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루리 淨瑠璃, Joruri
    일본 문학과 음악에서 행해지는 낭송의 한 종류.|인형극인 분라쿠[文樂]의 대본이 되는 수가 많다. 이름은 15세기 조루리히메[淨瑠璃姬]의 사랑을 주제로 한 민요에서 유래되었다. 처음에는 4현 악기인 비파 반주에 맞추어 서창되었으나, 16세기 무렵에 류큐 제도[琉球諸島]에서 3현 악기인 사미센[三味線]이 전래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음악
  • 근세 에도 시대 일본문학 (관련어 조루리)
    근세(에도 시대) 무로마치 바쿠후의 성립(1573)으로부터 에도 바쿠후[江戶幕府] 멸망(1867)까지, 약 300년간을 근세라고 한다. 근세문학은 18세기 중엽을 경계로 전기·후기로 나누고 이를 다시 4기로 나눌 수 있다. 즉 에도 초기(1661~81경)까지가 제1기, 겐로쿠[元祿 : 1688~1704] 연간을 중심으로 1716~36년경까지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조루리 Jōruri (music), 浄瑠璃
    조루리는 일본의 전통예능에서 반주에 맞추어 이야기를 읊는 행위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이른바 '가타리모노(語物)'라 일컫는,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에 가락을 붙이고 반주에 맞추어서 입으로 낭독하는 예능적 전통이 있다. 그 기원은 대체로 예능사상(藝能史上)으로는 평곡(平曲, 헤이쿄쿠)을 시발점으로 삼고...
    도서 위키백과
  • Jōruri 조루리, Jōruri (music)
    is a form of traditional Japanese narrative music in which a sings to the accompaniment of a shamisen. As a form of storytelling, the emphasis is on the lyrics and narration rather than the music itself. See also Bunraku
  • 분라쿠 Bunraku, 文楽
    다른 뜻 분라쿠는 일본의 전통 인형극이다. 원래 이름은 닌교조루리이며, 인형이라는 뜻인 '닌교'(人形)와 이야기체 음악인 '조루리'(浄瑠璃)가 합쳐진 말이다. '분라쿠'는 인형극 닌교조루리가 펼쳐지는 극장의 이름이었으나, 그 뜻이 확장되어 현재는 닌교죠루리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 등신대의 인형을 3명이 함께...
    도서 위키백과
  • 동양의 셰익스피어, 지카마쓰 몬자에몬 近松門左衛門
    배울 기회를 얻었다. 그가 극예술에 관심을 가진 것은 열여덟 살 때 우지 가가노조의 집에 심부름을 가게 되면서부터이다. 우지 가가노조는 당대 최고의 조루리(淨瑠璃) 작가로, 교토에 극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조루리란 분랴쿠의 대본을 말한다. 우지 가가노조 아래에서 몬자에몬은 조루리의 초고를 쓰고, 가가노조의...
    출생 :
    1653년
    사망 :
    1725년
    본명 :
    스기모리 노부모리(杉森信盛)
    국적 :
    일본
    대표작 :
    《요쓰기소가(世繼曾我)》, 《사사키 대감(佐々木大鑑)》, 《출세가케키요(出世景淸)》, 《소네자키 신주(曾根岐心中)》, 《고쿠센야캇센(國性爺合戰)》, 《신주텐노아미지마(心中天綱島)》
  • 나미키 소스케 나미키 센류, 竝木宗輔
    나미키 센류[竝木千柳]라고도 한다. 원래 선종 승려였으나 환속하여 오사카에 있는 조루리 극장인 도요타케자[豊竹座]의 조루리 작가가 되었으며, 1726년 〈호조 도키요리키 北條時賴記〉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뒤 도요타케 와카다유[豊竹若太夫]를 위해 많은 걸작을 지어, 도요타케자의 번영에 기여했다. 한때...
    출생 :
    1695
    사망 :
    1751. 9. 7, 일본 오사카[大阪]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다케모토 기다유 竹本義太夫, Takemoto Gidayu
    조루리 유파인 기다유 부시[義太夫節]의 창시자이다. 기요미즈 고로베이[淸水五郞兵衛] 등으로 불리다가 뒤에 다케모토 기다유라 했다. 조루리 배우 이노우에 하리마[井上播磨]의 풍을 좋아하여 그 제자 기요미즈 리베이[淸水理兵衛]에게 배웠다. 1684년에는 오사카 도톤보리[道頓堀]에 조루리 극장인 다케모토자[竹本座...
    출생 :
    1651, 일본 오사카[大阪]
    사망 :
    1714. 9. 10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분라쿠 文樂, bunraku
    거의 실물 크기의 인형들이 작은 사미센[三味線] 반주로 영창되는 사설(辭說), 즉 조루리[淨瑠璃]에 맞추어 연기한다. 일본에서 인형을 놀리는 기술을 처음 선보인 것은 11세기경 집시처럼 떠돌아다니는 구구쓰마와시[傀儡回師 : 인형을 놀리는 사람]였는데, 이들은 중앙 아시아로부터 기술을 전수해온 것으로 짐작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히라가 겐나이 平賀源內, Hiraga Gennai
    이름은 구니토모[國倫]. 조루리[淨瑠璃] 작가로서는 후쿠우치 기가이[福內鬼外]라고도 한다. 다카마쓰 한[高松藩]에서 아시가루[足輕]의 아들로 태어나 일찍부터 의학을 배우고 에도·나가사키[長崎]에서 네덜란드어와 본초학 등을 수학했다. 다재다능하여 모든 과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일본 최초의 물산회를 개최하고...
    출생 :
    1728경, 사누키[讚岐] 사무가와[寒川]
    사망 :
    1779. 12. 18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후타가와 분타로 시노즈카 오츠마, 二川文太郎
    사운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던 그는 1939년 <무지개 가도>(虹晴れ街道)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하였다. 그로부터 16년 뒤, 후타가와는 <조루리 고개의 복수>(復讐浄瑠璃坂, 1955) 2부작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영화계에 복귀하였지만 좋은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결국 이 작품이 그의 유작이 되었다. 영화...
    출생 :
    1899년 6월 18일 일본 도쿄
    사망 :
    1966년 3월 28일
    본명 :
    후타가와 분타로(二川文太郎)
    데뷔 :
    <신기루>(蜃気楼, 1923)
  • 조선 장교 최천종 살인 사건
    계속 부풀어 났다. 중국과도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있던 당시 일본에서 외국인이 피살된 사건 자체가 아주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되었던 것이다. 가부키와 조루리로 이백년 넘게 전승되어 최천종이 살해된 사건을 테마로 하는, 일련의 이국인 살인 사건 작품을 「도오진고로시(唐人殺し)」라고 한다. 도오진(唐人)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지카마쓰 몬자에몬 (Chikamatsu Monzaemon)
분라쿠 (bunraku)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