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덕전등록 (관련어 전등록) The Jingde Record of the Transmission..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Transmission of the Lamp)은 송나라 북송 진종 경덕(景德) 원년(1004년)에 황제의 명으로 고승 도언(道彦)이 출판한 불교 서적이다. 1700칙(則)의 공안이 기록되어 있다. 전등록이라고도 한다. 30권으로 되어 있으며, 중국 선종(禪宗)의 가장 대표적인 역사서로 널리 읽히고 있다. 1251년 완성...
    도서 위키백과
  • 경덕전등록 전등록(傳燈錄), 景德傳燈錄
    法興寺)본, 1573년(선조 6) 평안도 순안 법흥사(法興寺)본, 1682년(숙종 8) 평안도 영변 묘향산 보현사(普賢寺)본 등이 전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도원이 『전등록』을 지은 뒤 송나라 황제 진종(眞宗)에게 바친 연도인 1004년이 경덕(景德) 원년이었으므로 연호를 붙여 『경덕전등록』이라 이름하였다. 진종은 도원...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선문보장록 보장록(寶藏錄), 禪門寶藏錄
    付法莊傳)』, 제7칙은 『승사략(僧史略)』, 제8칙은 『정종기(正宗記)』, 제9칙은 『변종기(卞宗記)』, 제10칙은 『조문간정록(祖門刊正錄)』, 제11칙은 『전등록(傳燈錄)』, 제12칙은 『순덕선사록( 順德禪師錄)』, 제13칙은 『직정문화상송(直淨文和尙頌)』, 제14칙은 『적음선사록(寂音禪師錄)』, 제15칙은 『연수...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동선교고 大東禪敎考
    권말에 윤동(尹峒)의 발문이 있다. 중국에 불교가 들어온 사실과 고구려에 전래된 사실을 기록한 뒤, 『삼국사기』를 비롯한 『불조통재(佛祖通載)』·『전등록(傳燈錄)』·『불조원류(佛祖源流)』 등의 문헌에서 불교관계 사료를 뽑아 편찬한 것이다. 구성은 원사료에 보충사료를 소개하고 정약용 자신의 고증과 주석을...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약용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불교서, 고승기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진실주집 진실주, 眞實珠集
    소장본(보물, 1989년 지정), 양덕사 소장본(보물, 2015년 지정) 등이 있다. 내용 권수에 있는 예묘행의 「심법진실주서(心法眞實珠序)」에 의하면, ‘『전등록(傳燈錄)』가운데 가(歌), 면(銘), 현지(玄旨)와 무릇 훌륭한 선지식(善知識)의 요절어구(要截語句)를 뽑아 3권으로 엮어 새겨서 유통시킨 것이다’고 하였으니...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진실주집 진실주, 眞實珠集
    지정), 단양 구인사 소장본(충청북도 유형문화재, 2011년 지정) 등이 있다. 내용 권수에 있는 예묘행의 「심법진실주서(心法眞實珠序)」에 의하면 ‘『전등록(傳燈錄)』가운데 가(歌), 명(銘), 현지(玄旨)와 무릇 훌륭한 선지식(善知識)의 요절어구(要截語句)를 뽑아 3권으로 엮어 새겨서 유통시킨 것이다’고 하였으니...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석가여래행적송 釋迦如來行蹟頌
    운묵은 부처의 행적과 일대시교(一代時敎)에 관해 『천태사교의』를 인용하여 오시팔교(五時八敎)로써 설명하고, 27조사의 전등(傳燈)을 간략히 밝히면서 『전등록』을 찾아보길 당부한다. 여기서 23조 사자존자(師子尊者) 이후 4인을 덧붙여 27조사의 전등을 설한 것은 23조(祖)까지 천태의 설을 따르고, 이후의 조사들...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승과 僧科
    선정했다.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승과제도가 그대로 이어져 교종선과 선종선이 존재했다. 승과는 3년에 1번씩 실시하되 선종에서는 〈전등록 傳燈錄〉·〈점송 拈頌〉을, 교종에서는 〈화엄경〉·〈십지론 十地論〉을 시험하여 각각 30명씩 뽑았다. 그뒤 이 제도는 중종대에 폐지되었다가, 155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유정 惟政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를 배웠다. 1558년(명종 13)에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아버지가 죽자 김천 직지사(直指寺)로 출가하여 신묵(信默)에게서 〈전등록 傳燈錄〉을 배웠다. 3년 뒤 승과에 합격한 것을 계기로 많은 유학자들과 교유했는데, 특히 20세 연상인 박순(朴淳) 및 5세 연하인 임제(林悌)와 봉은사(奉恩寺...
    출생 :
    1544(중종 39), 경남 밀양
    사망 :
    1610(광해군 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각운 구곡각운, 覺雲
    임제종 보우의 법통을 이어 남원 만행산 승련사에 있으면서, 〈전등록 傳燈錄〉(과거 7불로부터 5家 52世에 이르기까지 전등한 법계의 차례를 기록한 책)을 깊이 연구했다. 본관은 남원. 속성은 유씨이며, 호는 구곡이다. 아버지는 의관이다. 학덕이 높고 필법이 뛰어나 공민왕이 그의 도행을 존경하여 〈달마절로도강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고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용문산 용문사 龍門山 龍門寺
    1179년 중건이 마무리되자 용문사에서는 선문구산의 승려 500명을 모아 50일 담선회(談禪會)를 열었다. 그때 단속사(斷俗寺)의 선승(禪僧) 효순(孝惇)은 『전등록(傳燈錄)』 · 『능엄경(楞嚴經)』 · 『인악집(仁岳集)』 · 『설두집(雪竇集)』 · 『염송(拈頌)』 등을 강하도록 하였다. 그 전 1173년 나라에 내란이...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상능 혼허(渾虛), 尙能
    사교과(四敎科)를 배웠으며, 조계산대승암(大乘庵)에서 침명 한성(枕溟翰醒)에게 『화엄경』을 배웠다. 소림산 중봉암(中峯庵)에서 응화 유한(應化有閑)에게 『전등록(傳燈錄)』과 『선문염송(禪門拈頌)』을 배우고 응화의 법맥을 이어받았다. 그 뒤 강석(講席)을 열어 수십년 동안 후학들을 지도하고 참선을 닦아 깊이...
    시대 :
    조선
    출생 :
    1826년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