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환기의 조선문학 <일>轉換期の朝鮮文學교육에 몰두했다. 『문학원론』(춘조사, 1957), 『셰익스피어의 예술론』(을유문화사, 1963)은 그 소산이라 할 수 있다. 1964년 11월 사망하였다. 『전환기의 조선문학』은 최재서가 『문학과 지성』(인문사, 1938)에 이어, 1941년 2월부터 1942년 11월까지 《인문평론》, 《국민문학》, 《경성일보》 등에 게재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최재서(1908~1964)
- 크기 :
- 12.5×17.5(cm)
- 간행/발행 :
- 인문사, 1943.
- 면수/쪽수 :
- 273면
-
조선 朝鮮일부 영향을 미쳤으나, 직접적인 사상으로 작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개항에서 강제 병합에 이르는 동안은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난 일대 전환기였다. 조선 후기에 빈발하였던 농민항쟁을 통해 전통적인 사회신분제가 해체되고, 그 대신 새로운 사회 질서가 형성되고 있었으나 아직 정착되지 못한 유동적인...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경제 經濟달라지기 시작했다. 17세기에 싹터서 18세기에 성행하였던 실학(實學)은 전환기의 시대상을 대변하는 신사조(新思潮)로 등장하였으며, 이는 개신유학자(改新儒學...나타난 이러한 변화는 당시로서는 큰 충격이었다고 할만하다. 폐쇄된 조선사회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받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근대로의 혁신적인...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유교 유술, 儒敎의종)를 유교문화의 진흥기요 융성기라 한다면, 고려 후기(명종∼공양왕)는 유교문화의 퇴락 · 침체기를 거쳐 주자학 시대가 열리는 전환기라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와 유교 조선 전기의 유교 먼저 조선조 창건 1세기를 놓고 볼 때 태조 · 태종의 30년 간은 조선이 건국되어 정치적 · 사회적 안정을 다지는 창업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하재일기를 통해 본 공인의 일상 미천한 보통 사람이 남긴 일기와 경제생활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하재일기(荷齋日記)』가 바로 한 평민이 남긴 일기이기 때문이다. 비록 시기적으로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기록이지만, 조선 후기의 전통적인 경제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던 인물이 주인공이라는 점에서, 예전부터 내려오던 유제(遺制)를 확인함과 동시에 근대 전환기의 변화상을 엿볼 수...
-
문학 갈래의 전개 양상한 인물의 일생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서술하는 전(傳)이 창작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 후기에 창안된 시조와 가사가 서정 갈래를 주도했다. 조선 건국 이후...고소설이 창작되었고, 극 갈래로 가면극, 인형극 등이 성행하였다. 근대 전환기의 서정 갈래로 개화가사, 창가, 신체시가 창작되었고, 서사 갈래에 신소설이...
-
음악 音樂20세기초의 전환기를 전후하여 교방사 · 장악사로, 장악과 · 아악대에서 다시 아악부로 전전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하여야 할 것은 아악부의 운명...있었으며, 1920년 한국의 아악을 조사연구할 목적으로 내한하였다. 이때 그는 우리 아악의 진가를 체험하게 되었고, 귀국 후에 기울어가는 조선 아악대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미술 美術있어도 조선시대 목공품의 전부에 깔려 있는 기본 철학이라 하겠다. 근대의 미술 근대 한국 미술의 전개는 전통적 수법의 변화 있는 계승과 서양 문화 수용에 따른 서양식 방법의 급속한 정착이라는 두 가지의 경향이 병존하는 시대적 특수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러한 새로운 문화 상황의 형성은 느닷없이 이루어진 것...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조선 노동당 당대표자 대회중요 사항의 기본 문제를 결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당 대회는 1946년 8월 북조선노동당 창립 이래 1993년까지 6차례밖에 열리지 않았다. 이는 북한의 조선노동당 당대표자 대회가 당 규약상의 연한과는 무관하게 사회주의 건설 과정에서 당의 성과를 분명하게 과시할 수 있거나, 당이 큰 획을 긋는 전환기라고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