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접속사 接續詞, conjunction
    품사의 하나.|이음씨·잇씨라고도 한다. 앞에 오는 단어나 구, 문장을 받아서 뒤에 오는 단어·구·문장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립어로서는 활용되지 않는다. 최현배는 접속사를 한 품사로 보지 않고 문장부사(이음 어찌씨)로 처리했으며, 이희승은 단어·구·문장들의 접속기능에 주목해 접속사를 한 품사로 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접속사 接續詞
    앞에 오는 단어나 구(句) 또는 문장을 받아서 뒤에 오는 단어·구·문장과 접속시켜주는 단어. ‘이음씨’라고도 한다.|내용 ‘및, 또(는), 혹은’ 등과 같이 나열의 기능을 하는 것, ‘그러니, 그래서, 그러면, 따라서’ 등과 같이 문장을 순접(順接)하는 것, ‘그러나, 그런데, 하지만’ 등과 같이 역접(逆接)하는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접속사 connective
    [1] 순서도나 블록도의 두 흐름을 연결하는 기호. [2] 수행될 연산을 표시하는 특수한 부호로서 불대수와 관계가 있으면, 계산시 보통 피연산자의 사이에 위치한다. [3] 논리문에서 두 부분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연산자. 예를 들면 AND, OR. [4] 순서도에서 여러 흐름선이 하나로 모이는 것을 표현하거나 하나의 흐름...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 접속사 Conjunction (grammar), 接続詞
    접속사는 낱말, 문장, 구, 절을 이어주는 품사이다. 이음씨라고도 한다. 연결어 접속부사 by Jennifer Frost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논리 접속사 logical connective
    [1] AND, OR, OR ELSE, IF THEN, NEITHER NOR, EXCEPT와 같은 논리 연산자나 단어. 어떤 주어진 문장을 연결하여 새로운 문장을 만들기도 하고, 주어진 문장의 진위에 의해서 새로운 문장의 진위를 결정하기도 한다. [2] 주어진 조건문으로부터 새로운 문을 만드는 특별한 단어. 새로운 문장의 참 또는 거짓의 계산과...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 문장 접속사 sentential connective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 간단한 명제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이를 사용하면 논리 표현이 단순해진다. 가장 많이 쓰이는 접속사로 ⇁(not), ∧ (and), ∨ (or), → (imply), ≡(equivalent)가 있다.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 조선문법연구 朝鮮文法硏究
    하로 나누어 다루고 있는데, 품사론(상)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를, 품사론(중)에서는 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를, 품사론(하)에서는 후치사(後置詞), 접속사, 종결사를 다루고 있다. 6집은 ‘문장론’이라는 제목 하에 문장과 구조, 어(語)와 절(節)의 배치, 어와 절의 변화, 문장의 양식, 문장의 조응(照應) 등을...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불대수 Boolean algebra
    수량 대신 변수로서 사용할 때 유효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참(진리값은 1)이거나 거짓(진리값은 0)인 명제들을 다룰 때 적합하다. 이러한 두 명제는 논리접속사, 즉 연산자 '그리고'(and)나 '또는'(or)으로 결합되어 복합명제가 만들어진다(이 두 접속사의 표준기호는 각각 '∧'와 '∨'임). 복합명제의 진리값은 원소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조선문전 朝鮮文典
    구분하고, 스스로 있는 문전을 저술하여 우리 고유언어를 표출하고자 하였다. 제1편에서는 명사 · 대명사 · 동사 · 형용사 · 부사 · 후사(後詞) · 접속사 · 감탄사 등의 8품사를 설정하였는데, 이것은 라틴문법의 8품사와 일치된다. 특히, 보통명사 · 관계대명사 · 수사 · 형용사 등의 서술은 의미상 분류로...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조선정음문전 朝鮮正音文典
    품사(品詞)·음학(音學)·어체(語體)·격학(格學)·변체(變體)의 5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편 ‘품사’에서는 명사·대명사·동사·형용사·부사·관형사·접속사·감탄사·완결사 등 9품사를 세우고 이를 각각 하위 분류하였다. 제2편 ‘음학’에서는 훈민정음의 해석과 초성·중성·종성의 성질과 유별을 논의하였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김원우
    창작/발표시기 :
    1922년
    성격 :
    문법서, 국어문법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조선도서주식회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복합문 複合文, complex sentence
    인구어에서 문장의 겹침이 접속사·관계대명사·부정사 등의 다양한 기제를 통하여 실현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국어의 복합문은 모두 활용과 곡용이라는 어미변화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국어의 문장유형은 어미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복합문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한 문장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이희승 李熙昇
    체계의 특징은 〈초급국어문법〉에 그 전모가 최초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국어의 품사를 10품사(명사·대명사·조사·동사·형용사·존재사·관형사·부사·접속사·감탄사)로 분류했는데, 종전의 지정사를 인정하지 않고 그것을 체언의 활용어미로 처리한 점과 수사를 대명사에 포함시키고 접속사를 독립품사로 설정한...
    출생 :
    1896. 6. 9, 경기 의왕
    사망 :
    1989. 11. 27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