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신병원 精神病院, mental hospital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병원으로써 근대화 된 정신병원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등장했다. 흔히 구속요법을 사용하는 감옥식 병실을 떠올리는데, 근대 이후에는 부분입원 제도를 택하는 병동의 비율이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해방 이후 세워진 지금의 청량리정신병원이 최초의 정신병원이다.|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병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병원
  • 정신병원 (관련어 정신 병원) Psychiatric hospital, ..
    정신병원(精神病院)은 수용 감금하는 정도였으나, 인권존중의식이 고조됨에 따라 강제입원이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효과적인 치료도 없다. 치료감호소는 범죄를 저지른 정신병자를 수감하는 교도소로 교도소와 정신병원을 합친 기관이다. 토머스 사스는 정신병원병원이 아니라 감옥과 같고, 강압적인 정신과 의사는 치...
    도서 위키백과
  • 용인정신병원 龍仁精神病院, Yongin Mental Hospital
    설립 목적 의료법인 용인병원유지재단에 의해 운영되는 국내 최대의 정신병원. 양질의 통합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연구·수련을 통해 국민 정신건강의 향상과 국가 정신보건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연혁 및 변천 1971년 8월 23일 개원한 용인정신병원은 1975년 9월 의료법인 용인병원...
    설립 :
    1971년 8월 23일
    유형 :
    시립특수병원
    국가 :
    대한민국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940
    사이트 :
    http://www.yonginmh.c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병원
  • 용인정신병원 龍仁精神病院, Yong-in Mental Hospi..
    도로부터 무의탁 정신질환자 및 영세민 환자의 입원치료를 담당하는 의료법인이 되었다. 현재는 특수진료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1982년 11월 경기도립정신병원과 1987년 4월 서울특별시립용인정신병원 설립과 동시에 위탁 운영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정신병원이다. 기능과 역할 35,055㎡의 전원 환경을 가진 넓은...
    시대 :
    현대
    위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4
    설립 :
    1971년 8월 23일
    성격 :
    병원, 정신병원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의약학
  • 대전신생정신병원 大田新生精神病院
    있다. 역사 대전 및 충남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과 정신질환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해 1987년 사회복지법인으로서 개설되었다. 1994년 대전시립정신병원의 경영을 위탁받았다. 이후 1998년 360병상을 증설하였다. 2002년 의료법인 성전의료재단을 설립하고, 2004년에는 치매병동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후 병원...
    설립 :
    1987년 12월 12일
    국가 :
    대한민국
    소재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진잠옛로 135번길 87
    사이트 :
    http://www.ssbw.c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전
  • 아산정신병원 牙山精神病院
    있다. 역사 1986년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며 정신질환자의 요양 및 치료와 재활을 통해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돕기 위한 목적 하에 의료법인 아산정신병원으로 설립되었다. 정신질환자 장기 요양시설로서 전원에 자리하고 있으며, 탁구장·작업요법실 등의 시설을 설치하는 등 정신과 환자의 전인적인 치료에 적합한 환경을...
    설립 :
    1986년 12월 16일
    국가 :
    대한민국
    설립자 :
    이정빈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휴대세교길 101 (세교리 348-5)
    사이트 :
    http://www.asanmh.c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국립나주정신병원 國立羅州精神病院
    병원은 1956년 설립된 전남도립정신질환자수용소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1957년 전남도립뇌병원으로, 1982년에는 전남도립정신병원으로 개칭되었다. 이어 1983년 대통령령 제10966호로 국립병원으로 승격되면서, 국립나주정신병원으로 개칭되었다. 1987년 병원 현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병동 증축공사를 시작하여 35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정신병원, 國立精神健康center
    연원 및 변천 서울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 127(중곡동 30-1)에서 1961년 8월 보건사회부 장관 소속으로 국립정신병원 직제의 공포에 의하여 360병상으로 개원하였다. 1981년 7월 정신간호조무사양성소가 부설되었다. 1982년 12월 30일까지 국내 유일의 국립정신병원으로 존속했으나, 정부의 정신질환 관리대책의 하나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의약학
  • 국립공주병원 國立公州病院, Gongju National Hospital
    신생결핵요양소를 모체로 발전해왔다. 이후 공주결핵요양소와 국립공주결핵병원 시기를 거쳐 1993년 4월 국립공주정신병원으로 개편되었다. 이때를 기점으로 병원의 기능이 결핵환자 치료에서 정신질환자 치료로 전환되었다. 이듬해에는 공주시 오곡동에 새 병원을 착공했으며, 3년여에 걸친 공사 끝에 1997년 12월 31일...
    설립 :
    1951년 9월 29일 개원
    유형 :
    요양병원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고분티로 623-21
    사이트 :
    http://www.knmh.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청량리정신병원 淸凉里精神病院, Chungryangri Menta..
    입원 또는 통원 치료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생활보호자·극빈자·산업재해환자 등도 진료해왔다. 한편, 각 의과대학 학생과 각 간호학교 학생의 정신의학임상실습병원으로 개방해왔고, 정신과전문의사의 양성병원으로도 활용되어 왔다. 2000년 4월말 현재 진료부에 신경정신과와 임상병리과, 기획실에 서무과·간호과...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로 142(청량리동 46)
    설립 :
    1945년 8월
    성격 :
    병원, 정신병원
    유형 :
    단체
    해체 :
    2018년 3월
    분야 :
    과학/의약학
  • 국립정신건강센터 NCMH, National Mental Health Center
    설립된 노량진구호병원을 전신으로 한다. 1961년 국립정신병원 직제 공포에 따라 노량진구호병원을 인수하여 현 청사를 준공했고, 이듬해 1962년 국립정신병원이 360병상 규모로 개원했다. 이후 병동의 증축과 신관 병동 증설에 따라 직제개정을 거듭해 2002년에는 국립서울병원으로 개칭되었고, 2016년에는 국립서울...
    설립 :
    1962년 2월 1일
    유형 :
    국립병원
    국가 :
    대한민국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 127
    사이트 :
    http://www.ncmh.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국립부곡병원 國立部曲病院, Bugok National Hospital
    역학조사를 수행하며, 정신과 전문의와 정신보건 전문요원을 양성하는 국가정신건강정책 국가기관으로서 설립되었다. 연혁 및 변천 국립부곡병원은 1987년 12월 31일 국립부곡정신병원으로 출범했다. 이듬해 1월 정원 122명으로 직제가 공포되었으며, 5월 20일 450병상을 갖추고 정식으로 개원했다. 1989년 11...
    설립 :
    1987년 12월 31일
    유형 :
    국립병원
    소재지 :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부곡로 145
    사이트 :
    http://www.bgnmh.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건

정신병원
피넬 (Philippe Pinel)
청량리 정신병원
용인정신병원
정신병원(The Madhouse)
국립서울정신병원
국립나주정신병원
국립서울정신병원
서울특별시립 정신병원
외젠 들라크루아, 〈성 안나 정신병원에 있는 타소〉(1839)
슈만이 생애 마지막 2년을 보냈던 엔데니히 정신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