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교육심의회 교육심의회(敎育審議會), 朝鮮敎育審議會조선교육심의회는 미군정기에 한국인이 참여하는 미군정청 학무국의 교육자문기구로서, 장기적인 교육 계획 수립을 수립하였다. 1945년 11월부터 1946년 3월까지 활동하였는데,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6-3-3-4를 골격으로 하는 단선형 기본 학제, 초등학교 의무교육제 등 해방 후 한국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학교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교육심의회 교육개혁심의회, 敎育審議會설계를 위해 학무국 조사기획실로 하여금 교육계와 학계의 권위자 1백여 명을 초청하여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한 것이다. 교육이념·교육제도·교육행정·초등교육·중등교육·직업교육·사범교육·고등교육·교과서·의학교육 등의 10개 분과위원회를 두어 각 분과로 하여금 학무국에서 마련한 여러 가지 의제를 협의...
- 시대 :
- 현대
- 성격 :
- 자문기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5년 11월 23일
- 분야 :
- 교육/교육
-
교육 敎育4차 조선교육령의 주요골자는 다음과 같다. 국민학교는 대륙침략에 이용하는 병사의 준비와 관련해서 의무교육제의 준비를 실시할 것, 중학교는 일본에 준해서 조처할 것, 제국대학 예과는 문과의 정원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고 이공과의 정원을 증원시킬 것, 이과계통의 전문학교는 학생수를 증가해서 실시할 것...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한자교육 漢字敎育우리 사회를 이끌어왔다. 1945년 9월 29일에 「한자폐지실행회 발기 취지서」가 한자폐지실행회발기취지준비위원회에 의하여 발표되고, 그해 12월 8일 조선교육심의회의 문자정책에 관한 결정사항 속에도 한자 폐지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그리고 1951년 9월에 「상용일천한자표(常用一千漢字表)」가, 1957년 11월에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직업교육 職業敎育그리하여 미군정기와 1950년대 시기에는 국가의 후진성을 탈피하고 경제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 특히 실업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미군정청 학무국은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할 때 직업교육 분과를 조직하였다. 1948년 정부 수립 시에는 문교부에 과학교육국을 창설하여 농업교육, 상공교육, 수산교육 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