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사악 당악(唐樂), 詞樂속악원보』에 실려 있으며, 보허자는 『대악후보』에 실려 있기도 하다. 이 두 악보는 모두 령(令)곡의 범주이다. 이 두 곡이 「정간보」라는 일종의 정량기보법으로 기보되어 있어서 령(令)곡의 리듬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 두 곡과 그 악보는 매우 중요하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는 이 두 곡을 연주하는...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정간보 강보(腔譜), 井間譜표준 기보법처럼 통용된다. 정악의 정간보는 음높이를 율자로 적고, 장단 단위에 따라 1행을 4행, 6행, 10행, 12행, 16행, 20행 등으로 나누고 가로선으로 대강을 구분하기도 하며, 1정간 또는 1대강이 규칙적으로 1박이 된다. 민속악에서는 연주자나 유파에 따라 세로 정간보를 쓰기도 하지만 대체로 보표 기보를 더...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