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산문명, 제단과 신비의 여신전 고고학 미스터리그 이유는 고대인들을 단합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정신세계를 묶을 수 있는 믿음을 꼽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곳에서 뉴허량 훙산 유적을 대표하는 많은 제단이 발견된다. 원형과 방형 형태인데 전체적으로 정연한 배치로 남북 축을 갖는 대칭성을 보인다. 이중 학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것은 중심에 있는 제단이다. 넓은...
-
Altar 제단, 祭壇An altar is any structure upon which offerings such as sacrifices and worship are made for religious purposes. Altars are usually found at shrines, and they can be located in temples, churches and other places of worship. Today they are used particularly in Christianity, Buddhism, Hinduism, Shint...출처 영어 위키백과
-
아라 파치스와 해시계 오벨리스크 ‘팍스 아우구스타’를 천명하는 평화의 제단발견되었지만 그래도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았다. 그 후 20년이 지난 어느 날 독일의 고고학자 폰 둔(von Duhn)은 이것이 다름 아닌 아우구스투스의 ‘평화의 제단’ 아라 파치스의 파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1903년 본격적으로 발굴을 시작해 제단의 본체뿐 아니라 다른 파편들도 찾아냈고 1937년과 1938년 사이에 모든...
- 시대 :
- 로마제국 전기
-
화성동 제단 화성동 유적, 和盛洞 祭壇개설 북한 국보유적 제188호. 북한 학계에서 단군조선 초기에 단군을 제사하던 제단으로 주장하고 있는 2기의 석구조물 유적이다. 1996년 11월부터 1997년 5월까지 북한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평양직할시 용성구역(龍城區域) 화성동(和盛洞) 당모루 부락에서 2기의 석구조물 유적을 발굴 조사하였다. 당모루 마을...
- 시대 :
- 고대/초기국가/고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김준신 의사 제단비 金俊臣義士祭壇碑상주 판곡리는 고려시대 이후 청도 김씨의 세거지였다. 김준신 의사 제단비(金俊臣義士祭壇碑)는 의병장 김준신을 추모하기 위해 그가 출생한 이곳에 설치했다. 1850년(철종 1)에 제단비를 세우고 그 후 첨모재(瞻慕齋)를 건립했으며, 1993년에 첨모재를 중건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준신은 32세의 나이에 분연히...
- 소재지 :
- 경상북도 상주시 화동면 판곡1길 15-3
- 지역 :
- 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