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속부관 專屬副官, aide-de-camp
    장군이나 제독을 비롯한 고위 사령관의 개인참모로서, 일상적인 문제에서 상관의 심복 역할을 하는 장교.|나폴레옹의 전속부관들은 대부분 뛰어난 군사적 자질을 갖추고 나폴레옹의 '눈'과 같은 역할을 했으며, 휘하 지휘관들에 대한 나폴레옹의 마음을 읽고, 때로는 나폴레옹한테서 위임받은 권한을 행사하기도 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속부관 Aide-de-camp, 副官
    전속부관(專屬副官, 혹은 국가원수 및 왕족의 개인참모로서, 일상적인 문제에서 상관의 경호원, 심복 또는 비서 역할을 하는 장교이다. 의례적인 행사에는 전속부관이 참여할 수 있는데, 보통 군복의 어깨에 착용하는 금실이나 다른 색깔의 땋은 끈인 식서(견식, aiguillette)로 전속부관임을 표시한다. 그것이 왼쪽 어...
    도서 위키백과
  • 전속 부관 專屬副官, Aide-de-camp
    장성급 지휘관을 보좌하여 신변 보호와 사무 연락 따위의 일을 전적으로 맡아보는 참모 장교.
  • 당직근무
    매월 1회로 제한된다.) 대대장급 이상 지휘관, 대대•연대 작전(운영)과장 및 군•사•여단 및 야전군사령부 참모장과 같은 제대별 최선임 참모 비서실장, 전속부관 등 사단급 이상 부대에서 지휘관을 직접 보좌하는 보직 근무자 소장 이상의 장군(준장은 당직총사령 근무를 수행해야 한다.) 상황장교 임신 여군 연구관...
    도서 위키백과
  • 애머스트 Jeffrey Amherst, 1st Baron Amherst
    애머스트를 비롯한 미국의 몇몇 지명들은 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1731년 근위보병이 되었으며 처음에는 리고니어 경의 전속부관으로, 그 다음에는 컴벌런드 공작의 전속부관으로 뽑혔다. 1758년 윌리엄 피트와 리고니어에 의해 캐나다 주둔군 사령관에 임명된 그는 1만 4,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루이스버그...
    출생 :
    1717. 1. 29, 잉글랜드 켄트 세브녹스
    사망 :
    1797. 8. 3, 세브녹스
    국적 :
    영국
  • 조아킴 뮈라 Joachim Murat
    보나파르트가 왕당파 반란 진압임무를 맡았을 때 조아킴 뮈라는 파리에 포병대를 투입하는 데 공을 세워 1796~97년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원정 때 전속부관이 되었다. 이탈리아와 이집트에서(1798~99) 기병대장으로서 천부적인 재능과 대담성을 발휘함으로써 명성을 쌓았고, 브뤼메르(안개의 달) 18일 쿠데타(1799. 11...
    출생 :
    1767. 3. 25, 프랑스 라바스티드포르튀니에르
    사망 :
    1815. 10. 13, 칼라브리아 피초
    국적 :
    나폴리,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보나파르트 루이 보나파르트, Louis Bonaparte
    나폴레옹 황제와 갈등을 일으켰다(→ 홀란트). 샬롱에서 군사학교를 다닌 뒤 1796~97년의 이탈리아 원정 때 나폴레옹을 수행했고, 1798~99년 이집트에서는 전속부관으로 활약했다. 1802년 제1통령이 된 나폴레옹은 그를 조제핀의 딸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와 결혼시켰다. 그러나 그는 부인을 격렬하게 질시했고 나폴레옹...
    출생 :
    1778. 9. 2, 코르시카 아작시오
    사망 :
    1846. 7. 25, 이탈리아 리보르노
    국적 :
    프랑스
  • 로물로 Carlos P. Romulo
    신문을 발행하는 티브이티(TVT)출판사 편집국장이 되었으며 1937년에는 또다른 계열의 신문을 발행했다. 1941년 코레히도 섬에서 더글러스 맥아더장군의 전속부관이 되어 '자유의 소리' 방송을 주관했고 일본이 코레히도 섬을 점령하자 맥아더 장군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로 건너갔다. 이후 정보장관으로서 마누엘 케손...
    출생 :
    1899. 1. 14, 필리핀 카밀링
    사망 :
    1985. 12. 15, 마닐라
    국적 :
    필리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장성급 장교 General officer, 将官
    장군이라는 존호를 붙이기도 한다.출처 대령에서 준장으로 진급하면 장성급 장교가 되고, 장성급 장교의 경우 경호원이자 비서의 개념인 전속부관이 따라다니게 된다. 이때, 전속부관의 계급은 장성 계급 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준장의 경우 소위 또는 중위, 소장의 경우 중위, 중장의 경우 대위, 대장의 경우 소령...
    도서 위키백과
  • 박종규 朴鍾圭
    복무 중 육군종합행정학교 제5기로 입교, 육군소위로 임관되었다. 그 뒤 미육군보병학교와 공정학교(空挺學校)를 거쳐 육군본부 정보국, 합참의장 전속부관 등을 역임하였다. 하사관시절 박정희(朴正熙)·김종필(金鍾泌) 등과 육군본부 정보국에서 함께 근무한 인연으로 5·16군사정변의 핵심요원으로 참가하여 박정희의...
    시대 :
    현대
    출생 :
    1930년
    사망 :
    1985년
    경력 :
    대통령경호실장, 합참의장 전속부관, 세계사격연맹 부회장,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유형 :
    인물
    직업 :
    군인, 정치인, 체육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생 타르노 Armand-Jacques Leroy de Saint-Arnaud
    나폴레옹 3세 때 육군장관을 지냈으며 크림 전쟁 때 프랑스군 총사령관이었다. 1833년 3월 뷔고 드 라 피코네리 장군의 전속부관이 되었고 그뒤 외인부대에 들어가 1837년 1월 알제로 가서 빠른 진급을 했다. 1848년 혁명이 일어났을 때 파리에서 왕정을 수호하려 애썼으나 실패했다. 1851년 소장 계급으로 알제에...
    출생 :
    1798년 8월 20일
    사망 :
    1854년 9월 29일
    국적 :
    프랑스
  • 벤켄도르프 Aleksandr Khristoforovich, Graf Benckendorff
    참가해 베를린 진격을 비롯해 독일과 북해연안 저지대 국가, 벨기에 등지에서 프랑스군을 상대한 많은 전투에서 활약했다. 뒤이어 차르 알렉산드르 1세의 전속부관(1819~21)으로 복무하다가 육군중장으로 진급되어 1821년 근위대의 중기병 사단 지휘관을 맡았다. 1825년 자유주의적인 데카브리스트들이 니콜라이의 왕위...
    출생 :
    1783, 러시아(지금의 에스토니아) 탈린
    사망 :
    1844. 10. 5(구력 9. 23),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