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제복 祭服제사를 지낼 때 입는 옷. 내용 제사는 왕이 주도하는 나라의 제사에서부터 각 가정에서 선조를 추모하는 제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명칭이 다양하다. 제복은 그 제사의 내용에 따라서 또는 입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서 달랐다. 제복을 입기 시작한 것은 국가의 틀이 잡히고 왕권이 확립된 이후부터라고 본다. 특히, ...
- 성격 :
- 의복
- 유형 :
- 물품
- 용도 :
- 제복(祭服)
- 분야 :
- 생활/의생활
-
-
-
-
통감부 제복 統監府 制服연원 1906년(광무 10) 2월에 통감부(統監府)가 설치되자 같은 달에 「칙령」 제14호로 통감부 제복이 제정되었다. 설치 당시 통감부에는 총무부, 외무부, 농상공부, 경무부가 있었고 소속 관서로는 통신 관서, 철도 관리국, 법무원, 재판소가 있었다. 여기에 소속된 모든 관원이 제복을 착용하였다. 통감부 제복으로...
- 시대 :
- 근대/대한제국기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친위대 제복 및 표장 Uniforms and insignia of the S..친위대 제복 및 표장은 나치 무장 조직 계급의 일부로서 1925년에서 1945년 사이 나치 친위대가 독일 국방군 및 나치 당원 제복과 구분되도록 사용한 제복 및 표장을 말한다. SS에는 참전한 곳의 전장에 따라 다른 여러 종류의 제복이 존재했으나 대부분 SS의 복장은 검정 제복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검정은 어둡고...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