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절리 節理, joint
    지표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암석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수직적인 방향성을 갖는다. 절리 표면은 흠이 없고 매끄럽거나 흠이 생기기도 한다. 절리는 지각의 깊은 곳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데, 이는 지하 약 12㎞ 깊이에서는 단단한 암석조차도 응력을 받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석회암과 같은 용해되기 쉬운 암석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절리 Joint (geology), 節理
    절리(節理,joint)는 암석이 취성변형을 받아 암석 내의 응집력을 상실하여 발생한 불연속면이다. 다만 암석 내부의 응집력을 잃은 결과물이 항상 절리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 절리들은 단독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흔히 절리조나 절리계를 형성하여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절리조(joint set)는 공통적인 기하...
    도서 위키백과
  •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無等山 圭峯 柱狀節理와 指空너덜
    그 모서리는 방형(方形)의 법칙에 꼭 알맞았다. 그리고 누운 것, 꺾인 것 등이 그 아래에 또 몇십 개가 더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규봉에 있는 주상절리의 모습이 홀과 같아 유래된 지명으로 추정된다. 지공너덜은 인도의 승려인 지공대사(指空大師)가 이곳에 석실(石室)을 만들고 좌선수도하면서 그 법력으로 억만...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주상절리 柱狀 節理
    개설 주상절리는 현무암에 잘 발달하지만, 조면암과 안산암에서도 발달한다. 주상절리가 발달한 곳은 풍화와 침식을 받으면 수직 절벽이 잘 발달하며 하천이나 해안에서 주상절리가 형성될 경우 폭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용암이 식을 때는 수축하면서 갈라지게 되는데 이때 용암 표면에는 수축 중심점들...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강동 화암 주상절리 강동동 제3기 현무암 주상절리, 江東花岩柱狀節理
    개설 강동동 제3기 현무암 주상절리라고도 한다. 북위 35°38′2.96″, 동경 129°26′32.8″에 위치한다. 2003년 4월 24일에 울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상절리가 위치한 마을 이름인 화암(花岩)은 꽃무늬 모양을 하고 있는 주상체의 횡단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강동 화암 주상절리는 신생대 제3기의...
    시대 :
    현대
    문화재 지정 :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2호
    성격 :
    시도기념물
    유형 :
    지명
    소재지 :
    울산광역시 북구 산하동 952-1번지 해역부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경주 양남 주상절리 慶州 陽南 柱狀節理群
    개설 2012년 9월 25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공유수면 일대에 위치한 주상절리군으로 북위 35°41′8.48″, 동경 129°28′30.11″에 해당된다. 주상절리군은 신생대 제3기의 에오세(5400만 년 전)에서 마이오세(460만 년 전) 사이에 경주와 울산 해안지역 일대의 활발했던 화산활동에...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갯깍 주상절리 갯깍 柱狀節理
    1.7㎞에 걸쳐 나타난다. 현무암질 조면안산암으로 이루어진 해식애에는 용암류가 식어 굳을 때 발생하는 수축현상으로 인하여 수직방향의 절리가 잘 발달한다. 주상절리 지형은 예례천 하구에 인접한 서쪽 해식애를 비롯하여 조근모살 배후의 해식애, 진모살 동쪽의 해식애에서 명료하게 발달하여 중문 · 대포해안 주상...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浦項達田里柱狀節理
    개설 2000년 4월 28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는 채석장에서 암석을 캐내다 발견되었다. 면적은 32,651㎡이다. 달전리는 연일읍 달전리에 위치해 있어 붙은 지명으로, 이 지역의 능선을 따라 개간한 밭에 농사가 잘 되어 달밭들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화한 것이다. 내용 주상절리는 단면의 형태...
    시대 :
    현대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415호
    성격 :
    천연기념물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32,651㎡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달전리 산19-3번지 일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주상절리 柱狀節理, columnar joint
    절리는 거의 모든 암석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수직적인 방향성을 갖는다. 용융암체가 관입되어 생성된 암맥과 암상에서는 냉각과정 중에 생성된 주상절리가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 표면과 수직을 이루는 절리의 세 면은 서로 120° 정도의 각을 이루며 교차하고, 지름이 약 7~8㎝에서 6m에 이르는 다각형의 주상암체를...
  • 양남 주상절리군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양남 주상절리군은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하며, 동해안을 따라 발달한 주상절리들의 발달규모 및 형태의 다양성을 인정받아 2012년 9월 25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상절리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에서 형성되는 육각기둥 모양의 돌기둥을 의미한다. 주상절리 명소로 유명한 제주도 중문 주상절리나 광주의...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동해안로 494
  • 달전리 주상절리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달전리 주상절리는 포항시 남구 연일읍 달전리에 위치하며, 높이 약 20m, 길이 약 100m의 큰 규모를 가진다. 이곳에 분포하는 현무암은 과거 포스코 및 국가산업단지 부지를 매립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주상절리가 발견된 이후 2000년 4월 28일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달전리
  • 임진강 주상절리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합수머리(도감포)에서부터 북쪽으로 임진강을 거슬러 마치 병풍을 쳐 놓은 것 같은 아름다운 수직의 주상절리가 수 킬로미터에 걸쳐 발달해 있는 국내에서도 유일한 곳이다. 북한 평강군 오리산과 680m 고지에서 분출한 용암은 옛 한탄강의 낮은 대지를 메우며 철원-포천-연천 일대에 넓은...
    위치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40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