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량기보법 定量記譜法, mensural notation
    1260~1600년 유럽에서 사용한 음악 기보법.|이전에 사용하던 네우마 기보법의 가능성을 넘어서서 복잡한 리듬을 기보할 방법으로 시작했고, 1450년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되었다. 중요한 발전은 필리프 드 비트리가 이루었는데, 그는 1320년경에 〈아르스 노바 Ars nova〉라는 영향력 있는 책을 썼다. 정량기보법은 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박자표 拍子表, time signature
    4/4박자를, 는 2/2박자를 나타낸다. 이 두 기호는 근대 기보법 이전에 쓰인 정량기보법(1250~1600경 서양 기보체계)에서 사용하던 것이었다(→ 기본 박자). 2정량기보법에서 c 는 두 음표의 기본 음가(템푸스)와 이것들을 다시 2개로 나눈 음가(프로라티오)로, 근대 기보체계로는 2/4박자에 해당했다. 반면 '알라 브레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아르스 안티쿠아 Ars Antiqua
    4성부 음악을 처음으로 작곡했다. 프랑코는 13세기 중반에 전성기에 달했던 이론가로서 〈정량노래기법 Ars cantus mensurabilis〉을 통해 새로 나타난 정량기보법(앞 시대의 것보다 훨씬 리듬을 정확히 표기한 기보법으로 근대 기보법의 직접적인 조상)을 체계화했다. 피에르 드 라 크루아는 13세기 후반에 전성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비트리 Philippe de Vitry
    평가받는다. 그가 쓴 권위 있는 음악이론서 〈아르스 노바 Ars nova〉(1320경)는 14세기 전반기 프랑스 음악의 이론적 양상들을 다루었다. 이 책에는 정량기보법의 새로운 이론들과 착색음표(着色音標)의 다양한 사용 및 의미 등이 설명되어 있고, 새로운 기보체계에 음길이를 나타내는 음표 등을 도입하고 있다(근대...
    출생 :
    1291. 10. 31, 파리
    사망 :
    1361. 6. 9, 프랑스 모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클라우술라 clausula
    두 성부가 정량기보법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리듬의 통제가 엄격했다. 오르가눔 중 멜리스마(한 음절에 여러 음이 붙는 노래 방식)로 된 그레고리오 성가에 기초해서 만든 디스칸투스 부분이 대표적이며 노트르담 악파의 오르가눔에서는 이러한 디스칸투스 부분이 오르가눔 부분과 교대되었다. 오르가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모두스 리듬 modus rhythmus
    않은 초기 음표)들의 결합인 리가투라(ligatura : 일련의 음들을 한데 연결한 부호로서 그레고리오 성가의 네우마 보(譜)에서 유래했고, 모두스 리듬과 정량 기보법에서 사용했다. 1음절에 2개 이상의 음을 붙일 때 필기의 편의상 음표를 연결하던 관습에서 시작했고, 초기에는 여러 음간의 음높이 관계만을 표시했으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사악 당악(唐樂), 詞樂
    속악원보』에 실려 있으며, 보허자는 『대악후보』에 실려 있기도 하다. 이 두 악보는 모두 령(令)곡의 범주이다. 이 두 곡이 「정간보」라는 일종의 정량기보법으로 기보되어 있어서 령(令)곡의 리듬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 두 곡과 그 악보는 매우 중요하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는 이 두 곡을 연주하는...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서양 중세 음악 Medieval music, 中世西洋音楽
    응창(應唱)'이라는 형태에 따라 노래불리었다. 13세기에 들어서면서 시가(時價)를 잘게 정한 정량악보가 나타나 17세기경까지 쓰였다. 정량악보에 의한 기보법정량기보법이라 하며, 정령기보법으로 쓴 음악을 정량음악이라고 한다. 13세기 중엽의 이론가로 서부 독일 쾰른의 성 요한 수도원의 수도사였던 프랑코는...
    도서 위키백과
  • 정간보 강보(腔譜), 井間譜
    표준 기보법처럼 통용된다. 정악의 정간보는 음높이를 율자로 적고, 장단 단위에 따라 1행을 4행, 6행, 10행, 12행, 16행, 20행 등으로 나누고 가로선으로 대강을 구분하기도 하며, 1정간 또는 1대강이 규칙적으로 1박이 된다. 민속악에서는 연주자나 유파에 따라 세로 정간보를 쓰기도 하지만 대체로 보표 기보를 더...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아르스 안티쿠아 Ars antiqua, アルス・アンティクア
    노바(Ars Nova)에 대응시켜 13세기 말의 음악을 약간 모멸적으로 부른 것이다. 오늘날에 와서는 노트르담 악파를 중심으로 하는 13세기의 음악 전체를 가리키며, 초기의 복음악(複音樂)과 정량이론(定量理論), 정량기보법(定量記譜法)의 발달이 아르스 안티쿠아의 두 가지 큰 과제가 되었다. 서양 중세 음악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