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물화 靜物畵
    과일·꽃·그릇·어류 등 정지된 물체를 배치하여 구도를 잡아 그리는 그림.|개설 생활 주변의 물상들을 소재로 선택하여 배열하고 구도를 잡아 그리는 정물화는 20세기 초 서구미술의 수용과 더불어 유입되었다. 안정된 구도와 윤택한 색감으로 물상을 재현하는 정물화의 훈련 방식은 일제강점기의 조선미술전람회(朝...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정물화 靜物畵, still-life painting
    정물이 독립적인 회화 장르로 등장한 것은 르네상스 시대였다. 네덜란드의 초기 정물화는 해골·촛불·모래시계 등을 그려 인간의 유한함을 비유하거나 4계절의 꽃과 열매들을 한자리에 모아 자연의 순환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16, 17세기에 정물화가 대두된 요인은 주변 물체의 세부를 관찰하고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루이스 멜렌데스, 〈정물화〉 외
    루이스 멜렌데스(Luis Egidio Melendez, 1716~1780)는 화가인 아버지 밑에서 자라 1752년에 정식으로 출범한 산페르난도 왕립미술아카데미의 전신 격인 곳에서 공부했고 상을 탄 이력도 있었다. 그러나 아버지와 회원들 간의 불화로 인해 부자가 모두 아카데미에서 제명을 당하자 적당한 후원자를 구할 수 없게 되었다. ...
    저작자 :
    루이스 멜렌데스(Luis Egidio Melendez, 1716~1780)
    제작시기 :
    〈정물화〉 1772년 제작〈정물화〉 1770년 제작
  • 정물화 Still life, 静物画
    서양미술 정물화(靜物畵)란 그림의 표현 대상에 따라 구분하는 미술의 한 유형이다. 한국어의 정물화라는 단어는 영어와 독일어의 뜻을 따온 것이다. 프랑스어의 과장된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정물화란 자연적 환경과는 동떨어진 장소에 스스로는 움직이지 않는 소재(무정물; object)를 화가의 미적 시각에 따라 화...
    도서 위키백과
  • 튤립이 있는 정물화 Nature Morte aux Tulipes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이때 양으로나 크기로나 엄청난 규모로 조각을 했다. 그러다 보니 이 시기에 마리-테레즈 월터의 초상화나 자신이 만든 조각을 놓고 정물화를 많이 그렸다. 이 그림 속에는 자신이 만든 마리-테레즈 월터 흉상 조각이 튤립 꽃병과 나란히 놓여 있으니 ‘초상화+정물화’인 셈이다. 그리고 싱싱...
    제작시기 :
    1932년
    가격 :
    $41,522,500(435억 6000만 원)
    작가 :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
  • 산체스 코탄, 〈사냥감과 과일, 채소가 있는 정물화
    코탄(Juan Sanchez Cotan, 1560~1627?)은 오르가스에서 태어나 주로 톨레도에서 활동했다. 많은 미술사학자들은 검은 배경이 인상적인 그의 깔끔하면서도 섬세한 정물화를 두고 고대 로마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Gaius Plinius Secundus, 23~79)의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 나오는 일화를 언급하곤 한다. 이야기...
    저작자 :
    후안 산체스 코탄(Juan Sanchez Cotan, 1560~1627?)
    제작시기 :
    1602년
  •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 〈중국 도자기의 꽃 정물화
    했다. 그림의 크기도 소형화되었는데 이는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접 들고 나가서 판매하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이었다. 당연히 작은 크기의 정물화도 발달했다. 현실적인 감각이 뛰어난 네덜란드 사람들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이 화가의 정교한 붓질로 놀라우리만큼 사실적인 작품으로 재탄생...
    저작자 :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Ambrosius Bosschaert, 1573~1621)
    제작시기 :
    1609~1610년
  • 정물화의 역사
    프레스코와 모자이크화가 있었지만, 정물이 작품의 보조적 요소에 머물지 않고 독립적인 회화 장르로 등장한 것은 르네상스 시대부터였다. 네덜란드의 초기 정물화는 해골·촛불·모래시계 등으로 인간의 유한함을 비유하거나 4계절의 꽃과 열매들을 한자리에 모아 자연의 순환을 상징적으로 나타냈다. 16, 17세기에...
    도서 다음백과
  • 정물화의 특징
    정물화 습작에서는 탁상 위의 정물을 마음대로 옮겨가면서 개인의 취향이나 개성에 맞게 임의로 조절하거나 변경할 수 있어서 구도 선정의 연습에 도움을 준다. 정물화는 인물화나 동물화와는 달리 고정된 물체를 화면에 담는 것인 만큼 명암이나 위치의 흔들림이 없어 장시간 안정된 마음으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명암...
    도서 다음백과
  • 정물화의 재료
    정물화의 재료에는 유화 물감, 수채 물감, 아크릴 물감, 파스텔 등이 있다. 유화 물감은 안료를 린시드 유, 포피 유 등 식물성의 건성유를 매제로 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이겨서 만든 채색용 화재이다. 수채 물감은 안료를 덱스트린이나 아라비아고무로 이겨 합친 그림물감을 말한다. 아크릴 물감은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
    도서 다음백과
  • 일상의 사물을 신비롭게 표현한 화가, 장 바티스트 시메옹 샤르댕 Jean Baptiste S..
    서민의 일상을 담은 실내 풍경 그림들은 당시 프랑스에서 크게 대우받는 장르가 아니었다. 아카데미는 역사나 고전을 다룬 대형 회화 작품들을 선호했으며, 정물화는 회화 장르 중 가장 하위 취급을 받았다. 또한 화려하고 장식적인 로코코 양식이 지배하던 화단에서 소박하고 은은한 그의 작품들은 유행과 크게...
    출생 :
    1699년 11월 02일
    사망 :
    1779년 12월 06일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식사 기도〉, 〈가오리〉 등 다양한 정물화
  • 폴 세잔 자화상은 고독한 정물화다
    극복하기 위해 세잔은 인상주의 회화가 자연 채광 아래에서 변화하는 색의 효과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고전주의의 조형미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세잔의 정물화는 모델을 구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실험적으로 그려진 것들이 대부분이다. 〈튤립을 꽂은 화병〉은 과일과 꽃병이 원, 원통, 원추의 형태로 완벽하게 표현...
    출생 :
    1839년
    사망 :
    1906년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마흔한 살의 자화상〉, 〈생빅투아르 산(Mont Sainte-Victoire)〉, 〈튤립을 꽂은 화병〉, 〈사과와 오렌지〉
    도서 자화상전 | 태그 화가 ,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정물화
인형이 있는 정물/구본웅
루이스 멜렌데스 〈정물화〉
루이스 멜렌데스 〈정물화〉
페테르 클라스, 〈악기 정물화〉, 1623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 〈중국 도자기의 꽃 정물화〉
디르크 드 브레이, 〈성모마리아 상징물의 정물화〉, 1672
산체스 코탄 〈사냥감과 과일, 채소가 있는 정물화〉
파블로 피카소, 〈튤립이 있는 정물화〉, 캔버스에 유화 / 130×97c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