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머펠트 Arnold (Johannes Wilhelm) Sommerfeld
    독일의 물리학자.|원자 모형으로 미세구조 스펙트럼 선을 설명했다.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과학과 수학을 공부한 후, 괴팅겐대학교의 조교가 되었고 클라우스탈(1897)과 아헨(1900)에서 수학을 가르쳤다. 그는 뮌헨에서 이론물리학교수로 있을 때(1906~31) 가장 중요한 업적을 세웠다. 원자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 ...
    출생 :
    1868. 12. 5,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지금의 러시아 연방 칼리닌그라드)
    사망 :
    1951. 4. 26, 뮌헨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조머펠트 복사 조건 Sommerfeld radiation condition
    조머펠트 복사 조건은 헬름홀츠 방정식의 경계 조건의 하나이며, 방사원이 에너지를 밖으로 복사하고, 안으로 흡수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다. 주어진 방사원에 대한 헬름홀츠 방정식은 아무런 경계 조건을 가하지 않으면 무한한 수의 해를 가진다.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는 해를 구하려면 조머펠트 복사 조건을 적용...
    도서 위키백과
  • 아르놀트 조머펠트 Arnold Sommerfeld, アルノルト・ゾンマーフェルト
    infobox scientist 아르놀트 요하네스 빌헬름 조머펠트는 독일의 이론물리학자이다. 원자와 양자 물리를 주로 연구한 그는 교수로 재직하면서 훗날 노벨상을 수상하게 될 많은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또한 84차례에 걸쳐 노벨상 후보로 지명되기도 했으나, 끝내 수상하지 못했다. 그의 대표적인 업적은 보어의 양자조건을...
    도서 위키백과
  • 미세 구조 상수 Fine-structure constant, 微細構造定数
    기호 α) 또는 조머펠트 미세 구조 상수(Sommerfeld -)는 전자기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물리상수다. 원자물리학과 입자물리학에서 자주 나타난다. 1916년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발견하였다. 원래 조머펠트가 원자 방출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를 연구할 때 발견하였으므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2020년 4월에, 130억 광년...
    도서 위키백과
  • Arnold Sommerfeld 아르놀트 조머펠트, アルノルト・ゾンマーフェルト
    Arnold Johannes Wilhelm Sommerfeld,(5 December 1868 – 26 April 1951) was a German theoretical physicist who pioneered developments in atomic and quantum physics, and also educated and mentored a large number of students for the new era of theoretical physics. He served as PhD supervisor for many...
  • Sommerfeld radiation condition 조머펠트 복사 조건
    Arnold Sommerfeld defined the condition of radiation for a scalar field satisfying the Helmholtz equation as "the sources must be sources, not sinks of energy. The energy which is radiated from the sources must scatter to infinity; no energy may be radiated from infinity into ... the field...
  • 금속의 자유전자 모형 free-electron model of metals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자유전자 모형은 1900년대초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헨드릭 A. 로렌츠가 처음 제안하였고 1928년 독일의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수정했다. 조머펠트는 파울리의 배타원리(排他原理)라는 양자역학적 개념을 써서 자유전자 모형을 설명했다. 이 모형은 최외각전자가 하나뿐인 금속(리튬·나트륨·칼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초기 양자론 Old quantum theory, 前期量子論
    역학에서는 반고전적인 근사로 인식된다. 초기 양자론의 가장 큰, 그리고 마지막 업적은 에드먼드 스토너(Edmund Stoner)가 정한 현대 주기율표와 아르놀트 조머펠트가 보어의 원자모형를 개선한 파울리 배타 원리다. 초기 양자론을 다룰 때의 주된 도구는 고전 시스템에서 다른 상태는 안되고, 허용된 상태 중 하나만에...
    도서 위키백과
  • 자유 전자 自由電子, free-electron
    받지 않고 금속결정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자유전자 모형은 1900년대초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헨드릭 A. 로렌츠가 처음 제안하였다. 조머펠트는 파울리의 배타원리라는 양자역학적 개념을 써서 자유전자 모형을 설명했다. 이 모형은 최외각전자가 하나뿐인 금속(리튬·나트륨·칼륨 등)의 전도도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슈바르츠실트 Karl Schwarzschild
    그는 이론물리학과 상대성이론에 중요한 공헌을 했으며, 닐스 보어가 제안한 원자 스펙트럼 이론을 발전시킨 위대한 선구자들 중 하나였다. 아르놀트 조머펠트와는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양자화의 일반 규칙을 발전시켜 슈타르크 효과(빛에 대한 전기장효과)에 대한 이론을 완성시켰으며, 분자 스펙트럼에 대한 양자론을...
    출생 :
    1873. 10. 9,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사망 :
    1916. 5. 11, 포츠담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수치 거리 數値距離, numerical distance
    독일의 물리학자 A. 조머펠트가 지표파의 전파식(傳播式)을 구하기 위하여 대지의 손실을 고려해 도입한 r의 개념. 대지의 유전율과 도전율을 e[esu], s[emu]로 나타내면가 되며 파원(波源)으로부터 r[km] 떨어진 점의 수신 전계(受信電界) E는가 된다. 여기서 I0, H는 안테나의 파복(波腹) 전류의 최댓값[A]과...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Werner Heisenberg, ヴェルナー・ハイゼンベルク
    압수"하고 "빨간색" 죄수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으로 제한되었다. 1920년부터 1923년까지 그는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에서 아르놀트 조머펠트와 빌헬름 빈에게, 게오르그-아우구스트 괴팅겐 대학교에서 막스 보른과 제임스 프랑크에게 물리학과 수학을 그리고 다비트 힐베르트에게 수학을 공부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