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20차 소련 공산당대회 ..소련에서 스탈린주의를 청산하기 위해 당 제1서기였던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추진한 계획의 서막으로 유명해진 회의(1956. 2. 14~25). 제20차 당대회에서 가장 흥미를 끈 것은 흐루시초프가 행한 2번의 연설이었다. 즉 스탈린을 격하하는 내용을 담은 유명한 비밀연설(2. 24~25)과 전당대회에 제출한 중앙위원회의 보고...
-
공산권의 분열과 개혁조치해방시키고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에 취임한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소련 공산당의 오랜 지배에 반기를 들고 코민포름에서 탈퇴함으로써 독자노선을 걷기 시작...더 큰 어려움이 생기게 되었다. 특히 공산당 서기장직을 승계한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제20차 전당대회에서 스탈린을 격하시킨 뒤, 강력한 정치적 기반...
-
흐루시초프 시대의 러시아죽은 지 3년이 지난 1956년 공산당 제1서기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스탈린을 비난하는 그의 유명한 비밀연설로 탈(脫) 스탈린 시대의 도래를 알렸다(제20차 소련 공산당대회). 그의 폭력적인 만행을 규탄함으로써 결국 흐루시초프는 스탈린 시대의 만행이 되풀이되지 않을 것임을 직접 확언한 셈이었다. 그러나 이데올로기...
-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비판하다제20차 소련공산당대회에서 서기장 흐루쇼프가 전임 서기장 스탈린(1953년 사망)이 저지른 범죄 행위를 낱낱이 고발했다. 흐루쇼프는 1930년대의 대숙청 때 고문과 조작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된 공산당원과 일반 시민의 사례를 구체적인 이름과 수치를 들어 폭로하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스탈린이 저지른 과오와 실책...
- 시대 :
- 1956년 2월 25일
- 국가/대륙 :
- 유럽
-
-
흐루쇼프 니키타 세르게예비치 흐루쇼프, Nikita (Sergeyevich) Khrush..외향적인 성격과 농부 같은 유머는 그때까지 소련 지도자들이 심어놓은 인상과는 크게 대조되는 것이었다. 1956년 2월 24~25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제20차 전당대회에서 흐루쇼프는 스탈린의 1인독재정치의 비리에 대한 기념할 만한 비밀연설을 하면서, 스탈린의 '불관용·야만성·권력남용'을 비난했다. 수년 간의...
- 출생 :
- 1894. 4. 17(구력 4. 5), 러시아령 우크라이나 칼리노브카
- 사망 :
- 1971. 9. 11, 모스크바
- 국적 :
- 소련
-
봄-물의 범람 ‘봄-물의 범람’과 에렌부르크의 ‘해빙’은 러시아의 역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1953년 스탈린 사후에 구소련 사회에 불어닥친 민주화 경향을 일컫는 말이 되었기 때문이다. 1956년 제20차 소련공산당전당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개인숭배’를 비판하는 연설을 하고, 소련의 대외 정책으로 자본주의 세계와의 ‘평화적 공존’ 노선을 선언...
- 제작시기 :
- 1897년
- 작가 :
- 이사크 레비탄
-
쌍백 운동과 반우파 투쟁 그리고 대약진 운동의 실패그러던 중 1956년 2월 소련 공산당 제20차대회에서 ‘스탈린 비판’이 진행되어 영원할 것 같았던 스탈린에 대한 신격화가 한순간에 붕괴했다. 이를 계기로 사회주의 체제 내에 일종의 ‘해빙기’가 찾아왔고, 중공업 우선과 고도의 중앙집권 관리체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같은 해 4월 마오쩌둥은 이런 분위기에...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발전및 소련이 미국과 핵실험금지조약을 맺는 등 국제관계가 긴장되기 시작했다. 마오쩌둥은 이에 자극을 받아 농업집단화의 후퇴를 비난하고, 펑더화이 추방의 정당성을 재확인했으며, 계급투쟁을 강조했다. 문화대혁명 1965년 11월 10일 야오원위안[姚文元]이 〈해서파관〉을 평하는 글을 발표하면서 문화대혁명의 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