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보당 Gevaudan
    프랑스의 고대 지방.|예전에 랑그도크 남쪽 지방에 있었으며 오늘날의 로제르 주와 거의 일치한다. '키비타스 가발리타나' 또는 '가발리타누스 파구스'라고 부르는 로마인 부락이었던 이곳은 472년에 서고트족에게 점령되었다가 이후 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9세기에 이르러 그 지배자들이 망드의 강력한 백작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능엄경(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
    구결(順讀口訣)로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라는 점에서 훈민정음 이전의 국어사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구성과 내용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능엄경』, 『수능엄경』, 『대불정경』, 『대불정수능엄경』 등으로 약칭한다. 본서는 경문에 계환이 해설한 내용을 묶은 회본이다...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8 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
    저자 및 편자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당나라 때 서역승(西域僧) 반자밀제(般刺密帝)가 한역(漢譯)하고, 원나라 유칙(惟則)이 해설을 모아 편찬하여 10권으로 간행한 판본이 널리 알려졌다. 이 책은 1443년 전라도 고산(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10 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
    저자 및 편자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당나라 때 서역승(西域僧) 반자밀제(般刺密帝)가 한역(漢譯)하고, 원나라 유칙(惟則)이 해설을 모아 편찬하여 10권으로 간행한 책이다. 이 책은 1401년 건염기유(建炎己酉)[1129년] 만안비구(萬安比丘) 행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2, 4, 7, 8, 10 수능..
    저자 및 편자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줄여서 『수능엄경(首楞嚴經)』 또는 『능엄경(楞嚴經)』이라고 한다. 『능엄경』은 『금강경(金剛經)』, 『원각경(圓覺經)』,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함께 불교 강원(講院)의 사교과(四敎科)의 하나...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 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전에 대하여 송나라 때 승려 계환(戒環)이 『능엄경요해(楞嚴經要解)』라는 주석서를 지었고,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이것들을 한글로 번역하여 엮은 것이다. 서지사항 표지에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고, 판심(版心)에는...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능엄경(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
    개설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1457년(세조 3) 왕세자의 치병을 발원하고자 임영대군(臨瀛大君) 등에게 명하여 을해자로 찍은 불경이다. 당시 국역본이 널리 간행된 데 비해 초기의 수입 판본을 을해자로 찍은 드문 사례로, 2011년 2월 1...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무예제보번역속집 武藝諸譜飜譯續集
    일본국 지도가 들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임진왜란 직후 조정에서는 군사병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교(韓嶠)가 선조(宣祖)의 명을 받고 1598년에 『무예제보』를 편찬한 바 있는데, 훈련도감의 도청(都廳)인 최기남이 이 책에서 빠진 것을 보충하여 속집(續集)으로 편찬한 후 1610년경에 훈련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최기남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321호
    창작/발표시기 :
    1610년(광해 2)
    성격 :
    군서, 병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훈련도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大佛頂..
    개설 보물 제1603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선(禪)을 닦아 온갖 번뇌로부터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요의(要義)를 설한 경전으로, 흔히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수능엄경(首楞嚴經)』 혹은 『능엄경(楞嚴經)』이라 일컫는다...
    저작자 :
    반자밀제(한역), 계환(주해)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603호
    창작/발표시기 :
    1433년(세종 15)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2책
    간행/발행 :
    세종, 성달생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역사박물관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2, 3, 4, 6, 7, 8, 9, 10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 卷二, 三, 四, 六, 七,..
    개설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은 당나라 반랄밀제(般刺蜜帝)가 처음 한역하고 중국 송나라 휘종 때 온릉(溫陵) 개원련사(開元蓮寺)의 계환(戒環)이 요점을 뽑아 주해한 불경으로, 『대불정수능엄경(大佛頂首楞嚴經...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권9 능엄경(楞嚴經), 大佛頂如..
    개설 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하나로, 당나라 때 반랄밀제(般剌密帝)가 처음 한역(漢譯)하고 송나라 휘종 때 계환(戒環)이 중요한 부분을 뽑아 주해한 것으로 『수능엄경(首楞嚴經)』 또는 『능엄경(楞嚴經)』으로 약칭되는 경전이다. 세종(世宗...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
    개설 『능엄경』은 심성의 본체를 천명한 대승(大乘)의 비밀부(秘密部)에 속하는 불경으로서 한국에서는 주로 선가(禪家)에서 독송, 연구되었으며 불교 강원 사교과(四敎科)의 하나로 학습되었던 경전이다. 여러 차례 간행되어 배포되었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판본도 아주 다양하다. 한문본과 언해본이 간행되었으며...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