으나 6·25전쟁으로 한때 활동이 중단되기도 했다. 그뒤 1952년 대구에서 주교회의가 열림으로써 활동이 이어졌다. 이후 1959년까지 여러 번 조직개편이 있었으며 한때 교황사절에 소속되기도 했으나 1959년 주교들의 협의체로 재조직되었다...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Catholic Bishops' Confe..다른 뜻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韓國天主敎主敎會議)는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의 공동선이 증진되도록 사목 임무를 공동으로 조정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사도좌의 승인 아래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라는 명칭으로 국가에 등록된 기독교 법인으로 설립된 주교회의이다. 주교회의는 그 지역의 모든 교구장 주교들과 부교...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