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제대혈, 꿈의 신약 원료인가?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태반과 탯줄을 신성시 여겨왔다. 이 때문에 아이를 출산한 후 얻어진 태반과 탯줄을 소홀히 다루지 않고 태반 항아리(태항)에 담아 정결한 곳에 묻는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왕실에서는 아이가 태어나면 태반을 깨끗이 씻어 백자 항아리에 담아 밀봉한 뒤 성대한 의식을 거행하고 고이 보관했다...
-
-
-
-
임신부의 고민, ‘제대혈! 보관 할까 말까?’몇 년 전부터 임신부의 ‘출산 준비 리스트’에 제대혈 보관이란 항목이 들어가고 있다. 탯줄 안에 있는 혈액을 채취한 것으로, 그 어느 혈액보다 성체줄기세포가 많이 들어있는데, 아이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거나 난치병에 걸리면 냉동보관해 둔 성체줄기세포를 해동해 치료용으로 쓸 수 있다. 전문으로 제대혈을 보관...
-
조혈모세포 이식 Stem cell transplantation입니다. 이 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해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되므로 신체의 혈액세포의 수는 항상 일정한 수를 유지합니다. 조혈모세포는 골수, 혈액, 제대혈에 존재하며, 이를 이식하는 것이 조혈모세포 이식입니다. 이를 일반적으로 골수이식이라고 하지만, 조혈모세포 이식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조혈모세포는...
- 분류 :
- 종양혈액질환
- 발생 부위 :
- 전신
- 증상 :
- 무증상
- 진료과 :
- 소아청소년과, 혈액내과
- 관련 질환 :
- 소세포성 폐암, 다발골수종, 전신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 관절염, 백혈병, 림프종, 신경모세포종,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생식선 및 생식 세포의 신생물, 아밀로이드증, 재생불량빈혈, 난소암, 다발성 경화증, 부신백질이영양증, 판코니범혈구감소증, 고셔병, 헌터 증후군,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
제대혈 조혈모세포이식 placental blood transplantation탯줄혈액(제대혈)은 신생아의 탯줄에서 채취되며, 줄기세포의 유용한 공급원으로 조혈모세포이식에 쓰일 수 있다.
-
탯줄천자 Cordocentesis자궁 내 탯줄(제대정맥)로 삽입 후 혈액을 뽑습니다. 검사결과 염색체 및 유전자 검사결과의 경우 약 10-14일 후에 결과가 보고됩니다. 주의사항 ▶ 검사 후 제대혈출혈, 제대혈종, 태아-모체 출혈, 태아 서맥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합병증은 일시적입니다. ▶ 검사 후 당일은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출혈 등...
- 관련 질환 :
- 풍진, 혈우병, 톡소플라즈마증, 선천성 기형, 다운 증후군
- 관련 인체 :
- 탯줄, 양막
- 관련 검사 :
- 산전 검사, 기형아 검사, 양수 검사, 초음파 검사, 융모막융모생검
-
줄기세포 그거 정말 대단한거야?좋기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치료법을 찾아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틈새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태반과 탯줄에서 얻을 수 있는 제대혈(탯줄 혈액) 줄기세포다. 성체줄기세포의 일종인 제대혈줄기세포는 골수이식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1990년대부터 연구되어 왔는데,제대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